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experience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4초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건강상태와 근골격계 자각증상 (Health statu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ccording to work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

  • 고은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30
    • /
    • 2019
  • To prevent the musculoskeletal diseases from repeated dental treatment, th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symptom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s were examined in 185 Gyeongnam dental hygienists from October 01, 2017 to October 30. The health status of the study subjects (χ2=40.21, p<.001), the physical burden of work (χ2=47.68, p<.001) and the mental fatigue of work (χ2=66.98,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orking experience. The level of mental fatigue depended on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linics (p=0.032). 94.1% of the subjects knew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ing experience (χ2=77.85, p<.001), the numbers of patients in a day (χ2=41.08, p<.001) and daily standing time (χ2=6.96, p=.008). Currently, 73.0% of the dental hygienists have musculoskeletal disea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tients (χ2=51.01, p<.001) and daily standing time (χ2=25.15, p<.001). The presence of injured parts due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s of patients (χ2=18.98, p<.001) and daily standing hours (χ2=33.20, p<.001). The musculoskeletal diseases examination of dental hygienists is needed based on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asures musculoskeletal diseases are required.

J 대학교 재학생의 학습역량 실태조사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learning competences in students at a college)

  • 송경희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1-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students at a college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17,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foster learning competencies in college year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work and social lives. 1.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consisted of academic vision, student identity, 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learning management and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Out of five points, they scored the highest in academic vision and student identity with 3.34, followed by learning management with 3.20,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with 3.18, emotional regulation with 3.16 and cognitive regulation with 3.14.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vis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identity and cognitive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grade point average,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As they were poorest at the cognitive regulation area among the areas of learning competencie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that deal with how to study, learning process, how to take notes and arrange them, how to link different pieces of acquired knowledge and how to map out study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give support to students.

작업치료에서 몰입경험 이해를 위한 이론적 고찰 (Theory Review for Understanding Flow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 이정훈;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71-81
    • /
    • 2021
  • 서론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과 활동 및 참여를 위해 다양한 치료적 중재를 실시하는 작업치료 분야에 몰입경험 이론의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본론 :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몰입경험 이해를 위해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한 몰입경험의 개념과 특징, 단계와 뇌과학적 특성, 측정방법 및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작업치료에서 대상자의 몰입경험은 '시간이 흐르는 것을 잊으면서 하고 있는 치료 활동에 완전하게 빠져드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대상자는 과제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인식하며, 도전과 기술 수준이 높은 상태로 균형을 이룰 때에 몰입을 경험하게 된다. 선행 연구에서 몰입을 경험한 대상자는 주의 및 집중, 집행 기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 증진과 긍정적인 경험에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 영역에서 다양한 치료적 중재에 대상자의 몰입경험이 고려된다면 치료 결과의 효과는 보다 촉진될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감성경험 이론에 기반한 탄산음료 패키지 디자인 시각요소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for Carbonated Beverage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Theory)

  • 장상상;장청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71-278
    • /
    • 2022
  • 탄산음료는 우리 생활 속에서 인기가 높은 음료의 일종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탄산음료는 브랜드가 많고, 대부분 식감의 구분이 강조되고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와 패키지에 있어 전체적으로 패키지 디자인을 더욱 상업화하였다. 탄산음료 패키지 디자인의 감성경험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브랜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감성은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심리 경험으로써 사물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과 느낌이다. 탄산음료의 패키지 디자인에 감성경험의 접목하기를 통해, 탄산음료를 구매하면서 보다 많은 감성적 사용자 경험을 선사해 제품 패키지 디자인의 다양화를 실현하고,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스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우선, 탄산음료의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논문을 고찰하고, 시판 중인 탄산음료의 판매 현황에 대한 조사와 패키지 디자인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연구결과,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감성을 경감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냈다. 본 연구가 앞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감성경험 향상에 있어 시사점이 되기를 바란다.

가구유형에 따른 장애노인의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 거주환경과 심리의 융복합적 접근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of Depression by Households Typ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Convergent Approach of Living Environment and Psychology)

  • 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59-466
    • /
    • 2020
  • 본 연구는 가구유형에 따른 장애노인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을 연구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차 웨이브 3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로 대상자는 608명이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스퀘어,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독가구 장애노인은 여성, 비수도권, 중증장애,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일상생활도움이 필요한 경우, 차별경험이 높은 경우, 관계만족도가 낮은 경우, 사회생활참여를 하지 못하는 경우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노인 우울 영향 요인은 차별경험(p<.05), 사회활동참여(p<.05)이고, 다인가구 장애노인은 성별(p<.05), 거주지(p<.01), 건강상태(p<.001), 경제수준(p<.05)으로 단독가구 장애노인은 일상생활도움(p<.05)으로 나타났다. 장애노인의 우울 감소를 위해 차별경험 감소 및 장애인식개선, 보건의료 및 경제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가구유형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종단적 연구를 제언한다.

빈곤노인의 미충족 의료와 관련된 융합적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the Unmet Health Needs of the Indigent Elderly)

  • 박선주;이원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21-229
    • /
    • 2017
  • 이 연구는 빈곤층 노인의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11년 한국의료패널이며 Anderson모형에 기초하여 각 요인에 속하는 변수들을 선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해 일반적 특성을, 교차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빈곤층 노인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소인성 요인에서는 무학 및 초등학교 졸업 노인이 고졸이상 학력의 노인보다 약 1.5배 이상 높았다. 가능성 요인에서는 수입목적으로 일하지 않은 노인과 고용주 자영업자 노인이 무급가족종사자보다 1.5배 이상 높으며, 필요요인에서는 일상 활동에 제한을 받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2.9배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빈곤층 노인의 의료 이용시 경제적 부담 증가가 빈곤층 노인의 미충족 의료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필수실무실습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평가 (Evaluation of Pharmacy Students' Perception on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in the Tertiary and Secondary Hospital settings)

  • 천부순;신혜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0-39
    • /
    • 2018
  • Background: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CPPE) is an important curriculum that offers students patient-centered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with evidence-based optimal pharmacotherapy for better clinical outcomes. However,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regarding CPPE in tertiary and secondary hospital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regarding the learning program of CPPE. Method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self-administered questions regarding pharmacy practices, barriers, and improvement of practical training. Fourteen institutional pharmacies located in seven region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from March 1 to June 30, 2017. The participants were pharmacy students doing clerkship in a hospital setting.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73.6%. Thirty-five participants (22.4%) had used a hospital library, but 121 (77.6%) had never used the library for drug information resources. Eighty-one (50.0%) responded that clinical knowledge and drug information was the most beneficial practice. Thirty-seven (31.1%) respondents in the tertiary hospitals and 19 (46.3%) in the secondary hospitals answered that they were filling prescriptions during the daily break. On the other hand, 72 respondents (60.5%) in the tertiary hospitals and 17 (41.5%) in the secondary hospitals did literature research to prepare for presentation. Conclusion: More students in secondary hospitals continue to fill prescriptions during the daily break, as compared to those in tertiary hospitals.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self-directed learning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and each institution considers offering onsite or online library service to improve evidence-based CPPE for pharmacy school students.

틱장애 아동 보호자의 일상 및 한의치료 이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Daily Life and Korean Medicine Utilization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Tic Disorders)

  • 윤석인;서효원;이미선;홍성규;정선용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1-376
    • /
    • 2022
  • Objective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daily life and Korean medicine treatment process and perspectives of caregivers caring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 Methods: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caregivers of patients under 13 years who were experienc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tic disorder. A total of fiv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a four-step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following four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caring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 general perception of tics, negative emotions caused by tics, social deprivation, and living with a child with tics. The following four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Korean medicine treatment experience for tic disorders: criteria for selecting treatment, awar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experience in Korean medicine,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Conclusions: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caregivers caring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such as frustration, guilt, and anxiety. They also experienced social deprivation such as stigma and prejudice.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improving symptoms of tic disorders. The application of insurance benefits to Korean medicine is needed for patients and caregivers to autonomously choose treatment.

전주 시민의 일상사와 자기의식 『혼불』과 공유지(Commons)의 사례 (The Daily History and Self-consciousness of Jeonju Citizens: Two Examples of Reading Groups)

  • 오항녕
    • 기록학연구
    • /
    • 제81호
    • /
    • pp.5-44
    • /
    • 2024
  • 본고는 전주 시민들의 활동에 대한 체험 및 관찰 보고이다. 이를 위해 시민들의 당대사이자 '작은 사람들(kleine Leute)'의 일상사(Alltagsgeschichite)를 보여주는 일기, 단체카톡방, 메모, 인터뷰 등 텍스트 또는 본디지털(born-digital)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시민 모임은 독서모임이자, 등산, 영화 같은 취미도 함께 즐기고 있다. 회원은 평범한 동네 사람들이다. 한 팀은 최명희(崔明姬)의 《혼불》을 약 1년 반 동안 읽으면서 답사를 겸하였고, 또 한 팀은 '공유지(commons)'를 주제로 몇 권의 책을 읽으며 답사, 전시나 영화를 함께 보고 누렸다. 본문은 모두 세 부분 구성하였다. 첫째, 지역민의 일상사를 살필 수 있는 방법과 관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상사의 전망과 이론의 가능성을 포착한 포이케르트(Detlev Peukert)와 뤼트케(Alf Lüdtke), 하부정치에 통찰력을 제공한 스콧(James C. Scot)의 견해를 검토하였다. 전주 시민들의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일상사 연구의 관점과 방법을 찾기 위해서였다. 이를 토대로, 둘째, 《혼불》 모임의 경험을 살폈다. 코비드(Covid)19와 대결하는 시기에 이루어진 《혼불》 읽기는 강렬한 지역성과 연관되어 시작했다. '지역이 낳은 위대한 작가'에 대한 비판이 불편했던 마음을 내려놓으면서, 회원들의 비판의식은 《혼불》 3권 이후 드러나고 6권 이후 두드러졌다. 특정한 형태의 공감(상심, Betroffenheit)에 고착되기보다 역동성을 택하는 시민들의 자기의식(고집, 아집, Eigensinn)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였다. 지역사의 서술과 연구에서 맞닥뜨릴 난점이자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셋째, 공유지를 주제로 모인 시민들을 관찰하였다. 이 모임은 전주 지역 시민들의 하부정치(infra-politics) 역량의 실제와 축적 과정을 보여주었다. 공유지 읽기는 《혼불》에 비해 지역 시민으로서의 '마음 고생'을 겪지 않았다. 그보다 사유 재산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살면서도, 모임이 진행됨에 따라 공유지에 대한 인식이 정교해지고 주체적으로 이슈와 논의를 서로 공유하였고, 그 실천과 문제의식을 통해 풍부한 은닉 대본(hidden transcript)을 축적해갔다. 현대의 일상은 자본주의 시대와 떼어서 생각하기 어렵다. 더 근본적으로 인간이 즐기거나 고통을 당하는 것은 일상 속에서, 지금 여기에서이다. 모든 역사는 지금 여기 있는 내 몸을 거친다. 이것이 일상사의 보편성이다. 일상을 살면서 동시에 비판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일상사를 만드는 시민의 역량에 달려 있다.

입원 치료중인 유방암 재발 환자의 삶의 경험 (Life Experience of Inpatients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 김영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4-224
    • /
    • 2011
  • Purpose: Understanding daily life experiences of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Methods: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Results: Consistent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hroughout the study to obtain the results. Results showed that inpatients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experience 'a co-existence of life suffering and fear of death'. The causal condition of this result was determined to be 'patient's response to cancer recurrence (acceptance/despair)', including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previous experience with cancer treatment', 'patient's current physical condition', and 'treatment methods for recurrent cancer'.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a strong will to live', 'family support', 'moral support providers',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provide patients with 'a strength to live'. Shown in these results, inpatients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were seen to have a simultaneous 'hope for life and fear of death'. Conclusion: When providing nursing services to inpatients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people must recognize there i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patients'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active strategies. Henceforth, proper cognitive nursing must be provided which encourages patients to maintain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many hardships of treatment as well as physical nursing, such as management of side effects caused by chem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