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care centers monitor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어린이집 부모모니터링 사업'에 참여한 보육전문가, 부모 및 원장의 경험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in Childcare Experts, Parents, and Directors with Participation in 'Daycare Centers Monitoring Program')

  • 견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38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childcare experts, parents, and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Daycare Centers Monitoring Program' carried out in K c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three childcare experts who belong to the monitoring group in K city, three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and three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were selected for the 'Daycare Centers Monitoring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hildcare experts experienced the following; 1) sharing interesting experiences with parents, 2) a perception of the monitoring program for taking advantage of mutual strengths, 3) the opportunity of maintaining a sense of pres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t al. The mothers' experiences were shown to include, 1) resolving small questions abou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 daycare center, 2) feelings of relief through observing the life style of infants and children, 3) the joy and reward of being a member of the monitoring group, et al. The directors' experiences were indicated to include 1) a psychological discomfort recognized as a target of the daycare monitoring and as 'another evaluation', 2) the confusion caused by different reviews, 3) an ambiguity on the unfamiliar indexes and contents electronically documented, et al.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actual sugges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daycare monitori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s in childcare centers.

어린이집에서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의 장기간 시간적인 변이를 활용한 실내환경수준 평가 (Temporal Varia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Daycare Centers)

  • 김윤지;이세원;반현경;차상민;김근배;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7-27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temporal variation of carbon dioxide ($CO_2$) and particulate matter (PM) in daycare centers and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official test method of one-time measurement. Methods: Indoor air quality in 46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measured as specified in the official test method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law. In addition, indoor air quality in the 46 daycare centers was measured over 37 days using a real-time monitor (AirGuard K). Results: The daily means of $CO_2$ and PM in the 46 daycare centers were $1042.74{\pm}134.45ppm$ and $67.60{\pm}18.25{\mu}g/m^3$, respectively. Indoor air quality in the daycare centers showed significant temporal fluctuation. Measurements for single da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37-day average exposure. Relative error of short term exposu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ampling days. The noncompliance rate for $CO_2$ using the official testing method was 2.17%, and none exceeded the $PM_{10}$ standard of $100{\mu}g/m^3$. With monitoring over 37 days, the daily noncompliance rate for $CO_2$ was 50.4% and the daily noncompliance rate for PM was 13.8%. Conclusions: When the official test method evaluates the indoor air at daycare centers one day per year, the results may not represent actual indoor air quality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Real-time monitoring devices could be an alternativ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보육시설 방문교육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영유아 감염에 대한지식, 태도 및 감염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raining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for Staff of Child Daycare Centers)

  • 김지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467-477
    • /
    • 2007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training program on the knowledge of, attitudes towards child infection,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in staff of daycare center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was conducted with 34 staff of 6 daycare centers over 3 months. The staff in the 3 center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centers received the training program weekly for 8 weeks. The program included on-site education for one and half hours and monitoring of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staff were measured, and their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were observed and recorded by research assist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X^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test with SPSS Win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group of staff who received the training program recorded higher scores in knowledge, attitudes, and their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compared with staff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train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nowledge, attitude,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of staff which could prevent child infection in daycare centers. Nurses need to be involved in daycare centers for the health of the children, and they could intervene effectively in child infections by using this program.

  • PDF

효과적인 시민참여를 위한 기저귀 재활용 정책방안 - 노원구의 사용 후 기저귀 수거 시범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Policy Options for Diaper Recycling to Foster Effective Citizens' Participation - Based on Collection Pilot Test of Soiled Diaper in Nowon-gu -)

  • 김경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3호
    • /
    • pp.16-26
    • /
    • 2015
  • 본 연구는 기저귀 재활용을 정책적으로 도입하고자 할 때 최적의 수거방안을 마련하고자 어린이집이 밀집된 지방자치단체와 수거 시범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수거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배출방식에 대한 명확한 안내와 배출량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고 언론홍보를 통한 기저귀 재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적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시범사업 참여자에게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며, 수거 인프라 관련 비용은 공공영역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거 비용 관련해서 본 시범운영에서는 기저귀 수거만 전문으로 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있는 수거비용이 산출되지 않았으나 향후 본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도권으로 확대할 경우 주 2회 빈도에 고효율 수집차량을 운행하면서 수거율 50% 수준의 수거모델을 운영한다면, 현행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수준이하의 수거 비용을 확보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충분한 수거량 확보를 통한 안정적인 수거모델 구축과 함께 재활용 기술 개발이 진행된다면 기저귀 재활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에 한발 더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와 유아의 식생활 실천과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and dietary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

  • 조명일;계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141-154
    • /
    • 2022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와 유아의 식생활 실천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의 유아의 어머니 227명을 대상으로 CFPQ를 이용하여 어머니의 식사지도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유아의 영양지수 (NQ-P)를 측정하여 식생활 실천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아의 영양지수 중 균형 요인은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의 모델링, 체중조절을 위한 섭취제한, 균형 및 다양성 권장, 음식강요 및 식사준비 참여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유아의 영양지수의 절제 요인은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의 모니터링, 모델링, 영양정보 전달, 균형 및 다양성 권장, 건강한 식생활 환경, 식사준비 참여와 양의 상관관계를, 정서조절, 음식보상, 아동통제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유아의 영양지수 환경 요인은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 중 모니터링, 모델링, 영양정보 제공, 균형 및 다양성 권장, 건강한 식생활 환경, 식사준비 참여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조절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유아의 식생활 실천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영양지수 각 요인에 대한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양지수 중 균형 요인을 양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예측가능한 식사지도 항목은 체중조절을 위한 음식섭취제한, 음식강요, 식사준비 참여였다. 어머니의 식사지도 항목 중 영양지수 절제 요인에 대한 양적 연관성이 있는 요인은 균형 및 다양성 권장, 건강한 식생활 환경이었으며, 음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요인은 음식보상, 아동통제였다. 또한 영양지수 환경 요인과 양적 연관성이 있는 어머니의 식사지도 항목은 모니터링, 건강한 식생활 환경이었다. 따라서 어머니는 자녀에게 모니터링, 모델링, 영양정보 전달, 균형 및 다양성 권장, 건강한 식생활 환경, 식사준비 참여와 같은 식사 지도를 실천하고, 정서조절, 음식으로 보상, 아동통제, 음식강요 와 같은 부정적인 식사지도 방법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