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d wood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시기별 피해목 탐지를 위한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의 활용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ine Wilt Disease Using Time Series Hyperspectral Aerial Imagery)

  • 김소라;김은숙;남영우;최원일;김철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5-394
    • /
    • 2015
  •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와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유럽 지역의 소나무림에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는 임분 내에서 다발적으로 발현되고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현장조사 방법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피해목 탐지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6월, 9월, 10월에 1 m 공간해상도의 초분광 항공사진을 취득하였다. 9월 영상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와 Vegetation Index green(VIgreen)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을 잎이 있는 고사목과 잎이 없는 고사목으로 구분하였으며, 6월, 9월, 10월 영상의 분광반사값을 비교하여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의 시계열 분포를 토대로 공간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초분광 항공사진 촬영지역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총 2,262본이 추출되었으며, 피해시기에 따라 잎 있는 고사목(작년 피해목)은 604본,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은 각각 300본, 101본으로 분류되었다. 구축된 자료를 이용한 공간 분포형 분석 결과, 작년 피해목과 당년 피해목 모두 집중분포 형태로 나타났으며, 최근거리 분석 결과, 당해년도 고사목의 약 80%는 전년도 고사목 주변 60 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성충의 형태 측정과 암수 구분 (Adult Morphological Measurements: An Indicator to Identify Sexes of Japanese Pine)

  • 이상명;정영진;김동수;최광식;김영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5-89
    • /
    • 2004
  •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생체중과 체장, 체폭, 두폭, 더듬이의 길이 및 색깔 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된 소나무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 우화망실 안에 두고 우화하는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분산분석결과 생체중, 체장, 체폭의 측정치는 암컷이 수컷보다 높았고, 두폭은 암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촉각의 길이는 수컷이 더 길었다. 암컷(n=563)과 수컷(n=601)의 평균 생체중은 각각 0.305g과 0.277g, 체장은 20.97mm와 19.93mm 체폭은 6.52mm 와 6.18mm, 두폭은 3.78 mm와 3.70mm, 촉각의 길이는 31.19mm와 45.49mm이었다. 촉각의 길이나 체장과 촉각 길이의 비율은 암수간에 중복되는 범위가 많아서 이것을 기준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성충(n=4,033) 촉각의 털 색깔을 조사한 결과, 예외 없이 암컷 촉각의 모든 편절 마디의 기부쪽 절반 정도가 회백색의 미모로 덮여 있으나, 수컷 촉각의 편절 마디는 전체적으로 흑갈색의 미모로 덮여 있었기 때문에, 이 특징으로 암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광주시 도시공원의 식생구조 및 야생조류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Bird Community in the Urban Park of Gwangju City)

  • 이규완;이두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4-103
    • /
    • 2002
  • 도시공원의 자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광주시의 대표적인 근린공원 4개소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야생조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군집의 특성 중 일부 공원에서 군집간에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의 종 및 개체밀도는 식생의 발달이 왕성한 천이과정의 식생구조를 보이는 송정공원과 상무공원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적 단순한 인공식생을 이루고 있는 안청공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상층수관이 발달한 사직공원에서는 교목의 수관 및 고사목을 채이 및 번식장소로 이용하는 종류가, 중층이 가장 발달한 상무공원의 경우는 관목층에서 채이 및 번식하는 종류가, 하층이 발달한 송정공원에서는 땅바닥에서 채이하는 종류가 각각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의 종다양도와 조류의 종다양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적 상층과 중층에서 활엽수가 우세한 사직공원과 상무공원에서 조류의 종다양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베개(침)에 관한 소고 -유물과 문헌을 통하여- (A Study on the Korean Pillows)

  • 남윤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27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t the basic data for the appropriate conditions of the pillows for the Koreans. In this study, the origins, materials, the forms and the sizes of Korean pillows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existing remains and the existing documentary reco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We can infer that ordinary pillows have already been used in a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because the pillows for the dead bodies been unearthed from the tombs of this period. 2) Round pillows which are used nowadays to rest our heads have also been utilized as early as in Koryo Dynasty or even in the previous period. It is because the pillows described in Koryo dakeyung are similar to the present round ones. Most of the existing Koryo pillows have been made fo ceramics. Their average length is 20.0$\pm$5.4cm, the average low height is 9.7$\pm$0.9cm, and their average high height is 11.8$\pm$1.2cm. 3) The material which has been used to make pillows in Choson Dynasty is various : textile, wood, rush, bamboo, ceramics, etc. Most of them have been made in a round form or in a form of lying square. The average low height of lying squares is 8.1$\pm$2.5cm. The average high height is 11.9$\pm$1.9cm, and the average lenght is 19.0$\pm$5.6cm. The average diameter of embroidered pads attached to both sides of round pillows or the average length of one side of regular squares is 12.5$\pm$2.3cm.

  • PDF

Distribution patterns of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Korea

  • Kwon, Tae-Sung;Lim, Jong-Hwan;Sim, Sang-Jun;Kwon, Young-Dae;Son, Sung-Kil;Lee, Kooi-Yong;Kim, Yeon-Tae;Park, Ji-Won;Shin, Chang-Hoon;Ryu, Seok-Bong;Lee, Chong-Kyu;Shin, Sang-Chul;Chung, Yeong-Jin;Park, Young-Seu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43-550
    • /
    • 2006
  • Distribution patterns of two pine sawyer species (Monochamus alternatus which is the main vector insect and M. saltuarius which is the potential insect vector of the pine wood nematode) were investigated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at 89 study sites which were chosen to cover the whole region of South Korea. The selected pine trees were killed in early April and left for I year in the pine stands to be egg-laid by the pine sawyers. Emergence of the beetles from the dead pine trees was checked from early April to late July. M. saltuarius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mid to northern areas of South Korea, whereas M. alternatus in Jeju-do, southernmost island of Korea. Considering temperature distribution patterns in areas where the two species occur, their thermal distribution boundary may be formed around $13.2^{\circ}C$ of annual mean temperature. The hypothesized distribution map of the two Monochamus species under the invasion of pine wilt disease is suggested on the base of thermal distribution of Korean peninsula.

독도에서 새롭게 발견된 Xylodon flaviporus (Xylodon flaviporus, a Newly Recorded Macrofungi in Dokdo, South Korea)

  • 조종원;곽영남;조성은;한상국;한재구;오승환;김창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1-247
    • /
    • 2019
  • 2017년 독도의 버섯상 조사를 통해 관속식물인 왕호장근의 기부에 발생한 목재부후균 버섯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목재부후균은 배착성으로 자라는 가죽질의 자실체를 형성하였고 자실층은 관공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균사체계는 위이균사형이며 타원형의 담자포자를 형성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균류바코드 영역 (internal transcribed spacer of rDNA) 분석을 통하여 이 버섯을 Xylodon flaviporus (Berk. & M.A. Curtis ex Cooke) Riebesehl & Langer로 동정하였다. 이 버섯은 독도에서 서식이 확인된 두 번째 종이며, 다년생 초본식물인 왕호장근을 X. flaviporus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보고하고자한다.

산림부문의 국가온실가스 배출·흡수계수 개발 필요 우선순위 및 정량평가 방법론 (Priority for Developing Emission Factors and Quantitative Assessment in the Forestry Sector)

  • 한승현;이선정;장한나;김성준;김래현;전의찬;손요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39-245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priority for developing emission factor (EF) and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quantitative assessment of EF in the forestry sector. Based on the stock-difference method, 17 kinds of EFs (27 EFs based on forest types) were required to calculate the carbon emission in the forestry sector. Priority for developing EFs followed the standards, which is a development plan by the government agency, importance of carbon stock for greenhouse gas, and EFs by the species. Currently, the most urgent development of EFs was carbon fraction in biomass and carbon stock in dead wood. Meanwhile,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EF consisted of 7 categories (5 categories of compulsory and 2 categories of quality evaluation) and 12 verification factors. Category in compulsory verification consisted of administrative document, determination methodology of emission factors, emission characteristic, accuracy of measurement and analysis, and data representative. Category in quality evaluation consisted of data management and uncertainty estimat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factors in the verification process, each factor was scored separately, however, the score needs to be coordinated by the government agency. These results would help build a reliable and accurate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Assessment of Coarse Woody Debris in Gallery Forest in the Bombo-Lumene Reserv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Rusaati, Butoto Imani wa;Joo, Sung-Hyun;Yun, Gi-Yun;Park, Joowon;Cephas, Masumbuko Ndabaga;Kang, Jun-W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205-211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amount of carbon stock of coarse woody debris (CWD) in Bombo-Lumene Reserve. Data on lying CWD was collected on 35 circular sampling plots using Line Intersect Sampling (LIS) method. A total of 230 samples CWD (${\geq}10cm$ diameter) were inventoried. The mean carbon stocks of CWD was $29.48Mg\;C\;ha^{-1}$, ranging from 4.32 to $73.54Mg\;C\;ha^{-1}$. The CWD carbon stocks displayed a wide range of variation in decay states. The allocation of CWD among the decay class of all the CWD samples reveals that the most important classes were class 1 and class 3 with 323.66 and $321.96Mg\;C\;ha^{-1}$, followed by class 4 with 264.56 and the last one was class 2 with $121.72Mg\;C\;ha^{-1}$.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ad wood component is important in carbon sequestration an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quantification of carbon stocks not only in Bombo-Lumene Reserve, but in all forest ecosystem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무인항공기(UAV) 영상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 탐지 (Detection of Damaged Pine Tree by the Pine Wilt Disease Using UAV Image)

  • 이슬기;박성재;백경민;김한별;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59-373
    • /
    • 2019
  •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는 질병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재선충병의 고사목 관측은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물리적, 경제적 문제가 있어 대규모 삼림을 관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이 재발한 지역에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후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Support Vector Machine(SVM) 감독분류 기법을 통해 소나무재선충병 의심목을 탐지하였고. 감독분류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접근성이 높은 산림에 대해 감독분류를 실시한 후 현장 조사 결과간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Cultivation and Nutritional Value of Prominent Pleurotus spp.: An Overview

  • Raman, Jegadeesh;Jang, Kab-Yeul;Oh, Youn-Lee;Oh, Minji;Im, Ji-Hoon;Lakshmanan, Hariprasath;Sabaratnam, Vikineswary
    • Mycobiology
    • /
    • 제49권1호
    • /
    • pp.1-14
    • /
    • 2021
  • Pleurotus species are commercially essential mushrooms and widely cultivated throughout the world. The production of Pleurotus mushrooms alone accounts for around 25% of that total cultivated mushrooms globally. In America and Europe, Pleurotus species are considered specialty mushrooms, whereas, in Korea, their cultivation is economically profitable, and it is one of the highly consumed species. Pleurotus species are predominantly found in tropical forests and often grow on fallen branches, dead and decaying tree stumps, and wet logs. Biographic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leurotus genus is among the more conspicuous fungi that induce wood decay in terrestrial ecosystems worldwide due to its formidable lignin-modifying enzymes, including laccase and versatile peroxidases. Pleurotus species can be grown easily due to their fast colonization nature on diversified agro-substrates and their biological efficiency 100%. Pleurotus mushrooms are rich in proteins, dietary fiber, essential amino acids, carbohydrates, water-soluble vitamins, and minerals. These mushrooms are abundant in functional bioactive molecules, though to influence health. Pleurotus mushrooms are finding unique applications as flavoring, aroma, and excellent preservation quality. Apart from its unique applications, Pleurotus mushrooms have a unique status delicacy with high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The present review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spp. using different agro-waste as growth substances paying attention to their effects on the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