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crease of body weight

검색결과 1,376건 처리시간 0.028초

γ-Oryzano1의 급여가 KK 당뇨 마우스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γ-Oryzanol on Blood Glucose in Diabetic KK Mice)

  • 이성현;전혜경;장순옥;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27-831
    • /
    • 2004
  • 본 연구는 쌀겨 및 쌀눈 기름에 들어 있는 ${\gamma}$-oryzano의 혈당 저하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모델인 KK 당뇨마우스를 이용하였고, 실험식이의 0.2% 수준에서 ${\gamma}$ -oryzanol 첨가 유무에 따라 CO군과 GO군을 선정 후 8주 동안 실험식이를 급여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식이 섭취량, 체중변화,장기의 무게는 실험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GO군에서 실험식이 급여 5주부터 공복혈당의 감소를 보였고, 내당능이 개선되어 혈당면적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장기간의 혈당상태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실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O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슐린 수준은 ${\gamma}$-oryzanol을 섭취한 GO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gamma}$ -oryzanol은 혈청 인슐린 수준을 높이고 혈당 농도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실험식이 급여 기간의 변화 및 ${\gamma}$-oryzano의 첨가 수준에 따른 혈당 저하 효과 검토 등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건강한 성인의 몸통과 하지의 근 활성도 비교분석의 융합연구 (Convergence of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Healthy Adults' trunk and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wearing/not-wearing and forms of backpack)

  • 김경훈;장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25-23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몸통 하지 근 활성도 변인들의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6명의 건강한 성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백팩의 무게 10%로 부하된 상태에서, 백팩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 일반적인 백팩을 착용한 상태,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 활성도 분석을 위해 무선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그리고 장딴지근의 보행 구간에서 RVC에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백팩을 주로 사용하는 성인들에게 가방끈 조절을 적용하는 방법은 몸통과 다리근육의 활성에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 가방의 디자인과 착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가방융합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Effect of Restrict Feeding, Roxarsone or Its Analogues in Inducing Fatty Livers in Mule Ducks

  • Chen, Kuo Lung;Chiou, Peter W.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41-248
    • /
    • 2005
  •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role of arsenic in Roxarsone in causing fatty livers in mule ducks. One hundred 10-week-old mule duc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Ducks received 2 weeks of various treatments followed by 2 weeks of withdrawal. The treatments were non-treatment (control), 300 mg/kg Roxarsone inclusion for 2 weeks ($1^{st}$ and $2^{nd}$ week), Roxarsone inclusion for one week ($2^{nd}$ week only), restrict feeding, or Roxarsone analogue (3-nitro-4-hydroxyphenyl acid) inclusion. Results showed that feed intake and body weight in the Roxarsone groups and the restrict feeding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period. However only the liver and heart w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the restrict feeding group. Fatty acid synthetase (FAS)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05) in the Roxarsone groups and the restrict feeding group, two-week-Roxarson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NADP-malic dehydrogenase (MDH) activity compared to the restrict (p<0.05). After 2 weeks drug withdrawal, the 1-week-Roxarsone or restrict feed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activity (p<0.05). Two-week-Roxarsone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nd increased (p<0.05) the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ratio. After drug withdrawal, the 1-week-Roxarsone or restrict feed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reatine kinase (CK) activity. The 2-week-Roxarson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y. The restrict feeding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otal protein (TP) concentration. After drug withdrawal, the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the blood that reflected the liver function were restored to the normal physiological range, except for the total bilirubin concentration and CK activity in the 1-week-Roxarsone group. This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0.05). Thus, the reasons for liver enlargement in the Roxarsone and restrict feeding groups were different.

산란 생산성과 인 이용성에 대한 Microbial Phytase의 첨가 효과 I. 무기태인 수준이 다른 사료에 Microbial Phytase 첨가가 산란상 및 인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Efficacy of Supplemental Microbial Phytase on Laying Performance and Phosphorus Utilization I. Effect of Microbial Phytase at Different Phosphorus Levels on Laying Performance and Phosphorus Utilization)

  • 김상호;유동조;나재천;최철환;상병돈;이상진;이원준;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23
    • /
    • 2000
  • The effects of microbial phutase on laying performance and phosphorus utilization were examined at different levels of dietary nonphosphorus(NPP) in 320 23-week-old Hy-line brown hens for 12weeks. Diets were formulated 0.275%(T1), 0.220%(T2), 0.165%(T3) of NPP levels, and supplemental microbial phytase was 300DPU/kg diet constantly. Conventional diet(C) was formulated 0.275% NPP level without microbial phytase. Egg production and egg mass were higher in T2 than the others (p<0.05), and average egg weight was higher in T1 than the other (p<0.05). Egg productivity was tended to increase with supplemental phytase compared to conventional diet. Daily feed intake a hen also increased in T2 (p<0.05). Feed conversion ratio was improved slightly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Eggshell breaking strength and thicknes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treatments. Haugh unit and yolk color were also not different. Calcium and phosphorus retention in body increased in T2 (p<0.05), but dry matter and nitrogen retention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nitrogen and calcium excretions were not found among the treatments. But phosphorus excretion decreased in order of dietary phosphorus levels with supplement phytase compared to C (p<0.05). Tibial ash, calcium and phosphorus were similar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supplemental microbial phytase in laying diet may help to utilize phytase phosphorus, and could decrease NPP intake.

  • PDF

Schisandrin A in Schisandra chinensis Upregulates the LDL Receptor by Inhibiting PCSK9 Protein Stabilization in Steatotic Model

  • Hyo-Jin Kim;Seon Kyeong Park;Soo Hyun Park;Yu Geon Lee;Jae-Ho Park;Jin-Taek Hwang;Min-Yu Ch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425-435
    • /
    • 2024
  •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SCE) protects against hypocholesterolemia by inhibiting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9 (PCSK9) protein stabiliza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hypocholesterolemic activity of SCE can be attributable to upregulation of the PCSK9 inhibition-associated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LDLR). Male mice were fed a low-fat diet or a Western diet (WD) containing SCE at 1% for 12 weeks. WD increased final body weight and blood LDL cholesterol levels as well as alanine transamin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expression. However, SCE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in blood markers caused by WD. SCE also attenuated WD-mediated increases in hepatic LDLR protein expression in the obese mice. In addition, SCE increased LDLR protein expression and attenuated cellular PCSK9 levels in HepG2 cells supplemented with delipidated serum (DLPS). Non-toxic concentrations of schisandrin A (SA), one of the active components of SCE, significantly increased LDLR expression and tended to decrease PCSK9 protein levels in DLPS-treated HepG2 cells. High levels of SA-mediated PCSK9 attenuation was not attributable to reduced PCSK9 gene expression, but was associated with free PCSK9 protein degradation in this cell model. Our findings show that PCSK9 secre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SA treatment, contributing to reductions in free cholesterol levels.

Aspergillus 속 미생물에 의한 발효비지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oybean Curd Residue Fermented by Genus Aspergillu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임종환;서주원;이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800-5808
    • /
    • 2013
  •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ICR 생쥐를 동물 모델로 하여 7종의 Aspergillus속 미생물로 발효시킨 발효비지의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컷 ICR 생쥐에 5주간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여 비만을 유도하고 고지방식이에 발효비지 2%를 첨가하여 6주 동안 사육하였으며, 체중, 섭취량,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Alanine transaminase과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간성 glutathione과 lipid peroxide를 측정하였다. 체중의 경우에 AE4 발효 비지를 식이한 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 (31.33%, P<0.05)하였고 간성 GSH와 ALT증가로 고지방혈증이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spergillus속 미생물로 발효시킨 발효비지는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인체에서도 유의한 비만개선 작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뽕나무 품종별 오디추출물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 김현복;김선여;류강선;이완주;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4-108
    • /
    • 2001
  • 뽕나무 품종별(대륙뽕, 국상20호, 수봉뽕, 야상오디, 카타네오)오디 메탄을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콜레스테롤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뽕나무 품종별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혈청 중의 콜레스테롤, 중성지질함량과 더불어 GOT, GPT, 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건조시킨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 수율은, 대륙뽕 50.9%, 국상20호 62.0%, 수봉뽕 64.6%, 카타네오 49.8% 및 야생오디 43.5%로 수봉뽕 품종이 가장 높았고, 품종간 차이가 비교적 컸다. 2.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중성지질함량을 감소시켜 정상의 85% 수준까지 회복되었고, 혈청 중 총 콜레스테를 함량은 국상20호 >카타네오 > 야삼오디 >수봉뽕 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 순으로 감소되었으나, 그 효과가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3.간장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 중의 GOT, GPT및 LDH활성을 측정한 결과,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GOT치를 감소시켜 정상의 86% 수준으로 회복시켰고, 국상20호는 68%, 수봉뽕은 66%, 카타네오는 50% 수준으로 GOT치를 감소시켰다.

  • PDF

Immune-enhancing effect of hydrolyzed and fermente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in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ed BALB/c mice

  • Hyun Sook Lee;So Mi Kim;Jae In Jung;Jihoon Lim;Moonjea Woo;Eun Ji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206-217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PG) has been reported, but studies on its mechanism are still lacking.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nfirm whether the hydrolyzed and fermented PG extract (HFPGE) obtained by adding hydrolysis and fermentation to the extraction process has an immune-enhancing effect in the in vivo system. MATERIALS/METHODS: Five-week-old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rmal control group (NOR), control group (CON), 150 mg/kg body weight (BW)/day HFPGE-treated group (T150), and 300 mg/kg BW/day HFPGE-treated group (T300). The mice were administered HFPGE for 4 weeks and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cyclophosphamide (CPA, 80 mg/kg BW/day) on day 6, 7, and 8, respectively, to induce immunosuppression. The levels of immunoglobulins (Igs) and cytokines were measured in the serum. In splenocytes, proliferation and cytokine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Serum IgA, IgG, and IgM levels were observed to decrease after CPA treatment, which was recovered by HFPGE administration. The levels of serum interleukin (IL)-12,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L-8,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were also decreased after exposure to CPA but increased after HFPGE administration. De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seen in CPA-treated mice, but was observed to increase in the T150 and T300 groups as compared to the NOR group. Compared to the CON group, splenocyte proliferation stimulated with concanavalin A (ConA) or lipopolysaccharide (LPS) in the HFPGE-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ytokines secreted by ConA-stimulated splenocytes (IL-2, IL-12, interferon-γ, TNF-α) were increased in the T150 and T300 groups, and cytokines secreted by LPS-stimulated splenocytes (IL-4, IL-8, TGF-β) were also increased by HFPGE administr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FPGE stimulates the immunity in immunosuppressed conditions, thereby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HFPG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functional food and medicine for immune recovery in various immunocompromised situations.

난소적출 마우스에서 고진음자(固眞飮子) 물 추출물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 (Anti-osteoporotic Activity of Gojineumja Aqueous Extracts on the Ovariectomized Mice)

  • 조수연;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38
    • /
    • 2018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고진음자 물 추출물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를 난소적출 마우스를 이용하여 risedronate sodium(RES) 2.5 mg/kg 투여군과 비교 평가하였다. 방 법: OVX 35일 후부터 고진음자 물 추출물을 매일 1회씩 35일간 연속 경구 투여하고, 체중, 대퇴골의 중량, 골밀도, 골강도, 무기질 - 칼슘(Ca) 및 무기인(inorganic phosphorus, IP) 함량, 골량 및 구조와 골흡수에 관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혈중 osteocalcin 함량 및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BALP) 활성의 변화와 함께 각각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고진음자 물 추출물에서의 결과는 RES 경구 투여 OVX 마우스에서의 결과와 비교 평가 하였다. 결 과: OVX대조군에서는 현저한 체중 증가와 함께 대퇴골의 중량, 골밀도, 골강도, 무기질 - Ca 및 IP 함량 감소 및 지주골과 피질골의 현저한 조직병리학적 감소가 함께 확인되었으며, 혈중 osteocalcin 함량의 증가와 함께 혈중 BALP 활성의 감소가 각각 확인되었다. 이에, 전형적인 estrogen 결핍성 골다공증 소견이 OVX 수술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이렇게 OVX에 의해 유발된 estrogen 결핍성 골다공증 소견이 모든 세 용량의 고진음자 물 추출물 500, 250 및 125 mg/kg의 35일에 걸친 연속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고, 특히 고진음자 물 추출물 500 mg/kg은 RES 2.5 mg/kg 투여군과 비교할 만한 골다공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고진음자 물 추출물은 난소적출 마우스에서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유효한 골다공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적절한 용량의 고진음자 물 추출물은 새로운 보다 효과적인 estrogen 결핍성 골다공증 개선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고진음자는 15종의 약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개별 약제는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함께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육계의 생산성 및 복강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the Performance and Abdominal Fat Pad of Broiler Chicks)

  • 이상진;양기원;김삼수;나재천;서옥석;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3-92
    • /
    • 1993
  • 본 시험은 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육계의 생산성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사에너지 3수준(2,800, 3,000 및 3,200kcal/kg)과 단백질 3수준(16, 18 및 20%)을 조합한 9개 처리를 두었으며, 처리당 암수 각 39수씩 총 702수를 공시하여 1990년 7월 10일부터 9월 4일까지 8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증체양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P<0.05), 대사에너지 2,800kcal/kg과 3,000kcal/kg 또는 3,000kcal/kg과 3,200kcal/kg 수준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단백질수준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사료섭취량은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증가할 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사료요구율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개선되어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1), 단백질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단백질 18%와 20% 수준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4. 도체율은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수준간에 일정한 경향이나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5. 복강지방 축적률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상을 보였으나(P<0.01), 대사에너지 2,800㎉/kg과 3,000kcal/kg 또는 3,000kcal/kg과 3,200kcal/kg 수준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단백질 15% 18% 수준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 20%수준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여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1). 6. kg증체당 사료비는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단백질 16% 및 20% 수준에 비해 18%수준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