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ant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벤토나이트로부터 몬모릴로나이트의 선택적 분리를 위한 습식 고순도화 (Wet Purification for the Selective Separation of Montmorillonite from Bentonite)

  • 김완태;채영배;정수복;임정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3-304
    • /
    • 2002
  • 초음파 해쇄, 침강 분리 및 원심 분리 등의 물리적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감포 13호 및 35호 광구의 벤토나이트 원광석으로부터 몬모릴로나이트를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습식 고순도화 공정 특성을 연구 개발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해쇄는 슬러리의 농도가 7 wt.%인 경우 우수한 해쇄 결과를 나타냈으며 감포 13호의 경우는 30분, 감포 35호의 경우는 10분 이내에 대부분의 해쇄가 종료되었다. 30분간 침강 분리를 행한 결과 감포 13호은 원광의 약 52 wt.%, 감포 35호는 약 64wt.%를 정제된 산물로 회수하였으며, CEC는 각각 119.4, 124.5 meq/100 g이었다. 원심 분리를 이용한 입자 분리 결과, 원심 분리기의 회전수 1,000 rpm 이내에서 석영, 장석 등 대부분의 불순 광물들이 분리 제거되었다.

조피볼락 치어 및 성어에서 분 수집 방법에 따른 영양소 소화율 (Evaluation of the Nutrient Digestibilities by Different Fecal Collection Methods in Juvenile and Adult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2-71
    • /
    • 1997
  • 분 수집 방법에 따른 건물, 단백질, 지질, 에너지, 탄수화물 및 아미노산의 소화율을 어체 크기별로 측정하기 위해 산화크롬 $(Cr_{2}O_{3})$을 지표물질로 사용하여 표준사료와 단백질 무 첨가 사료를 제조하였다. 조피볼락 성어(평균체중: 300g)와 치어 (평균체중: 30g)를 대상으로 위, 장, 항문을 각각 절개한 방법, 항문 부위를 눌러서 분을 짜내는 방법과 배설된 분을 분 수집 통으로 수집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 방법별로 각각 3 반복으로 실험하였다. 건물, 단백질, 지질 및 에너지의 소화율은 분 수집 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001)를 보인 반면 어체 크기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성어 및 치어 모두 위에서는 건물, 단백질, 지질 및 에너지가 전혀 소화 또는 흡수되지 않았고, 장, 항문 부위로 갈수록 유의하게 (P<0.01) 소화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어에서 건물과 단백질의 소화율은 stripping한 것이 항문 부위에서 절개하여 채취한 분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인 반면 (P<0.01), 지질과 에너지의 소화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건물 소화율을 제외 한 단백질, 지질과 에너지의 소화율은 분 수집 장치에서 측정한 값이 항문 부위에서 stripping한 것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1). 분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표준사료의 소화율은 건물이 성어 $61\%$, 치어 $58\%$, 단백질이 성어 $94\%$, 치어 $93\%$, 지질이 성어 $96\%$, 치어 $94\%$, 에너지가 성어 $80\%$, 치어 $79\%$ 및 NFE (nitrogen-free extract)가 성어 $29\%$, 치어 $32\%$로 나타났다. 단백질 무 첨가 사료 (단백질 함량: $1.57\%$)를 먹인 실험어의 분에 단백질 함량이 성어는 $1.35\~1.41\%$, 치어는 $1.16\~1.33\%$ 함유되어 있어 사료의 단백질함량과 거의 비슷하거나 낮게 나타났다. 성어 및 치어 모두 아미노산 종류별로 소화율이 유의한 차이 (P<0.01)를 보였는데, 성어의 경우는 Met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Cys과 Val이 낮은 값을 보였다. 그 외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서로 유의한 차이없이 $93\%\~97\%$로 나타났다. 치어의 경우도 Met, Cys, His과 Val의 소화율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조피볼락의 외견상 소화율 측정은 stripping하거나 분 수집 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백운모광의 품위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neficiation of Muscovite Ore)

  • 이재장;최수용
    • 산업기술연구
    • /
    • 제9권
    • /
    • pp.29-41
    • /
    • 1989
  • A general study on the upgrading of mica minerals which are mainly found in pegmatite deposits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technique for recovering mica in form of comercial grade products. By the way the grade one of about 5~6% $K_2O$ still is not developed.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ork is to be establish a process for the efficient concentration of muscovite, containing more than 10% $K_2O$. The tests are applied to incraese the recovery and grade of concentrates in term of variations of conditions. The test sample consists of mainly muscovite and gangue mineral such as quartz, pyrite and chlorite. Decantation and shaking table tests were ineffective to up-grade this low grade one, but flotation method gave satisfactory result. By means of grade one, but flotation method gave satisfactory result. By means of grindability tests, an optimum result could be obtained from the sample ground to -48mesh feed size. The flot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dodecyl ammonium chloride used as a cationic collector is effective on the negatively charged surface, while the sodium dodecyl sulfate as an anionic collector is effective on the positively charged surface. Muscovite was floated by petroleum sulfonate as well as amine type collector, it also floated by MIBC as well as pine oil frother under well condition. Fine muscovite concentrates of about 10.68% $K_2O$ was obtained with 22.4% yield, by decantation, the muscovite concentrates of 10.10% $K_2O$ was obtained with 23.54% yield, by table concentration, the muscovite concentrates of 11.51% $K_2O$ was obtained with 23.0% yield by flotation.

  • PDF

CV흑연주철(黑鉛鑄鐵)에서의 표면응고층(表面凝固層) 생성(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urface solidification layer in compacted/vermicular graphite cast iron)

  • 박기성;이상익;김수영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0-26
    • /
    • 198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olidification characteristics of CV. graphite cast iron, decantation technique and thermal analysis test were used. Solidification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e specimens with various compositions and graphite sha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rst surface solidifcation layer is formed along the mold wall by the growth of austenite dendrites in hypoeutectic composition and thin solid film in hypereutectic composition. 2. The mushy degree of solidifcation of hypereutiectic composition is higher than that of hypoeutectic. 3. In hypoeutectic, the effect of change of the mushy degree of solidification on the graphite shape is small, however, in hypereutectic the mushy degree of solidification becomes higher in order of flake, CV, and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 PDF

한국산 도토리의 이용에 관한 연구 제 1보 : Tannin 분해효소 생산균수의 검색, 한국재내식 방법에 의하여 Tannin을 제거한 도토리 분말의 일반성분 및 동단백질의 Amino acid 조성에 관하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several varieties of Acorn in Korea Part 1. Amino Acid Contents of Korean Acorn eliminated Tannin and Isolation of Strains producing tannin-hydrolyzing-enzyme)

  • 김창식;신응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2
    • /
    • 1975
  • 한국산 도토리의 이용을 위하여 도토리 속에 함유되어 있는 8∼9%의 tannin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1. 강역 tannase생성균주로서 Aspergillus niger sp. 를 부패한 도토리로부터 분이하였고 2. 한국농가에 고내로 전수되어온 방법중에서 도토리 분말을 수세, 교반, 정치해서 상단액을 버리는 tannin용해법이 24시간내에 tannin사양을 0.18%까지 줄일 수 있어서 가장 경제적이고 결과가 크다는 것을 알았다. tannin을 제거한 도토리 분말의 성분중 단백질의 anino acid조성은 단일식품으로서는 비교적 많은 종유의 필수아미노산이 함유된 것을 알았다. 본실험은 74연도 문교부 연구조성김으로 이루워진 것이다.

  • PDF

ZDP(Zinc Decomposition Process)를 이용한 폐 초경합금의 분해기구 (Decomposition Mechanism of Waste Hard Metals using by ZDP (Zinc Decomposition Process))

  • 피재환;김유진;성남의;황광택;조우석;김경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3-177
    • /
    • 2011
  • Decomposition promoting factors and decomposition mechanism in the zinc decomposition process of waste hard metals which are composed mostly of tungsten carbide and cobalt were evaluated. Zinc volatility amount was suppressed and zinc valatilization pressure was produced in the reaction graphite crucible inside an electric furnace for ZDP. Reaction was done for 2 h at $650^{\circ}C$, which 100 % decomposed the waste hard metals that were over 30 mm thick. As for the separation-decomposition of waste hard metals, zinc melted alloy formed a liquid composed of a mixture of ${\gamma}-{\beta}1$ phase from the cobalt binder layer (reaction interface). The volume of reacted zone was expanded and the waste hard metal layer was decomposed-separated horizontally from the hard metal. Zinc used in the ZDP process was almost completely removed-collected by decantation and volatilization-collection process at $1000^{\circ}C$.

Gasoline Desulfurization by Catalytic Alkylation over Methanesulfonic Acid

  • Wu, Xiaolin;Bai, Yunpeng;Tian, Ying;Meng, Xuan;Shi, L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10호
    • /
    • pp.3055-3058
    • /
    • 2013
  • Methanesulfonic acid (MSA) was used as catalyst to remove trace organic sulfur (thiophene) from Fluid Catalytic Cracking gasoline (FCC) via alkylation with olefins. The reactions were conducted in Erlenmeyer flask equipped with a water-bath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the reaction time, and the mass ration of MSA were investigated. After a 60 min reaction time at 343 K, the thiophene conversion of 98.7% was obtained with a mass ration of MSA to oil of 10%. The catalyst was reused without a reactivation treatment, and the thiophene conversion reached 92.9% at the third time. The method represents an environmentally benign route to desulfur, because MSA could easily be separated from the reaction mixture via decantation and it could be reused.

실리카겔에 고정화된 산성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올레산의 에스터화 반응연구 (The Esterification of Oleic Acid Using Acidic Ionic Liquid Catalysts Immobilized on Silica Gel)

  • 최재형;박용범;이석희;천재기;우희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583-588
    • /
    • 2010
  • 유리지방산 함량이 높은 원료의 효율적인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다양한 고체산 촉매를 사용하여 회분식 반응기에서 유리지방산의 에스터화 반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체산 촉매는 상용 촉매인 황산기를 지닌 이온교환수지(Amberlyst-15, Dowex 50Wx8)와 실리카겔에 술폰기 및 염화술폰기 지닌 산성 이온성 액체가 고정화된 촉매($SiO_2-[ASBI][HSO_4]$, $SiO_2-[ASCBI][HSO_4]$), 단순히 실리카겔에 술폰기 및 염화술폰기의 산성적 기능기를 도입한 촉매들을 사용하여 반응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에스터화 반응 실험변수로써 반응시간, 온도, 반응물간의 몰 비율(메탄올:올레산), 촉매량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고체산 촉매들 중 실리카겔에 고정화된 알릴이미다졸리움을 포함한 산성 이온성 액체 촉매가 가장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리카겔에 3-allyl-1-(4-sulfobutyl)imidazolium hydrogen sulfate가 고정화된 $SiO_2-[ASBI][HSO_4]$ 촉매가 같은 반응조건에서 기존의 알려진 Amberlyst-15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으며, 353 K 반응온도와 5 wt%의 촉매량, 메탄올/올레산의 몰 비율 20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약 96%의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SiO_2-[ASBI][HSO_4]$의 높은 촉매 활성은 실리카에 고정화된 강한 브뢴스테드산의 작용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오디젤로부터 촉매의 분리 및 회수는 간단한 경사법 혹은 여과법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이를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금속염화물을 첨가한 루이스산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대두유로부터 바이오디젤 합성 (Synthesis of Biodiesel from Soybean Oil Using Lewis Acidic Ionic Liquids Containing Metal Chloride Salts)

  • 최재형;박용범;이석희;천재기;최재욱;우희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643-64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이온성 액체인 염화콜린에 5가지의 금속염화물을 첨가하여 루이스산 이온성 액체 촉매를 제조하고, 이 촉매를 사용하여 대두유로부터 바이오디젤을 합성하였다. 먼저 단독의 금속염화물인 염화주석과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III), 염화구리(I) 촉매에 대하여 363~423 K 온도 범위에서 에스터 교환 반응의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5가지의 금속염화물 중 염화주석이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경향과 같이 5가지의 루이스산 이온성 액체 촉매 중 $[Me_3NC_2H_4OH]Cl-2SnCl_2$의 촉매가 403 K에서 14시간 동안 유지:메탄올:촉매의 몰 비율 1:12:0.9인 조건으로 최대 91.1%의 높은 반응수율을 나타내었다. 단독의 염화주석 촉매와는 달리, $[Me_3NC_2H_4OH]Cl-2SnCl_2$의 촉매는 반응 후 액체-액체 이상계를 형성하여 반응물과 생성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5회 이상 재사용 후에도 활성이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촉매의 수분에 대해 안정성과 강한 루이스 산성도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촉매에 대한 반응시간과 촉매 및 메탄올 몰 비율 등의 반응변수들에 대한 영향이 조사되었다.

탈취조건이 대두유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Conditions on Color in Soybean Oil)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7-631
    • /
    • 2005
  • 대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대두원유를 탈검-탈산-탈색-탈취의 일반적인 정제공정을 모두 거친 것과 이들 정제공정을 생략하고 협잡물만 제거한 후 그대로 탈취하여 고유의 색상을 갖는 독특한 대두유를 얻었다. 이 때의 차이는 Sample 1은 정상 탈취유, Sample 2, 3는 협잡물만을 제거한 다음 batch type deodorizer에 주입하여 진공도, 최고온도, stripping steam 주입량, 탈취시간 등을 차등화하여 3단계 탈취를 행하였다. 얻어진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은 Sampl 1의 경우 산가 0.034, Lovibond color 9.1Y/0.9R, 과산화물가 0의 엷은 노란색 대두유였다. 그러나 Sample 2는 산가 0.078, Lovibond color 65.0Y/18.39R/4.2B/0.1N, 과산화물가 0.7의 밝고 투명한 녹색을 나타내었다. Sample 3은 산가 0.072, Lovibond color 37.3Y/3.8R/0.1B/0.1N, 과산화물가 1.6의 짙은 검붉은 갈색을 나타내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착색 탈취대두유는 앞으로 솔잎향미유, 들깻잎향미유 등의 다양한 향미유 제조의 원료유로 각광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