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o suggest basic research data for a plan raising naturalness of urban park forest,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and bird community were analyzed in four urban parks of Gwangju city. And also, their relationships were discussed. Som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two commun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pecies and individual densities of birds were relatively high in Songjong and Sangmu park showing the vigorous successional progress, but were low in Anchong park with simple vegetation. The bird group that nest and feed in canopy or dead wood held occupy the highest percent in Sajik park with well developed upper layer of forest, the bird group that nest and feed in shrub did in Sangmu park with developed middle layer, and the bird group that feed in ground did in Songjong park with developed low layer.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es diversities of forest and birds was not significant. Nevertheless, bird diversity was relatively high in Sajik and Sangmu park with the high proportion of broad-leaved trees in upper and middle layers.
도시공원의 자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광주시의 대표적인 근린공원 4개소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야생조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군집의 특성 중 일부 공원에서 군집간에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의 종 및 개체밀도는 식생의 발달이 왕성한 천이과정의 식생구조를 보이는 송정공원과 상무공원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적 단순한 인공식생을 이루고 있는 안청공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상층수관이 발달한 사직공원에서는 교목의 수관 및 고사목을 채이 및 번식장소로 이용하는 종류가, 중층이 가장 발달한 상무공원의 경우는 관목층에서 채이 및 번식하는 종류가, 하층이 발달한 송정공원에서는 땅바닥에서 채이하는 종류가 각각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의 종다양도와 조류의 종다양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적 상층과 중층에서 활엽수가 우세한 사직공원과 상무공원에서 조류의 종다양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