• 제목/요약/키워드: demand needs

검색결과 1,492건 처리시간 0.031초

일부 대전시민의 영양상태와 지역사회 영양관리서비스 요구도에 관한 단면조사연구 (Nutritional status of Daejeon citizens and needs of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s: a cross-sectional study )

  • 이다혜;전민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2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of resident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females and males living in Daejeo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592 adults and elderly (278 men and 314 women) residents of Daejeon. The dietary quality was assessed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and data of the perception and needs for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were obtained by a questionnaire survey. Descriptive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needs of the respondents, and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participants. Results: A nutritional status that required monitoring was established in 78.9%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The balance factor (29.1 points) was much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In the diversity factor, the NQ score of the female group was 47.6 points, which was 8 points lower than that of males; the NQ grade was 43.9%,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s and males (P < 0.001).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ose who needed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s were residents experiencing health care difficulties. Additionally, dietitians (35.6%) were pointed out as the most suitable service provid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operation was securing the budget (47.0%).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Daejeon residents need overall nutrition support, and a demand for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s exists. Our findings provide basic data and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nutrition care service model.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cross-sectional study

  • Jinkyung Kim;Min-Sun Jeon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the health of residents and 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and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field. Methods: Altogether, 249 employee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on the health status of residents/users, meal management, nutritional education, nutritional education needs, and awareness of nutritional education were obtained through online surveys.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and independent t-tests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ial and daycare facilities. Results: The majority of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educating residents with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sonal hygiene' was the most necessary topic, followed by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Regarding the methods of providing education, face-to-face lectures demonstrated a high demand. They responded that when nutrition education experts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must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ave the ability to determine appropriate nutrition for such people.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 program training would be twice a year, lasting 30 min to 1 h per training session. Conclusions: It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operat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t meets their need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welfare facilities for such individuals in Korea.

항공기 제조업에서 생산계획 동기화를 통한 데이터기반 구매조달 및 재고관리 방안 연구 (A Scheme of Data-driven Procur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through Synchronizing Production Planning in Aircraft Manufacturing Industry)

  • 유경열;최홍석;정대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1호
    • /
    • pp.151-177
    • /
    • 2021
  • Purpose This paper aims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by effectively responding to production needs and reducing inventory through synchronizing production planning and procurement in the aviation industry.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production planning and execution were first analyzed in terms of demand, supply, inventory, and process using the big data collected from a domestic aircraft manufacturers. This paper analyzed the problems in procur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using legacy big data from ERP system in the company. Based on the analysis, we performed a simulation to derive an efficient procur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plan. Through analysis and simulation of operational data, we were able to discover procurement and inventory policies to effectively respond to production need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is an empirical study to analyze the cause of decrease in inventory turnover and increase in inventory cost due to dis-synchronize between production requirements and procurement. The actual operation data, a total of 21,306,611 transaction data which are 18 months data from January 2019 to June 2020, were extracted from the ERP system. All them are such as basic information on materials, material consumption and movement history, inventory/receipt/shipment status, and production orders. To perform data analysis, it went through three steps. At first, we identified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of production process to grasp the situation of what happened, and secondly, analyzed the data to identify expected problems through cross-link analysis between transactions, and finally, defined what to do. Many analysis technique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moving average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predict the status of inventory. A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ppropriate inventory lev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fluctuations in the production planing. In the simulation, we tested four alternatives how to coordinate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procurement plan and the production plan. All the alternatives give us more plausible results than actual operation in the past. Findings Based on the big data extracted from the ERP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livery and the distribution of fluctuations was analyzed in terms of demand, supply, inventory, and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ventory turnover rate, the root cause of the inventory increas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based on the data on delivery and receipt performance, it was possible to accurately analyze how much gap occurs between supply and demand, and to figure out how much this affects the inventory level. Moreover, we were able to obtain the more predictable and insightful results through simulation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inventory cost and lead time can be improved by synchronizing the production planning and purchase procurement with supply and demand information.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and simulation gave us more insights in production planning, procur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for smart manufactur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감각통합 중재를 사용하는 초임치료사의 교육요구도 및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 (Educational Needs and Self-Assessment for Competency of Newly Employed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 이지현;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0
    • /
    • 2022
  • 목적 : 감각통합중재를 하는 초임 치료사를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 역량의 중요도, 수행도, 교육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년 이하의 감각통합 중재 경험이 있는 치료사 17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감각통합중재 역량의 중요도, 수행도,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교육요구도와 순위를 규명하기 위해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초임 치료사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수행수준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역량군은 '전문성'이었으며, 응답한 교육요구도와 Borich 분석에서도 '전문성'역량군의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역량 모두에서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Borich 분석에서 '전문성' 역량군 내의 하위영역 중 '평가기술'(5.56), '분석기술'(5.50), '작업치료 일반지식'(5.47)로 교육요구도의 순위가 도출되었다. 결론 :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초임치료사는 전문성 역량군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면서도 자신의 수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였고, 해당 교육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치료사의 교육 요구도를 반영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의 방향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수요 분석 (An Analysis of the Users' Demands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Busan)

  • 정영미;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29-253
    • /
    • 2021
  •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전략은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한 조망을 포함해서 실질적인 서비스 수요자인 이용자에 기반하여 수립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재 제공되는 도서관 기능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조사·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고, 응답자는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 이용자 733명이다. 주요한 결과는 첫째, 부산지역 이용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여전히 자료수집제공에 있었다. 둘째, 정보서비스 영역에서는 문화/평생학습 프로그램 서비스, 서비스 유형에서는 새로운 IT기술 체험·교육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ISA 분석결과에서는 자료수집제공 서비스와 정보활용교육 서비스는 계속 유지 관리해야 하고 독서 관련 서비스는 집중관리하여 확대할 필요가 있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별 서비스 수요 분석에서는 41세 이상~50세 이하가 정보활용교육 서비스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수요가 가장 높은 세대로 나타났고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수요는 61세 이상의 고령층 세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산의 서부권 이용자 집단이 거의 모든 서비스 영역의 수요에서 다른 지역의 이용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시 기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차 산업 서비스 모델의 변천 패턴에 대한 연구 - 중국 광시 지역 세대별 니즈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Evolution pattern of Tea Industry Service Mode: Focusing on the Needs of Each Generation in GuangXi, China)

  • 리핑;장완석;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5-74
    • /
    • 2021
  • 2020년부터 중국 광시 지방정부는 차 산업과 레저 문화 관광, 과학 보급 교육, 양생 양로 등 산업의 심층융합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차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3차 산업 생산 목표치를 250억 위안으로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세대별 소비자에 대한 설문조사, 현지조사,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하여 차에 대한 니즈와 선택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여 광시 차 산업 서비스 모델의 변화 패턴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는 세대별로 생활방식, 쇼핑 습관, 서비스 디자인, 사용자 경험, 사회적 니즈, 개인적 니즈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이에 차 제품에 대한 니즈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광시 차 산업 서비스 모델의 패턴 변화에 근거해보면, 세대별 소비자의 차 선택의 차이가 차 제품의 수요, 행동 패턴에 유의미한 차이와 패턴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끝으로 차 산업의 발전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사용자 경험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주목하고 있다.

선원법 개정에 따른 선원안전교육 수요분석 및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Demand and Seating Capacity for Maritime Safety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Seafarers Act Revision)

  • 배석한;이진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71-678
    • /
    • 2016
  • 이 연구는 과거 안전교육 실적, 선원통계연보, 안전교육대상자, 안전교육증서의 유효기간, 선원의 취업률 및 정년퇴직 연령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안전교육대상인원을 예측하고, 선원안전교육 수행 기관의 교육 수용능력을 분석하여 안전교육 수요증대와 집중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향후 5년간 연평균 안전교육 수요는 선원법 기준으로 약 10,444명으로 예상되며, 현재 안전교육기관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정 인원은 연평균 7,280여명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선원법 개정에 따른 안전교육 수요증대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시설을 확충하여 안전교육 수용능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충북 문화산업 수요의 실증적 분석 (Empirical Analysis on Cultural Industry Demand in Chung-Buk Province)

  • 정초시;신길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65-174
    • /
    • 2007
  •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문화산업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문화상품이 공공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정부가 공급한다는 점에서, 얼마나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지가 의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에서의 문화수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지방정부가 문화산업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준거를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수요자의 문화산업의 포괄적 만족도 결정요인, 문화산업 유형의 결정요인에서 참여형과 관람형 문화산업 중 어떤 유형을 결정할 것인가, 여가수요에서 재화집약적 여가수요 및 시간집약적 여가수요의 결정요인을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지방정부가 최적의 문화상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요자의 필요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Implementation of ISO45001 Considering Strengthened Demands for OHSMS in South Korea: Based on Comparing Surveys Conducted in 2004 and 2018

  • Lee, Junghyun;Jung, Jinyeub;Yoon, Seok J.;Byeon, Sang-Ho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418-424
    • /
    • 2020
  • Background: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work-related accident rate decreased in Korea after the introduction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HSMS), but there were several disasters in Korea such as subway worker's death at Guui station in 2016 and the Taean thermal power plant accident in 2018, which escalated the social demand for safety. In 2018, OHSMS became an international standard, as ISO45001 was announc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OHSMS and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past survey. Results: Enhanced social demand and various stakeholders' (not only buyer) needs,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perceived as the motiv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OHSMS rather than legal compliance or customer demand. In the questionnaire about problems with the implementation of OHSMS, the factors with higher response rate in 2018 than 2004 were "excessive cost" and "complicated documentation management." In the questionnaire about how to promote OHSMS in organizations, most people answered "reduction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rate" in 2004, but most people answered "exemption from health and safety supervision" in 2018.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SO45001, emphasis is placed on social demand, training to recognize health and safety as a part of management, and the reduction of certification and consulting costs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OHSMS. Incentives such as insurance premium cuts and exemptions from health and safety supervision are needed.

발전 설비 지속 가능 운영 기술 연구 (A Study of the Sustainable Operation Technologies in the Power Plant Facilities)

  • 이창열;박길주;김태환;구영현;이성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842-848
    • /
    • 2020
  • 연구목적: 노후화된 발전기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하여 효율적이며, 안전한 운영이 중요하다. 효율적 운영이란 경제적 관점이며, 안전한 운영은 발전 설비의 치명적 사고 발생에 대한 발생 이전의 사전 조치를 말한다. 그러므로 발전기의 지속가능 운영 모니터링을 위하여 관련된 센서 설치와 이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에 대한 예측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전기와 열에 대한 수요 예측, 엔진의 성능과 이상을 탐지하는 예측, 그리고 재 난 안전에 대한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센서를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예측 모델을 각각 개발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요 예측 모델은 기존의 79%에서 90% 이상으로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다른 2개 모델도 시스템의 지속가능한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였다. 결론: 노후화된 발전설비의 지속가능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3가지 종류의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제이비주식회사의 발전 설비에 실제 적용하여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