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v

검색결과 1,146건 처리시간 0.029초

ON EXISTENCE OF SOLUTIONS OF DEGENERATE WAVE EQUATIONS WITH NONLINEAR DAMPING TERMS

  • Park, Jong-Yeoul;Bae, Jeong-Ja
    • 대한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65-490
    • /
    • 1998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existence and asymptotic behavior of solutions of the following problem: $u_{tt}$ -(t, x) - (∥∇u(t, x)∥(equation omitted) + ∥∇v(t, x) (equation omitted)$^{\gamma}$ $\Delta$u(t, x)+$\delta$$u_{t}$ (t, x)│sup p-1/ $u_{t}$ (t, x) = $\mu$│u(t, x) $^{q-1}$u(t, x), x$\in$$\Omega$, t$\in$[0, T], $v_{tt}$ (t, x) - (∥∇uu(t, x) (equation omitted) + ∥∇v(t, x) (equation omitted)sup ${\gamma}$/ $\Delta$v(t, x)+$\delta$$v_{t}$ (t, x)│sup p-1/ $u_{t}$ (t, x) = $\mu$ u(t, x) $^{q-1}$u(t, x), x$\in$$\Omega$, t$\in$[0, T], u(0, x) = $u_{0}$ (x), $u_{t}$ (0, x) = $u_1$(x), x$\in$$\Omega$, u(0, x) = $v_{0}$ (x), $v_{t}$ (0, x) = $v_1$(x), x$\in$$\Omega$, u│∂$\Omega$=v│∂$\Omega$=0 T > 0, q > 1, p $\geq$1, $\delta$ > 0, $\mu$ $\in$ R, ${\gamma}$ $\geq$ 1 and $\Delta$ is the Laplacian in $R^{N}$.X> N/.

  • PDF

10 nm 이하 무접합 원통형 MOSFET의 온-오프전압△Von-off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On-Off Voltage △Von-off in Sub-10 nm Junctionless Cylindrical Surrounding Gate MOSFET)

  • 정학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3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10 nm 이하 무접합 원통형 MOSFET의 온-오프 전압 ${\Delta}V_{on-off}$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문턱전압이하 전류가 $10^{-7}A$일 때 게이트 전압을 온 전압, $10^{-12}A$일 때 게이트 전압을 오프 전압으로 정의하고 그 차를 구하였다. 10 nm 이하에서는 터널링 전류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터널링 전류의 유무에 따라 ${\Delta}V_{on-off}$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포아송방정식을 이용하여 채널 내 전위분포를 구하였으며 WKB 근사를 이용하여 터널링 전류를 구하였다. 결과적으로 10 nm 이하 JLCSG MOSFET에서 터널링 전류에 기인하여 ${\Delta}V_{on-off}$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8 nm 이하의 채널길이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채널 반지름과 산화막 두께가 증가할수록 ${\Delta}V_{on-off}$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N A GENERALIZED DIFFERENCE SEQUENCE SPACES DEFINED BY A MODULUS FUNCTION AND STATISTICAL CONVERGENCE

  • Bataineh Ahmad H.A.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261-272
    • /
    • 2006
  • In this paper, we define the sequence spaces: $[V,{\lambda},f,p]_0({\Delta}^r,E,u),\;[V,{\lambda},f,p]_1({\Delta}^r,E,u),\;[V,{\lambda},f,p]_{\infty}({\Delta}^r,E,u),\;S_{\lambda}({\Delta}^r,E,u),\;and\;S_{{\lambda}0}({\Delta}^r,E,u)$, where E is any Banach space, and u = ($u_k$) be any sequence such that $u_k\;{\neq}\;0$ for any k , examine them and give various properties and inclusion relations on these spaces. We also show that the space $S_{\lambda}({\Delta}^r, E, u)$ may be represented as a $[V,{\lambda}, f, p]_1({\Delta}^r, E, u)$ space. These are generalizations of those defined and studied by M. Et., Y. Altin and H. Altinok [7].

접촉쌍성 V523 Cas의 측광학적 관측과 분석 (PHOTOMETRIC OBSERVATIONS OF THE CONTACT BINARY SYSTEM V523 CASSIOPEIAE)

  • 정장해;김천휘;이용삼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3호
    • /
    • pp.177-188
    • /
    • 2006
  •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로 2003년 1월 6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WUMa형 접촉쌍성 V523 Cas를 측광판측하여 총 920개의 관측점(${\Delta}B$: 230점, ${\Delta}V$. 230점, ${\Delta}R$: 230점, ${\Delta}I$: 230점)을 얻었다. 우리의 관측점으로부터 9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주극심: 5개, 부극심: 4개)을 산출하였다. 2004년도 Wilson-Devinney(WD) 쌍성 모형으로 우리가 얻은 새로운 BVRI 광도곡선과 Rucinski et al.(2003)의 시선속도 곡선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서 V523 Cas의 제 물리요소를 새롭게 산출하였다. 광도곡선에 나타난 작은 비대칭을 온도가 높은 주성의 광구 표면에 차거운 흑점과 반성에 뜨거운 흑점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측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TU UMi의 변광성 분류 (Photometric Classification of the Variable Star TU UMi)

  • 이호;김승리;조미선;이재우;박홍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5-700
    • /
    • 2006
  • 변광성 TU UMi의 변광 유형의 분류를 위하여 소백산 천문대 0.6m광학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B, V, I 필터를 이용한 시계열 측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변광성의 분류를 위하여 V 필터와 I 필터로부터 얻은 광도 곡선의 진폭의 비$({\Delta}i/{\Delta}v)$, 색의 변화$({\Delta}(b-v),\;{\Delta}(v-i))$로 부터 TU UMi가 W UMa형 식쌍성임을 확인하였으며, 우리의 관측 자료에서 2개의 극심 시각(UJD 2453848.04456, HJD 2453848.23088)을 구하였고, 새로운 광도 요소(Min I=HJD 2452500.1344+0.37708907${\times}$E)를 결정하였다.

HF와 DF 혼합계내에서의 상호간 진동-진동 에너지 이동 (Vibration-to-Vibration Energy Transfer Between HF and DF in the Mixture)

  • 이창순;김유항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6-33
    • /
    • 1984
  • HF와 DF 혼합계내에서 일어나는 다음 두 진동-진동 에너지 이동 반응의 속도상수$(k_{vv})$를 n=2~5에 대해 300~800K 온도 범위에서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HF(v=n) + DF(v=0) ${\to}$ HF(v=n-l) + DF(v=l) + ${\Delta}E$(a) DF(v=n) + HF(v=0) ${\to}$ DF(v=n-l) + HF(v=l) + ${\Delta}E$(b) 이용한 충돌모형은 수소결합에너지를 분자간 상호작용의 주축으로 삼는 loosely-held, non-rigid dimer model이었고, 계산법으로는 반고전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계산 결과 반응(a)에 대한 속도상수가 반응(b)에 대한 속도상수 보다 훨씬 HF-DF 혼합계 내에서는 진동에너지가 HF에서 DF로 이동함이, 또한 반응(a)에 대한 속도 상수는 온도가 높아질 수록 감소하고, 진동 양자수가 커질 수록 증가하는 반면에, 반응 (b)에 대한 속도 상수는 온도 의존성과 양자수 의존성에 있어서 대체로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임을 밝혔으며, 이 계산 결과는 주로 에너지 차 ${\Delta}E$의 부호와 크기로써 설명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EXISTENCE OF POSITIVE SOLUTIONS FOR A CLASS OF QUASILINEAR ELLIPTIC SYSTEM WITH CONCAVE-CONVEX NONLINEARITIES

  • Yin, Honghui;Yang, Zuodo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9권3_4호
    • /
    • pp.921-936
    • /
    • 2011
  • In this paper, our main purpose is to establish the existence of weak solutions of a weak solutions of a class of p-q-Laplacian system involving concave-convex nonlinearities: $$\{\array{-{\Delta}_pu-{\Delta}_qu={\lambda}V(x)|u|^{r-2}u+\frac{2{\alpha}}{\alpha+\beta}|u|^{\alpha-2}u|v|^{\beta},\;x{\in}{\Omega}\\-{\Delta}p^v-{\Delta}q^v={\theta}V(x)|v|^{r-2}v+\frac{2\beta}{\alpha+\beta}|u|^{\alpha}|v|^{\beta-2}v,\;x{\in}{\Omega}\\u=v=0,\;x{\in}{\partial}{\Omega}}$$ where ${\Omega}$ is a bounded domain in $R^N$, ${\lambda}$, ${\theta}$ > 0, and 1 < ${\alpha}$, ${\beta}$, ${\alpha}+{\beta}=p^*=\frac{N_p}{N_{-p}}$ is the critical Sobolev exponent, ${\Delta}_su=div(|{\nabla}u|^{s-2}{\nabla}u)$ is the s-Laplacian of u. when 1 < r < q < p < N, we prove that there exist infinitely many weak solutions. We also obtain some results for the case 1 < q < p < r < $p^*$. The existence results of solutions are obtained by variational methods.

코발트와 니켈로 치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Cathode, Li(${Mn_{1-\delta}}{M_{\delta}$)$_2$$O_4$${LiMn_2}{O_4}$의 Cut-off 전압 변화에 따른 충방전 특성 (Charge-discharge Properties by Cut-off Voltage Changes of Li(${Mn_{1-\delta}}{M_{\delta}$)$_2$$O_4$ and ${LiMn_2}{O_4}$in Li-ion Secondary Batteries)

  • 유광수;박재홍;이승원;조병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24-430
    • /
    • 2001
  • Cut-off 전압 변화에 따른 충방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n을 다른 전이 금속이 Co와 Ni로 소량 치환시킨 Li(M $n_{1-{\delta}}$ $n_{\delta}$)$_2$ $O_4$(M=Ni, Co, $\delta$=0, 0.05, 0.1, 0.2)를 고상 반응법으로 80$0^{\circ}C$에서 48시간 동안 유지하여 합성하였다. 충방전의 cut-off 전압은 2.5~4.4V, 3.0~4.5V, 3.5~4.5V, 3.5V~4.7V의 네 가지 전압범위고 하였다. 충방전 실험결과, Li(M $n_{1-{\delta}}$ $n_{\delta}$)$_2$ $O_4$의 용량은 각각 Co와 Ni의 $\delta$=0.1에서 최대를 보였다. Co 치환 조성 재료와 순물질 모두에서 최대의 용량을 보인 cut-off 전압대는 3.5~4.5V 이었는데 이때의 Li(M $n_{0.9}$ $Co_{0.1}$)$_2$ $O_4$와 LiM $n_2$ $O_4$의 초기 충전용량과 초기 방전용량은 각각 118, 119mAh/g과 114, 104mAh/g 이었다. 또한 모든 cut-off 전압대에서 Li(M $n_{0.9}$ $Co_{0.1}$)$_2$ $O_4$는 순수한 LiM $n_2$ $O_4$보다 더 높은 용량과 우수한 싸이클 성능을 보였으며 그 결과는 밀착형 전지구성에서도 일치하였다.하였다.

  • PDF

고압하에서 1-Adamantyl Fluoroformate의 가용매분해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s of the Solvolysis of 1-Adamantyl Fluoroformate under High Pressure)

  • 경진범;;김종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9
    • /
    • 1993
  • 메탄올 및 에탄올 수용액내에서 1-adamantyl fluoroformate의 가용매분해반응속도를 여러 압력하에서 전도도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들 속도상수로부터 활성화부피(${\Delta}V^{\neq}{_o}$), 활성화압축율계수(${\Delta}{\beta}^{\neq}$), 활성화엔탈피(${Delta}H^{\neq}$), 활성화엔트로피(${Delta}S^{\neq}$), 그리고 활성화 착물에서의 charge development(△P)를 구하였다. 또한 에탄올 수용액내에서 가용매분해반응으로 인한 생성물에 대한 selectivity를 G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Delta}V^{\neq}{_o}$${\Delta}{\beta}^{\neq}$의 값은 모두 음의 값을 ${Delta}H^{\neq}$는 양의 값을 ${Delta}S^{\neq}$은 큰 음의 값을 얻었다. 이 현상을 용매구조변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반응은 acyl carbon을 공격하는 이분자성반응과 가용매분해과정(S-D)인 용매-분리이온쌍반응으로 추정할 수가 있었다.

  • PDF

고압 및 고진공에서의 피리딘과 벤조일클로라이드류의 반응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for the Reactions of Pyridine with Benzoylchlorides under High Pressure and High Vacuum)

  • 김세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54-260
    • /
    • 2004
  • 아세토니트릴 용매내에서 파라치환 염화벤조일류($p-CH_3$, p-H, $p-NO_2$)와 피리딘의 반응속도를 온도와 압력변화에 따라 전기전도도법으로 측정하여 유사 1차반응속도상수와 2차반응속도상수를 구하였다. 이들 반응속도상수로부터 활성화파라미터들(${\Delta}V{\ddagger},\;{\Delta}{\beta}{\ddagger},\;{\Delta}H{\ddagger},\;{\Delta}S{\ddagger},\;{\Delta}G{\ddagger}$ 과 Hammett ${\rho}$를 구하였다. 이때 ${\Delta}V{\ddagger},\;{\Delta}{\beta}{\ddagger}$${\Delta}S{\ddagger}$는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압력 조건에서 기질의 치환기효과 ${\rho}_Y$는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압력과 치환기 변화에 따른 속도론적 연구를 종합하면, 전체적인 반응은 전형적인 $SN_2$ 반응메카니즘을 따르며, 압력 증가에 따라 결합 형성이 더욱 촉진된 반응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