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p frying oil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19초

Potato Chip 제조시 TBHQ 와 Silicone 첨가유에 의한 저장 연장 효과 (Storage Effectiveness of Deep-Fried Potato Chip Prepared with Canola Oil Fortified with TBHQ and Silicone)

  • 정병두;이순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5-640
    • /
    • 1997
  • Potato chip을 제조시 canola유를 선택하여 potato chip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potato chip의 기름 함량이 40%정도까지 흡수하게 되는데 이 흡수된 기름이 저장과 유통되는 동안 potato chip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항산화제인 BHA, BHT, TBHQ와 silicone유를 첨가한 첨가 유의 항산화제 효과를 관능 검사와 함께 비교 고찰하였다. Potato chips에서 추출한 oil의 항산화제 효과는 canola oil+TBHQ (0.02%)+silicone (10 ppm)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다음은 canola oil+TBHQ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silicone을 첨가한 것이 탁월한 안정성을 보였고 항산화제로서 TBHQ가 매우 효과가 있었고 silicone를 첨가한 유지에서 탁월한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canola oil은 2개월부터 overall, flavor, aftertaste의 변화에 약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TBHQ과 silicone을 첨가한 oil는 2개월에서는 전 항목에서 변화가 없었고 4개월부터 overall, flavor, freshness, aftertaste의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2개월 정도 저장 안정성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열산화 홍화유의 돌연변이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tagenicity of Thermally Oxidized Safflower Oil)

  • 안명수;이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0-127
    • /
    • 2000
  • Deep-fat frying is a common cooking practic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cern regarding the mutagen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of thermally oxidized oils. Studies on deep-fried foods so far have revealed not much on the mutagenicity of the oils in the food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utagenicity ofthe thermally oxidized safflower oil. Oil was heated in a home-fryer at a temperature of 180$\pm$3$^{\circ}C$ for 48 hours. Oil samples were taken at 0, 8, 16, 24, 32, 40 and 48 hours of heating,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used to study the changes in peroxide value (POV), acid value (AV), iodine value (IV), conjugated dienoic acid (CDA) content, %,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other series of samples were fractionated into non-polar and polar fractions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mutagenicity of the samples taken from the thermally oxidized oils, as well as the non-polar and polar fractions of the thermally oxidized oils, was investigated with the Ames test. The Ames test was carried out with and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Bacterial tester strain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the histidine auxotrophic strains of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A1535 and TA102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base pair mutations, and TA98 and TA1537 for frame shift mutations. Each series of samples was dissolved in tetraphydrofuran (inhibitor-free) and tested at doses ranging from 0.05 to 5 mg/plate. None of the oil samples taken during the 48 hour oxidation period showed any mugagenic activity. This was the case, even after the activaton with 59 mix. Also, none of the polar and non-polar fractions showed any mutagenic activity on all the strains tested.

  • PDF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유채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apeseed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박연보;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8-47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라면제조용 튀김유지로 사용되어온 돼지기름, 쇠기름과 팜유 등의 수입유지의 대체유로서 유채유의 사용 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절한 항산화제를 첨가하거나, 팜유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이들의 라면 튀김유로서의 산화안정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제로는 천연 토코페롤,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tertiarybutyl hydroquinone (TBHQ), 그리고 ascorbyl palmitate의 경우에는 구연산과 함께 각각 0.02%의 농도로 시판유채유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혼합유로서는 이상의 유채유에 정제팜유를 각각 30, 50, 7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실에서 튀겨서 만든 시제라면을 $35.0{\pm}0.5^{\circ}C$의 항온기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그 일부를 일정기간 마다 취하여 여기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아니시딘가, 유전항수와 불포화 지방산도 비율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그 변화들과 저장 중인 시제라면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등을 검토하여, 사용한 튀김유들의 산화안정성을 추정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 사용한 항산화제들의 튀김유로 사용한 유채유에 대한 항산화효과의 순서는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BHA>천연 토코페롤의 순서였다. 여기서 천연 토코페롤과 BHA는 항산화제로서의 효과가 매우 약했으나.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했을 때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한편, TBHQ는 항산화제로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HQ를 0.02% 함유한 유채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이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성질로 추정할 때,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2. 한편, 혼합유로 튀겨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혼합유 중의 장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경우, 그 추출유지의 성질로 판단할 때 그 저장 안정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그 예로서 팜유를 70% 혼합한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비슷했다.

  • PDF

조리문헌에 수록된 소고기 건열조리법의 문헌적 고찰 - 1800년대 말~1990년대 조리서 중심으로 - (A Literature Study on Dry-heat Cooking for Beef in Culinary Literature - Focusing on Culinary Literature from the late 1800s to 1990s -)

  • 이윤화;신정규;변영미;김명준;민경종;박성진;송정무;정혜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73-48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 on beef recipes, focusing on 20 recipe books published from the late 1800s to 1990s. A total of 119 beef dry-heat cooking were recorded. The most often used cooking were as follows: roasting 54 times, skewering 35 times, stir-frying18 times, pan-frying11 times and deep frying 1 time. The culinary book that the recipes was Hangukeumsik daegwan (1997). ribs, brisket, rump, bottom sirloin, sirloin and tenderloin were used but all beef cuts were marked as 'beef.' Thus, it impossible to figure out which beef cut was used in the recipe. Chili, green onion, egg, tofu and wheat flour were used together as, while soy sauce, salt, sugar, sesame oil, ground pepper, pear juice, honey, chopped green onion, chopped garlic, ginger juice, ground sesame used as. In addition, pine nuts or ground pine-nuts were often used for garnish.

서울 지역 중화 요리점의 탕수육 및 튀김유의 품질 측정 (Quality Test of the Sweet-and-Sour Porks and Deep-Frying Oil from the Chinese Restaurants in Seoul)

  • 김효진;설성련;이기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6-542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중화 요리점들로부터 탕수육과 튀김유를 각각 수거하여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 트랜스 지방산 함량 및 산가를 비교 분석한 후 탕수육 및 튀김유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탕수육 20종 시료의 총 지방 함량은 평균 14.65%로 측정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평균적으로 linoleic acid($C_{18:2}$)는 38.13%, oleic acid($C_{18:1}$)는 30.07%, palmitic acid ($C_{16:0}$)는 17.14%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총 불포화지방산은 평균 70.79%, 포화지방산은 평균 23.47%로 측정되었다. 탕수육 시료 중 6번, 7번, 9번, 16번, 17번 시료를 제외하고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많았으며, 이 세 개의 지방산이 85.38~87.27%를 점유하였다. 반면에, 7번, 9번 시료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oleic acid(평균 41.88%), palmitic acid(평균 23.46%), linoleic acid(평균 15.22%)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16번, 17번 시료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oleic acid(평균 34.83%), linoleic acid(평균 28.68%), palmitic acid(평균 20.21%)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6번 시료는 palmitic acid가 40.70%로 높게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 포화지방산 함량은 49.26%, 총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50.05%를 나타내었다. 15종의 튀김유의 주요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palmitic acid는 11.65~20.28%, oleic acid는 23.54~26.32%, linoleic acid는 43.82~52.55%, stearic acid는 3.98~5.29%로 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탕수육 시료와 튀김유 각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은 0.24 g와 0.98 g 이하로 각각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시료는 식품공전상 튀김유의 산가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돈가스 튀김옷의 흡유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lulose Derivatives to Reduce the Oil Uptake of Deep Fat Fried Batter of Pork Cutlet)

  • 김병숙;이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8-495
    • /
    • 2009
  • 돈가스의 튀김과정에서 증가되는 지방량을 감소시키고자 튀김반죽에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를 각 0.5, 1,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점도, 튀긴 후 색도, 수분보유량 및 흡유량, 관능특성 등을 측정하여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한 튀김반죽의 점도는 속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고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동일 첨가수준에서 HPMC에 비하여 MC의 점도 증가가 매우 컸으며 HPMC 0.5%의 첨가군이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점도양상을 보였다. 반죽의 점도는 돈가스를 제조할 때 재료(원육)에 대한 튀김반죽의 coating성에 영향을 주어서 HPMC 0.5% 첨가군의 coating성이 가장 좋았다. 2. 튀김옷의 수분보유량과 흡유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보유량은 대조군(45.69%) < MC 0.5%(47.36%) < MC 1%(48.55%) < MC 1.5%(49.59%) < HPMC 0.5%(51.49%) < HPMC 1%(53.72%) < HPMC1.5%(56.45%)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흡유량은 대조군(15.49%)> MC 0.5%(15.44%) > MC 1%(15.25%) > MC 1.5%(15.05%) > HPMC 0.5%(14.69%) > HPMC 1%(12.62%) > HPMC 1.5%(10.03)의 순으로 감소하여 HPMC 1.5% 첨가 batter가 수분보유량이 가장 높으면서 흡유량은 가장 적었다. 3. 튀긴 돈가스의 명도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HPMC 보다 MC첨가에 의한 변화가 커서 1.5% MC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명도값을 나타냈다(p<0.001). 적색도는 HPMC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나 MC의 경우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관능검사 결과 튀긴 돈가스의 색은 HPMC 0.5% 및 1% 첨가 시 가장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그 외에는 색상이 진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짠맛은 대체적으로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구수한 맛은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며 HPMC 0.5%와 MC 0.5% 첨가 시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불쾌취의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군에서는 약간 불쾌취가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름진 정도는 대조군보다 HPMC 0.5%와 1% 첨가군에서 덜 기름진 것으로 평가된 반면 HPMC 1.5%와 MC 첨가 시에는 대조군보다 더 기름지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및 1%는 같은 경향으로 평가되었고 HPMC 1.5%와 MC의 경우는 대조군보다 촉촉한 정도가 더 강해 반죽이 덜 익었다는 느낌을 주기도 하였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과 MC 0.5%, HPMC 0.5% 및 1%가 같은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MC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바삭거리는 정도는 셀룰로오스유도체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HPMC 0.5% 첨가군이 오히려 대조군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돈가스의 흡유량을 개선시키기 위한 튀김반죽의 첨가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의 첨가가 효과적이나, MC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점도의 증가가 매우 커서 동일 온도에서 coating이 두껍게 되었다. 또한 색도 및 관능평가의 결과 HPMC 0.5% 및 1%를 제외한 모든 셀룰로오스 첨가군은 첨가율에 비례하 여 대조군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고 수분보유력이 증가하 여 흡유량이 적은 데도 느끼하고 덜 익은 것처럼 느끼 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돈가스와 같이 튀김반죽을 재 료에 코팅하는 조리과정을 거치는 음식에서는 튀김반죽 에 셀룰로오스유도체인 HPMC를 적정량 첨가하면 코팅 하기가 쉽고 흡유량은 감소하는 반면 수분보유량은 증가 하여 매우 효과적이었다. HPMC의 최적 첨가량은 약 0.5% 수준이었을 때 점도가 적당하였고 색감, 바삭한 정도 및 단단한 정도 등의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세계 두부 조리의 문화 (The Comparative Study of Curinary of Tofu of the World)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36-553
    • /
    • 1998
  • Korea supposed the place of origin of soybean. Although it is speculated that it was edible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A.D. 5-9C), there is no documentary evidence. The first record about the edibility of tofu was written down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re was several documents that tofu was exported to China and Japan in the Chosun dynasty due to excellent manufacture skills for tofu. Tofu has been a good source of protein as a food for the common people, though there were not many traditional kinds. Especially, tofu has been an important vegetarian foodstuff in a Buddist temple, and has been used for vegetable soup and skewered greens necessary for the sacrificial rites of the humbler class as well as of the royal court. We frequently made sliced raw tofu and fried tofu, and it was used for broil, stew, and casserole as well as stuffing. In addition, tofu and its bean-curd dregs were applied of making soy. In China it is assumed that tofu has been eatable since the time of the Han(AD. 1C). Chinese tofu and its products are various and generally 20 different varieties are used. There are many dishes applied of tofu. salted and plain tofu were used as Chinese appetizer dishes. Plain, salted, skinned or deep-fried tofu was stir-fried in an hot oiled pan with vegetables, meats and fishes. Additionally, there are a variety of tofu dishes utilized stewing, frying, steaming, and soup cookeries. Tofu first appeared in the era of the Nara(8C) of Japan and was come into wide use in the era of the Aedo(Tokyo). In Japan tofu and its products are various and introduced in Shojin cookeries prevalent in the Buddist temples. It is especially noticeable that frozen or skinned tofu was used for these. Japanese tofu cooking is more delicate than Korean and Chinese ones, and Japanese people do not use oil. Instead, they in general utilize steaming and broiling cookeries. In the western countries the history of tofu edibility is short. However, their practical application of tofu in the dietary life is very positive.

  • PDF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Food Habits in the Last Two Decades and Gastric Cancer in North-western Iran?

  • Somi, Mohammad Hossein;Mousavi, Seyed Mohsen;Naghashi, Shahnaz;Faramarzi, Elnaz;Jafarabadi, Mohammad Asghari;Ghojazade, Morteza;Majidi, Alireza;Alavi, Seyed Ahmad Naser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호
    • /
    • pp.283-290
    • /
    • 2015
  • Purpose: The aims of this case-control study were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ome food habits in the last two decades and gastric cancer in East Azerbaijan of Iran.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hospital based case control study, 616 patients (212 gastric cancer patients, 404 cancer free patients) were recruited. Food habits of patients over the past two decades were assess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 used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estimating crude and adjusted odds ratios (OR) and their respective 95% confidence intervals (95%CI). Results: In this study, over-eating, consumption of high fat milk and yogurt and especial types of cheese increased the risk of gastric cancer (All<0.05). Consumption of such especial cheeses such as Koze and Khiki increased the risk of gastric cancer by 12.6 fold (95% CI:1.99-79.36) and 7.36 fold (95% CI:1.33-40.54), respectively. In addition, high fat food, moldy food, and pickled vegetables consumption as well as reuse of cooking oil for fry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risk. Furthermore, intake of Ghorme (deep fried me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astric cancer risk (OR:1.31;95%CI: 0.91-1.87). Conclu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particular food habits which have been very common in East-Azerbaijan in the last two past decades increase risk of gastric cancer. According to our result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long latency period of gastric cancer it can be concluded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a healthy diet should be performed from early childhood. However, further well designed cohort studies are needed to achieve more clear results.

보리 파쇄립을 이용한 압출성형에 의한 후레이크 제조 (Preparation of Flakes by Extrusion Cooking Using Barley Broken Kernels)

  • 최희돈;석호문;최인욱;박미원;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76-282
    • /
    • 2004
  • 쌀보리와 거의 유사한 식품학적 특성을 지니지만 활용도가 극히 낮은 보리 파쇄립을 이용하여 압출성형에 의한 보리 후레이크를 개발하였다. 압출성형시 $100^{\circ}C$ 이상의 온도, 35% 이상의 수분함량에서 파쇄립이 충분히 호화되었으며, 메성보리 파쇄립의 경우 찰성보리에 비해 절단성, roll 분리성 등이 우수하였다. 메성 및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을 달리하면서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pellet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RVA 상의 최고점도가 감소하였고 또한 겉보기 점도와 항복력이 감소한 반면 유동지수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를 oil frying하여 제조한 후레이크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압착강도와 bulk density가 크게 감소하였고 단면상에서의 air cell 크기가 커지고 cell을 이루는 body가 얇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능검사 결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조직감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증가하였고 메성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 (60-70):(30-40) 처리구의 경우 관능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