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ayed pubert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청소년의 월경 장애 (Adolescent menstrual disorders)

  • 홍창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257-1262
    • /
    • 2006
  • The age of puberty represents a very critical time in the life history of every young woman. The menarche stands as primary indicator of the onset of sexual maturation in females. By late adolescence, 75% of girls experience some problem associated with menstruation. Delayed, irregular, painful, and heavy menstrual bleeding are leading reasons for physician office visits by adolescents, and dysmenorrhea is the leading reason for school absenteeism among girls. This article discusses normal menstrual function during adolescence, then reviews the clinical presenta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dolescent dysmenorrhea,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amenorrhea,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Makorin 1 Regulates Developmental Timing in Drosophila

  • Tran, Hong Thuan;Cho, Eunjoo;Jeong, Seongsu;Jeong, Eui Beom;Lee, Hae Sang;Jeong, Seon Yong;Hwang, Jin Soon;Kim, Eun 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12호
    • /
    • pp.1024-1032
    • /
    • 2018
  • The central mechanisms coordinating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are well conserved across invertebrates and vertebrates. Although mutations in the gene encoding makorin RING finger protein 3 (mkrn3) are associated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in humans, a causal relationship has not been elucidated. Here, we examined the role of mkrn1, a Drosophila ortholog of mammalian makorin genes, in the regulation of developmental timing. Loss of MKRN1 in $mkrn1^{exS}$ prolonged the $3^{rd}$ instar stage and delayed the onset of pupariation, resulting in bigger size pupae. MKRN1 was expressed in the prothoracic gland, where the steroid hormone ecdysone is produced. Furthermore, $mkrn1^{exS}$ larvae exhibited reduced mRNA levels of phantom, which encodes ecdysone-synthesizing enzyme and E74, which is a down-stream target of ecdysone.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KRN1 fine-tunes developmental timing and sexual maturation by affecting ecdysone synthesis in Drosophila. Moreover, our study supports the notion that malfunction of makorin gene family member, mkrn3 dysregulates the timing of puberty in mammals.

Current issues of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Korea

  • Oh, Seak Hee;Kim, Kyung M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11호
    • /
    • pp.465-471
    • /
    • 2014
  •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s a chronic relapsing disorder of unknown etiology, which is believed to be multifactorial. Recently, the incidence of pediatric IBD has steeply increased in Korea since 2000. Poorly controlled disease activity can result in complications such as intestinal fistulae, abscess, and stricture, as well as growth retardation and delayed puberty in children. Because of a lack of confirmative tests, various diagnostic modalities must be used to diagnose IBD. Onset age, location, behavior, and activity are important in selecting treatments. Monogenic IBD must be excluded among infantile and refractory very-early-onset IBD. Early aggressive therapy using biologics has recently been proposed for peripubertal children to prevent growth failure and malnutrition.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di(2-ethyl hexyl)phthalate(DEHP)의 효과 (Effect of Di(2-ethyl hexyl)phthalate(DEHP) on the Onset of Puberty in Female Rat)

  • 이경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147-154
    • /
    • 2006
  • 전세계적으로 매년 대량생산되는 프탈레이트(phthalate)류 물질은 플라스틱처럼 다양한 생활용품의 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노출 정도가 매우 높은 산업 물질이다. 대표적으로 di(2-ethyl hexyl)phthalate(DEHP)와 그 활성 대사물인 monoethyl hexyl phthalate(MEHP)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로 작용하여 인간과 실험 동물의 생식계를 교란한다는 증거들이 급속히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DEHP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와 이와 관련된 생식 지표들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생후 25 일부터 corn oil 또는 DEHP(100mg/kg/day i.p.)를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다음 날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과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DEHP가 이들 조직에서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혈액내의 LH 수준을 방사면역측정법(RIA)로 측정하였다. 자궁 성숙의 지표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발현 양상은 정량적인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로, DEHP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35.3{\pm}0.7\;day$ in control group vs $37.3{\pm}0.7\;day$ in DEHP group, p<0.05). 흥미롭게도, 첫번째 주사 다음 날(p<0.05)부터 이후 마지막 주사 날(p<0.01)까지 DEHP 군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관찰하였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 그리고 혈중 LH 수준도 대조군에 비해 DEHP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대조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인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DEHP 군의 난소에서는 미성숙한 1차, 2차 난포 그리고 작은 퇴화 난포(atretic follicle)들만이 다수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대조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DEHP 군에서는 모든 세포층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이러한 결과는 DEHP가 과립세포에서의 에스트로겐 합성 분비에 억제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RT-PCR 결과 난소(p<0.05)와 자궁(p<0.01)에서의 PR mRNA 수준은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전 특정 시기에 단기적인 DEHP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 활성화가 억제되고, 그 결과 사춘기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미성숙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Vinclozolin의 영향 (Effect of Vinclozolin on the Onset of Puberty in Immature Female Rats)

  • 안나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45-251
    • /
    • 2007
  •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vinclozolin(VCZ)은 과일, 야채, 관상용 식물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병들을 통제하는데 사용되어왔다. VCZ의 대사산물인 M1과 M2는 흔히 토양, 식물, 포유류에 잔존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VCZ가 갖는 항안드로겐성 활성 때문에 주로 수컷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암컷의 사춘기와 생식계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VCZ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와 이와 관련된 생식 지표들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생후 21일부터 vehicle(DMSO) 또는 VCZ(10 mg/kg/day i.p.)를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날 오후에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과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VCZ가 이들 조직에서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수행하여 단백질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자궁 성숙의 지표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발현 양상은 정량적인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로, VCZ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PND $34.00{\pm}1.22$ in control group vs PND $38.20{\pm}1.92$ in VCZ group, p<0.05). 그러나 체중 변화의 경우, 대조군과 VCZ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VCZ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대조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인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의 난소에서는 미성숙한 1차, 2차 난포 그리고 작은 퇴화 난포(atretic follicle)들만이 다수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대조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에서는 모든 세포층과 분비선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RT-PCR 결과, 난소(p<0.01)에서의 PR mRNA 수준은 VCZ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개시 전 특정시기에 단기적인 VCZ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 활성화가 억제되고, 그 결과 사춘기 개시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악안면 형태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 발육장애의 영향 (Effect of Developmental Disorders of Maxillary First Molars on Orofacial Morphology)

  • 박소영;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9-21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제1대구치의 결손 또는 발육 지연을 보이는 증례에서 나타나는 악안면 형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7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어린이 2983명의 교정 진단자료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여 상악 제1대구치가 편측 또는 양측으로 결손되거나 발육지연을 보이는 34명을 선정하였다. Demirjian 법을 응용하여 상하악 치령을 추정하고 역령과 비교하였다. 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 계측을 통해 골격 및 치아치조적 부조화를 반영하는 지표들을 평가하였고, 전치부 교합관계를 확인하였다. 상악 치령은 역령과 비교할 때 유의하게 낮았다. 골격성 개방교합 경향 및 상악 열성장형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나타내는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치부 피개는 반대교합과 절단교합이 주로 나타났지만, 보상에 의해 정상 피개를 보이는 증례도 있었다. 상악 제1대구치의 선천결손 및 발육지연은 상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제1대구치의 발육장애가 확인될 경우 사춘기 동안의 악안면 성장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적절한 시기에 교정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심한 변비와 복부팽만으로 발견된 소아 크론병 1예 (Pediatric Crohn's Disease presenting as Severe Constipation and Abdominal Distension)

  • 성명순;강석정;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39-144
    • /
    • 2008
  • Crohn'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at mainly affects children and young adults. Its cause remains unknown. The incidence of pediatric Crohn's disease is increasing, so it is important for clinicians to be aware of the presentation of this disease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majority of patients complain of abdominal pain (72%), with only 25% presenting with the 'classical triad' of abdominal pain, weight loss, and diarrhea. Many children with Crohn's disease present in a 'non-classical' manner, with vague complaints such as lethargy or anorexia,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only mild abdominal discomfort. Other symptoms include fever, nausea, vomiting, growth retardation, malnutrition, delayed puberty, psychiatric symptoms, arthropathy, and erythema nodosum. Severe constipation and abdominal distension are uncommon symptoms at diagnosis. We report a case of pediatric Crohn's disease, which was diagnosed after the patient presented with severe constipation and abdominal distension.

  • PDF

Noonan syndrome and RASopathies: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management

  • Lee, Beom Hee;Yoo, Han-Wook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19
  • Noonan syndrome (NS) and NS-related disorders (cardio-facio-cutaneous syndrome, Costello syndrome, NS with multiple lentigines, or LEOPARD [lentigines, ECG conduction abnormalities, ocular hypertelorism, pulmonic stenosis, abnormal genitalia, retardation of growth and sensory neural deafness] syndrome) are collectively named as RASopathies. Clinical presentations are similar, featured with typical facial features, short stature, intellectual disability, ectodermal abnormalities, congenital heart diseases, chest & skeletal deformity and delayed puberty. During past decades, molecular etiologies of RASopathies have been growingly discovered. The functional perturbations of the RA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are resulted from the mutation of more than 20 genes (PTPN11, SOS1, RAF1, SHOC2, BRAF, KRAS, NRAS, HRAS, MEK1, MEK2, CBL, SOS2, RIT, RRAS, RASA2, SPRY1, LZTR1, MAP3K8, MYST4, A2ML1, RRAS2). The PTPN11 (40-50%), SOS1 (10-20%), RAF1 (3-17%), and RIT1 (5-9%) mutations are common in NS patients. In this review, the constellation of overlapping clinical features of RASopathies will be described based on genotype as well as their differential diagnostic points and management.

Anti-Mullerian Hormone Serum Concentrations in Prenatal and Postnatal Period in Murine

  • Kim, Dae You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9-155
    • /
    • 2013
  •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 (MIS) is a member of the TGF-${\bet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family whose members play key roles in development, suppression of tumour growth, and feedback control of the pituitary-gonadal hormone axis. MIS is expressed in a highly tissue-specific manner in which it is restricted to male Sertoli cells and female granulose cells. The serum levels of MIS in prenatal and postnatal ICR mice were measured using the enzyme-linked immuno-solvent assay (ELISA) using the MIS/AMH antibody. Mice were grouped by age: the significant periods were at the onset of development. During sex organ differentiation,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foetus MIS serum levels (both<0.1 ng/ml) was observed. However, MIS serum levels in pregnant mice markedly changed (4.5~12.2 ng/ml). After birth, postnatal female and male mice serum MIS levels changed considerably (male: <0.1~138.5 ng/ml, female: 5.3~103.4 ng/ml), and the changing phase were diametrically opposed (male: decreasing, female: fluctuat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S may have strong associations with not only develop-ment but also puberty. For further studies, establishing the standard MIS serum levels is of importance. Our study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MIS interactions with reproductive organ disability, cancer, and the effect of other hormone or menopause. We hypothesise that if MIS is regularly injected into middle-age women, meno-pause will be delayed. We detected that serum MIS concentration curves change with age. The changing phase is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this difference is significant after birth. Moreover, MIS mRNA is expressed during the developmental period (prenatal) and also in the postnatal period. This finding indicates that MI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al stage and in growth after birth.

개에서 뇌하수체 왜소증의 증례: 멜라토닌의 경구 투약에 의한 탈모의 개선 (A Case of Pituitary Dwarfism in a Dog: Improvement of Alopecia with Oral Melatonin)

  • 오승국;백대승;김윤혜;김남수;김종훈;김남정;정태호;김주민;박진호;박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3-315
    • /
    • 2014
  • 13개월령의 중성화하지 않은 암컷 미니어처 슈나우저 개가 귓바퀴의 소양감, 통증 및 상처치유의 지연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혈청 성장호르몬 농도가 참고범위 이하로 측정되었으며 자일라진 자극검사를 통해 뇌하수체 왜소증으로 진단되었다. 보호자가 원하지 않아 성장호르몬 및 프로게스틴 치료는 진행하지 않았으며, 탈모의 개선을 목적으로 멜라토닌 투여를 시작하였다. 멜라토닌 투여 이후, 귓바퀴의 탈모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