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ivery worker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6초

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I: 모델 개발을 위한 사례관리 적용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Operation of An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for Model Development)

  • 김정우;이주열;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107-131
    • /
    • 1998
  • 다양한 사회복지와 보건의료 서비스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통합기능 창출 노력의 첫 단계로서, 서울시 은평구에서 각종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생활보호 노인 및 장애인들을 시법 사례로 선정하여 사례관리 팀 접근법을 적용 실천해 보았다. 본 연구는 사례관리 팀의 구성과정 및 실천과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보건소의 가정도우미 및 담당 사회복지사, 방문간호사, 사회복지관의 재가복지담당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사례관리팀에서는 1) 클라이언트와 생활환경에 대한 정보 교환, 2) 각 기관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내용 파악, 3)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 내용 파악, 4) 클라이언트 욕구에 대한 우선 순위 설정, 5) 단일 클라이언트에게 중복 실시되는 서비스 내용 조정, 6) 사례별 사례관리자의 지점, 7) 서비스 통합 또는 연계 체계 구축 시 고려해야할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보건소나 사회복지관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각 기관별로 부분적인 사례관리를 하여 단일 클라이언트에 대한 관리체계의 분열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사례관리 팀을 운영함으로써 중복된 서비스 지원의 방지와 적절히 조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통합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서비스 통합 체계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주체가 중요한데 지역사회 단위에서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어 민간기관의 참여와 협조를 이끌어 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농촌지역(農村地域) 주민(住民)에 빈발(頻發)하는 주소(主訴)를 중심(中心)으로 한 질병분류(疾病分類) (Classification of Frequently Occurring Disease by Chief Camplaints in Rural Area)

  • 강승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2권1호
    • /
    • pp.61-69
    • /
    • 1979
  • 군위군(軍威郡) 4개면(個面)에서 4,559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최근(最近) 2주간에 발생한 질병(疾病)을 주소(主訴)를 중심(中心)으로 질병(疾病)을 분류(分類)하였다. 이 기간(期間)에 발생(發生)한 질병발생률(疾病發生率)은 급성질환(急性疾患)과 만성질환(慢性疾患)을 합쳐서 22.5%였고 이중 호흡기질환(呼吸器疾患)이 36.5%, 소화기질환(消化器疾患)이 18%, 외상(外傷)이 8%, 신경계 질환(疾患)이 7.5 %로 나타났다. 호흡기(呼吸器) 질환(疾患)에서는 감기가 33.2 %, 상기도감염(上氣道感染)이 25.1 %, Iifluenza 7.3 %로 치료용역(治療容易)한 질환(疾患)이 많았다. 소화기질환(消化器疾患)에서는 위염(胃炎)이 26.4%, 위궤양(胃潰瘍)이 36.4 %, 장염(腸炎)이 13.6%. 식중독(食中毒)이 7.1 % 순(順)으로 나타났다. 그외 외상(外傷)에서는 찰과상(擦過傷)이 60 %, 피부과질환(皮膚科疾患)에서는 접촉성피부염(接 性皮膚炎)이 65 %, 신경계질환(神 系疾患)에서는 요통이 67 %,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질환(疾患)에서는 편도선염이 35 %, 순환기질환(循環器疾患)에서는 고혈압(高血壓)이 83%등 비교적(比較的) 치유용역(治癒容易)한 질병(疾病)이 많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농촌질병(農村疾病)의 요원별(要員別) 진료한계(診療限界)는 진료보조원(診療補助員)이 42.1 %, 보건진료원(保健診療員)이 70.0 %, 일반의가 97.5%정도 진료(診療)할 수 있다고 나타났다.

  • PDF

가족센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Support Service for Adoptive Families in terms of Necessity and Role of the Family Center)

  • 이선형;배지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1-17
    • /
    • 2022
  • 본 연구는 가족센터와 입양기관에서 입양 프로그램을 다룬 경험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진행 경험을 살펴봄으로 가족센터의 입양가족 대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역할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인터뷰에 응한 가족센터 3기관의 종사자 9명, 입양기관 2기관의 종사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가족센터가 처음 입양가족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된 계기로는 다양한 가족을 발굴하면서와 주요 의사결정 대상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기존 프로그램에 입양가족이 참여하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 대상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 즉 자조모임과 공동육아나눔터 등에 만족하면서 가족교육이나 가족상담을 요청하면서 확장되었다. 그러면서 현장의 실무가들은 입양가족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가게 되고 좀 더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셋째, 실무가의 애로사항이기도 한 것으로, 정부 부처의 공식적 요청이나 지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의 매뉴얼이 없어 자신들의 방식으로 주변 입양기관과의 협력과 자원 발굴의 과정을 거치면서 입양프로그램을 진행해오고 있었다. 넷째, 실무가들이 평가하는 전달체계로서 가족센터의 장점은 전국적 인프라와 가족 전문가의 상주, 통합적 가족 프로그램 제공 등을 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극복해야 할 점으로는 입양가족 대상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담당자의 대상자 이해교육과 입양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기본 메뉴얼 제공, 가족 대상자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를 꼽았다. 이에 대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입양가족의 건강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유통경로 내 조직간 영역초월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organizational Boundary Spanning Behaviors between Buyers and Sellers)

  • 김상덕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7년도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26
    • /
    • 2007
  • 최근 영역초월행동에 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영역초월행동은 종업원들이 사전에 정해진 역할을 넘어서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을 의미하는데, 영역초월행동은 고객의 만족과 서비스 품질지각, 그리고 호의적인 구전활동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영역초월행동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기업 간 거래관계, 특히 유통경로 구성원간 관계에서 영역초월행동에 관한 연구는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서비스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영역초월행동을 유통경로 조직간 관계에서 다루었다. 특히, 본 연구는 다양한 유통경로의 조직패턴, 즉, 기업형, 계약형, 그리고 전통형 유통경로별로 영역초월행동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도 탐험적으로 살펴보았다. 자동차 대리점 200점,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 120점, 산업자재 소매점 104점, 총 420개의 소매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판매자의 의사소통의 질, 공정성, 마케팅 프로그램의 일관성이 구매자의 관계만족과 조직결속을 통해 영역초월행동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역초월행동은 수직적 통합수준이 높은 계약형과 기업형 경로구조에서 더 활발하게 나타났다.

  • PDF

Barriers to Cervical Screening among Pacific Women in a New Zealand Urban Population

  • Foliaki, Sunia;Matheson, An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4호
    • /
    • pp.1565-1570
    • /
    • 2015
  • Background: In Aotearoa/New Zealand cervical screening programmes have reduced cervical cancer; however, half of cervical cancer cases among Pacific women are found among clients who had not attended cervical screening. Hence, we set out to determine health provider perspectives on barriers that prevent their services reaching Pacific women within Aotearoa/New Zealan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ealth care providers, Pap smear takers and community workers in the Wellington region. Participants were asked their views on factors that enabled and/or constrained the participation of Pacific women in their cervical screening services. Results: Six interrelated theme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cervical screening among Pacific women in the Wellington region were apparent: the funding and practice of service delivery; family always coming first; the cost of screening services; type of employment; the appropriateness of information; and attitudes to self and screening. Conclusions: Determining specific ethnic group actual health needs and meeting them contributes to overall improvement in New Zealand's health status. The results identified the need for improvements to the delivery of screening services including adapting cervical screening services to the requirements of Pacific women through more outreach services at alternate clinic hours; culturally appropriate practitioners; the ability to take up opportunities for health checks and foster long-term relationships; as well as appropriat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approaches. Funding and reporting relationships also need to be compatible with the goal of improving outcomes for Pacific women. Further research into client voices for their particular needs to compliment the service provider perspective as well as minority groups is called for.

고분자 가교반응 시스템 (Crosslinking reaction system of polymers)

  • 고종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32
    • /
    • 2012
  • 가교에 관한 리뷰논문으로 특허의 다수는 의료용이다. 조직공학용 지지체나 약물전달용 매체로 쓰이는 고분자의 가교는 세포 무독성, 제 자리 겔 형성성이 있는 가교반응을 중시하고 있다. 가교를 탄성률, 내약품성, 내열성의 증대 목적 외에 가교부위에 금속 흡착성, 방오성, 항균성, 이온교환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환경의 자극에 응답하는 스마트 가교, 환경을 고려한 광 가교, 물리적 가교, 효소가교, 천연물 가교, 수성가교가 연구되고 있다. 120세 수명을 목표로 의용재료의 발전에 고분자 소재의 개발도 필수적이다. 가교를 통한 고분자의 기능성 부여 및 물성 강화도 더욱 섬세하게 될 것이다. 고분자 가교물 중의 중요한 분야를 점하는 히드로젤은 주사용 제자리 겔 형성성의 개선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코팅용 고분자 가교제는 작업자,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저독성-무독성의 가교제, 낮은 에너지에서 가교되는 에너지 절약형 가교제가 개발될 것이다.

대구지역 택배서비스업 종사자의 디젤엔진배출물 노출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Diesel Engine Exhaust among Door-to-door Deliverers in Daegu)

  • 이가현;김승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1-37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diesel engine exhaust (DEE) exposure levels of door-to-door deliverers in Daegu from July to September. Methods: We measured exposure levels of DEE surrogates for the same door-to-door deliverers who joined the particulate matter 2.5 exposure study previously published in this journal. Black carbon(BC)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real-time BC monitoring devices with 1 minute interval. $NO_2$ concentrations were monitored using passive badges. DEE exposur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GPS information as the first study. Results: A total of 40 measurements of BC concentrations and $NO_2$ concentrations were collected during delivery of parcels. The average exposure levels to BC, and $NO_2$ were $2.23{\mu}g/m^3$ ($0.001-350.85{\mu}g/m^3$) and 21.26 ppb(3.3-61.37 ppb), respectively. Exposure levels to BC according to the day of a week and coverage are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Delivery trucks manufactured before 2006 caused significantly higher exposure to BC than the trucks manufactured after 2006(p<0.05). Exposure levels of BC integrated for each time in residential area and roadsides were $1.96{\mu}g/m^3$ and $3.46{\mu}g/m^3$,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ambient $PM_{2.5}$ and BC was significant, r=0.26(p<0.01);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PM_{2.5}$ and ambient $PM_{2.5}$, and between BC of DEE and $PM_{2.5}$ of DE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BC and $NO_2$ exposur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door-to-door deliverers drove newer trucks. BC exposure levels of deliverers were higher in roadsides than in residential area. DEE from nearby vehicles through open windows might be the main source of BC exposure.

AHP법을 활용한 창고형 매장의 통합 Depot 위치선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location selection of integrated depot of warehouse stores utilizing AHP method)

  • 박병준;남태현;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5-144
    • /
    • 2019
  • 대형마트보다 저렴하고 편의성도 높은 창고형 매장에 대한 물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창고형 매장의 통합 Depot 위치선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 Depot 위치선정을 위한 요인도출 및 가중치 산출, 대상지의 위치 우선순위 산정을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법을 도입하여 계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선정 요인별 중요도에서는 수배송 비용절감(0.198)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수배송 거리절감(0.168), 수배송 시간절감(0.149) 순으로 도출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Depot를 통합 운영 시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가를 수치화하여 실제 실무자들에게 보다 현실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연구에서는 분석에 사용되는 요인의 추가작업을 통하여 분석모형을 정교화 할 필요가 있다.

On the Integrated Operation Concept and Development Requirements of Robotics Loading System for Increasing Logistics Efficiency of Sub-Terminal

  • Lee, Sang Min;Kim, Joo Uk;Kim, Young 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85-94
    • /
    • 2022
  • Recently, consumers who prefer contactless consumption are increasing due to pandemic trends such as Corona 19. This is the driving force for developing the last mile-based logistics ecosystem centered on the online e-commerce market. Lastmile led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but increased the amount of cargo in urban area, and caused social problems such as overcrowding of logistics. The courier service in the logistics base area utilizes the process of visiting the delivery site directly because the courier must precede the loading work of the cargo in the truck for the delivery of the ordered product. Currently, it's carried out as automated logistics equipment such as conveyor belt in unloading or classification stage, but the automation system isn't applied, so the work efficiency is decreasing and the intensity of the courier worker's labor is increased. In particular, small-scale courier workers belonging to the sub-terminal unload at night at underdeveloped facilities outside the city center. Therefore, the productivity of the work is lowered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exposed, so robot-based loading technology is needed. In this paper, we have derived the top-level concept and requirements of robot-based loading system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logistics processing and to ensure the safety of courier drivers. We defined algorithms and motion concepts to increase the cargo loading efficiency of logistics sub-terminals through the requirements of end effector technology, which is important among concepts. Finally, the control technique was proposed to determine and position the load for design input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conveyor system.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 이연옥;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3-276
    • /
    • 2014
  • 최근 한국사회에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주민의 증가는 문헌정보전문직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에게 적절하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을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이며, 그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등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내용 체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다문화서비스를 이행하고 있는 사서, 다문화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사서에게 필요한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에 대한 태도, 다문화에 대한 지식, 다문화에 대한 기술이라는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그 세부적 요소로서 다문화 태도, 다문화구성원에 대한 지식,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지식, 장서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전달, 언어의 다양성, 교육 및 인력개발 부문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