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yclodextrin effec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7초

양파음료의 제조 및 기능성 식품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oftdrinks Production and Functional Food in Onions)

  • 정동옥;박양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8-162
    • /
    • 1999
  • 양파는 항균작용, 혈액응고 억제작용, 콜레스테롤 억제효과, 고혈압 및 당뇨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향신료의 하나로써 전남 남해안 지역에서 특산물로서 생산되며, 작황 상황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농산물이다. 이러한 양파의 소비를 촉진하고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양파를 물로 추출하여 제조한 양파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고 고과당, 벌꿀, cyclodextrin 및 구연산 등을 첨가하여 양파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품의 저장, 유통기간 중의 발생될 수 있는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품질 안정제로써 cyclodextrin액을 300mg, 500mg및 1g을 첨가하여 실온 및 4$0^{\circ}C$에서의 경시변화를 관찰한 결과 1 g을 사용하였을 때가 양파음료 제품의 침전 방지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양파의 부드러운 맛도 유지할 수 있었다. 건강식품으로써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양파음료에 사용되는 양파 및 마늘을 양파 농축물과 마늘 농축물로 각각 제조하여 in vitro에서 POV 값의 변화와 Thiocyanate 방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BHA와 BHT를 이용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 POV 값의 변화는 7$0^{\circ}C$에서 7일간 관찰한 결과 control로 이용한 대두유가 561 meq/kg을 나타낸데 비하여 양파 농축물은 403 meq/kg, 마늘 농축물은 391 meq/kg. BHA는 354 meq/kg. BHT는 349 meq/kg와 같이 양파와 마늘 농축물은 BHA와 BHT에 비하여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두유를 이용한 POV 값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ocyanate 방법에 의한 항산화력의 효과는 4$0^{\circ}C$에서 12일간 배양하면서 측정한 결과 BHT, BHA, 마늘 농축물, 양파 농축물 순으로 항산화 효과를 보여 주었다. in vivo상에서 흰쥐를 이용한 항피로효과 실험을 위하여 양파 농축물과 마늘 농축물을 각각 사료 500 g당 양파, 마늘의 양으로 10 g, 5 g, 2.5 g을 첨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양파음료는 음료 그대로를 음용수 대신에 사용하여 흰쥐의 유영시간을 실험한 결과 사료 500g당 양파 2.5g 첨가시 13%의 감소를 보여 주었으나 5g 첨가시는 대조군과 거의 같은 유영시간을 나타내었고 109g 첨가시는 5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마늘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실험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2.5g 첨가시 26%의 감소를 5g 첨가시는 12%의 증가를 보여주었고 10g 첨가시는 59%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특히 양파음료는 가장 높은 효과인 72%의 증가를 보여 주었는데 이는 양파의 효능과 더불어 감미제로 사용된 당류의 영향이 아닌가 사료된다.

  • PDF

해조류 및 흡착제의 첨가가 양파즙의 냄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weeds and Adsorbents o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nion Juice)

  • 기해진;박양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77-1483
    • /
    • 1999
  • 양파의 향기성분을 보존 또는 제거할 목적으로 양파냄새를 masking하거나 제거하는 물질을 양파즙에 처리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pyruvate와 thiosulfinate를 측정하였으며 Solid Phase Micro Extraction(SPME)/GC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양파즙의 주요 향기성분은 dipropyl tetrasulfide, 1-propenyl 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trisulfide, dipropyl trisulfide 등이었다. 다시마, 미역, 김, 규조토를 첨가한 양파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향기성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활성탄과 ${\beta}-cyclodextrin$ 첨가군은 거의 모든 향기성분이 제거되었다. 여러 가지 첨가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양파즙에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파 냄새는 감소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해조류를 첨가한 군의 pyruvate와 thiosulfinate 함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활성탄을 첨가한 양파즙의 경우,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다시마, 미역, 김 등의 해조류 처리군은 양파의 향기성분과 매운맛 성분을 보존하면서 관능적으로 양파냄새를 masking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beta}-cyclodextrin$과 활성탄은 양파에 존재하는 많은 휘발성 향기성분과 복합물을 형성하거나 홉착하여 양파냄새를 제거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PDF

$\beta$-시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의 결합 특성과 벤젠의 생물학적 분해에의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inding Characteristics of $\beta$-Cyclodextrin with Benzene and Its Application on the Bioremediation)

  • 최종규;손현석;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5-70
    • /
    • 2002
  • Recently, surfactants were frequently used in order to desorb the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HOCs) from soil and to enhance the bioavailability. Among them, -cyclodextrin ($\beta$-CD) is one of th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nding characteristics between benzene and $\beta$-CD and to examine the bioavailability of benzene. First, we investigated binding characteristics between benzene and $\beta$-CD in water and water/soil system. Then, we examined the effect of $\beta$-CD on the biodegradation of benzene in water and water/soil system. Experimental results on the binding characteristics showed that $\beta$-CD resulted in an efficient complex formation with benzene. As -CD concentration increased, the benzene concentration complexed with $\beta$-CD rapidly increased to 30-40% initial benzene added, and reached the equilibrium.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beta$-CD on the desorption of benzene from soil in the water/soil system. As $\beta$-CD concentration increased, benzene concentration desorbed into water increased up to 90%. How-ever, in its application to biodegradation of benzene in water and water/soil system, the biodegradation rate of benzene did not improved in the presence of $\beta$-CD compared with in the absense of $\beta$-CD. This result indicated that $\beta$-CD was more preferentially used as a carbon source than benzene. Therefore, for remediation of benzene contaminated soils, $\beta$-CD can be used as a surfactant to desert benzene from soil, and then ex-situ chemical treatment can be applied for the remediation.

소 정액의 동결 보존시 Methyl-Beta-Cyclodextrin (MBCD)의 영향 (Effect of Methyl-Beta-Cyclodextrin (MBCD) on Cryopreservation of Bull Spermatozoa)

  • 이경진;서기범;이용승;유한준;정희태;이승환;양부근;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95-300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iciency of methyl-beta-cyclodextrin (MBCD) in the sperm preservation of bull. For this study, the freezing of diluted semen were added with Triladyl containing 20% egg-yolk and/or 0, 1, 5, 10 and 20 mM MBCD before freezing process. Analysis of viability in frozen-thawed sperm was estimated by SYBR14/PI double stain, hypoosmotic swelling test(HOST) and acrosome damage with FITC-PNA, and mitochondria activation with Rhodamin123 by flow-cytometry. The sperm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 0 mM and 5 mM concentrations of MBCD than other groups (p<0.05). However, the HOST was significantly lower at 20 mM concentration of MBCD than other concentrations (p<0.05). In addition, acrosome damage and mitochondria activ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20 mM concentration of MBCD than other groups (p<0.05). In conclusion, the viability of sper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ncentrations of MBCD 0, 5 and 10 mM, but MBCD 20 m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as concentrations of MBCD was high, HOST, acrosome damage and mitochondria activation rates had a negative effect in bull sperm.

미니돼지 정액 동결 시 Methyl-Beta-Cyclodextrin (MBCD)이 냉각 충격과 막 콜레스테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Beta-Cyclodextrin (MBCD) on Cold Shock and Membrane Cholesterol Quantity during the Freezing Process of Miniature Pig Spermatozoa)

  • 이성영;이용승;정희태;양부근;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65-271
    • /
    • 201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effect of methyl-beta-cyclodextrin (MBCD) on cold shock and membrane cholesterol quantity of sperm during the freezing process in miniature pigs. For this study, semen ejaculated from PWG M-type miniature pig was diluted that freezing solution (with egg yolk group) and m-Modena B (without egg yolk group) treated with 0, 1, 5, 10 and 20 mM MBCD before freezing process. The diluted semen was monitored sperm ability at room temperature, after cooled until $5^{\circ}C$ and after forzen-thawed for cold shock test of spermatozoa. Also, membrane cholesterol of sperm was extracted by folch solution at the same time sperm ability was assessed for viability and acrosomal status. The membrane cholesterol quantity was measur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method. The result,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in semen diluted without egg yolk groups were decreased at all temperature range by increasing of MBCD concentration. In particular, sperm of egg yolk group was showed that significantly higher viability and lower acrosome damage when treated with 5 mM MBCD (p<0.05). The results of TLC experiment, cholesterol amounts were increased with MBCD cocentration in egg yolk, and decreased with MBCD concentration in m-Modena B. In cryopreservation effici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viability, and acrosomal state of sperm in 5 mM MBC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acrosome damage than other groups (p<0.05). Therefore, the addition MBCD in egg yolk was protected spermatozoa from cold shock injury. This protective effect of MBCD may be due to addition of sperm membrane cholesterol.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를 이용한 당전이 Xylitol의 합성과 비피더스균 생육증식 효과 (Synthesis of Transglucosylated Xylitol Using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and Its Stimulating Effect on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 김태권;박동찬;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2-449
    • /
    • 1998
  • CGTase를 이용한 당전이 xylitol의 합성과 당전이 xylitol의 비피더스균 생육증식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종의 세균류가 분비하는 CGTase의 xylitol에 대한 당전이능을 비교하였으며, Thermoanaerobacter sp. 유래의 CGTase가 가장 우수한 당전이능을 보였다. 각종 당공여체를 검토한 결과 압출전분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당전이 효소반응의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생성된 당전이 xylitol을 활성탄-셀라이트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두 개의 fraction인 F-I, F-II를 얻었다. 이들의 당쇄결합 양상을 FAB mass spectrometer와 $^{13}$C-NMR spectrometer, 그리고 glucoamylase을 이용한 효소소화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xylitol에 glucose와 maltose 분자가 $\alpha$-1,4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얻어진 당전이 xylitol은 xylitol과는 달리 Bifidobacterium breve에 대한 생육촉진효과를 보였다.

  • PDF

아지도싸이미딘의 지속성방출형담체로서의 소수성시클로덱스트린유도체 (Hydrophobic Cyclodextrin Derivatives as a Sustained Release Carrier of Azidothymidine)

  • 서보연;박기배;이광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2호
    • /
    • pp.71-82
    • /
    • 1996
  •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evaluate hydrophobic cyclodextrin(CD) derivatives as a sustained release carrier of azidothymidine(AZT), AZT, which has potent activity against AIDS and AIDS-related complex as thymidine analogue, has been reported that it has significant toxicity and short hal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sustained release oral dosage form to avoid undesirable side effects attributable to an excessive plasma concentration and to reduce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AZT. Inclusion complexes of AZT with $acetyl-{\beta}-cyclodextrin\;(AC{\beta}CD)$ and $triacetyl-{\beta}-cyclodextrin(TA{\beta}CD)$ were 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Interactions of AZT with CD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and Infrared Spectrophotometry(IR). The decreasing order of water solubilities of AZT and AZT-CD inclusion complexes were as follows; $AZT\;(27.873{\pm}0.015,mg/ml)\;>\;AZT-AC{\beta}CD\;(3.377{\pm}0.003)\;>\;AZT-TA{\beta}CD\;(2.528{\pm}0.001)$. Partition coefficients of $AZT-AC{\beta}CD\;and;\AZT-TA{\beta}CD$ inclusion complexes were increased by 1.27-fold, 1.54-fold in pH 1.2 and 1.32-fold, 1.47-fold in pH 6.8 in comparison with that of AZT. The mean dissolution time (MDT, min) which represents the rapidity of dissolution rate of AZT, $AZT-AC{\beta}CD,\;AZT-TA{\beta}CD$ were 5.12, 14.02 and 19.38 min in pH 1.2 and 2.52, 15.19 and 18.19 min in pH 6.8. AZT was very rapidly and completely dissolved in pH 1.2 and pH 6.8 within 5 minutes. But AZT-CD inclusion complexes showed the sustained release pattern in comparison with AZT alone. The simultaneous in situ nasal and jejunal recirculation study to compare the intrinsic absorptivity and the property of absorption sites revealed that the absorption of $AZT-TA{\beta}CD\;(N:35.35{\pm}1.08%,\;J:27.47{\pm}1.18%)$ was more than that of $AZT\;(N:16.89{\pm}2.25%,\;J:15.86{\pm}2.33%)$.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A{\beta}CD$ which is a hydrophobic cyclodextrin may serve as sustained release carrier with absorption enhancing effect.

  • PDF

고정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에 의한 당전이 스테비오사이드의 연속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Transglucosylated Steviosides Using Immobilized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 인만진;채희정;김민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69-973
    • /
    • 1997
  • 고정화 CGTase를 이용하여 당전이 스테비오사이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몇가지 생물반응기의 적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연속형 반응기로는 packed-bed reactor(PBR)가 적합하였다. 이때 specific productivity는 0.4 g/hr-g immobilized enzyme으로 회분식반응기의 50% 정도이나 연속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PBR의 운전조건이고 $10{\sim}60\;cm/hr$의 선속도 범위내에서 스테비오사이드 전환률 70% 이상을 보이는 기질의 유속은 공간속도로 $0.5{\sim}0.7\;hr^{-1}$이었다. 고정화 효소의 운전 안정성은 $47^{\circ}C$에서 30%의 기질로 2주 일간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반응기의 control방법으로 반응기 상부에서 20%의 효소를 교체하면 20일 이상 전환률이 유지되었다.

  • PDF

탁주 양조 중 Cyclodextrin의 첨가에 의한 주질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 송재철;박현정;신완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95-900
    • /
    • 1997
  • 식품첨가물의 일종인 cyclodextrin (CD)을 막걸리 저장중에 일어나는 이상 풍미(stinking odor)를 제거하기 위해 첨가하였다. CD는 탁주제조 후 제성직 후와 이단 담금시로 구분하여 $0.1{\sim}0.3%$ 범위에서 첨가하고 일정기간이 지난 뒤 각 시료의 발효상태와 저장성, 관능성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CD를 제성한 후 첨가 하는 것보다 이단담금시에 첨가하는 것이 알코올 농도, pH, 총산, 당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고 제성한 후에 첨가한 것은 큰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인 면에서는 제성 후에 CD를 첨가하는 것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CD를 많이 첨가한 경우(0.3%)에는 CD가 막걸리 자체의 고유향까지 은폐시켜 선호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