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1초

보육시설의 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Day Care Quality)

  • 이숙;오선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89-19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not only the day care centers overall, but subordinate quality. Subiects for this study involved auditions, observations, and the use of questionnaires. By using a SAS statistic program,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One-way ANOVA/Duncan test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1. For the test of the day care centers overall and subordinate quality, an average of the centers whole quality scored 2.56 and the subordinate quality ranged from 1.94 to 2.88. 2. When the children's social copetence according to the day care centers overall quality was examined, high-quality centers ranked higher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han that of low-quality centers. 3. Finally,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day care centers subordinate quality was inspected. Here,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t difference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curriculu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rachers and children'. not unlike the above results, high subordinate-quality day care centers scored higher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han that of low subordinate-quality day care centers.

  • PDF

가정과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은정;권유진;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34
    • /
    • 2014
  • 본 연구는 가정과와 관련된 3개 주요 학술지의 교수 학습 방법 관련 연구 219편을 분석함으로써 가정과교육 분야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연구의 교수 학습 방법, 내용영역, 효과변수들을 양적으로 부호화 하여 빈도 및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 학습 방법 연구는 주요 학술지들이 출간되기 시작한 1996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2010~2011년을 정점으로 최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내용 영역으로는 특정 영역을 구분하지 않거나 2개 영역 이상을 통합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된 교수 학습 방법 중에는 교과의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제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실천적 추론 또는 문제해결이나 IT 관련 매체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내용 영역별로도 아동/가족 분야는 내용중심과 실천적 추론, 소비/경영 분야에는 매체중심 방법과 실천적 추론/문제해결이 주로 적용되었고, 의생활과 주생활은 매체중심, 내용중심의 방법, 식생활에서는 실천적 추론/문제해결, 실습/노작이 가장 많이 연구되는 등 주로 관심을 갖는 교수 학습 방법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속변수로 활용된 효과 변수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지식 또는 이해도 관련 학업성취도, 가정교과와 관련된 태도 변화, 일반적 태도 또는 역량, 수업/방법에 대한 태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 관련 연구와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 분류라는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초 연구들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정과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Home Economics Class on self-esteem and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32
    • /
    • 2017
  • 본 연구는 2009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의한 일상적인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와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경기도 Y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년간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을 실시하면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하였다. SPSS 18.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한 중학생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2.74,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1.90(4점 만점)이었으며, 스트레스의 범위는 5점 만점에서 1.88~2.48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3.90,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3.8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가족에 의한 스트레스만 남학생이 사전 사후 조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외의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학생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가족 스트레스와 친구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부적으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사후조사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와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신체 스트레스와는 약한 상관이 있었다. 넷째, 중학생들은 일상적인 가정과수업 후에 긍정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가정과수업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장과 타교과목의 학습에 따른 변화를 통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2009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가정과수업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가정과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여 가정과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로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따른 가정과수업의 효과를 살필 수 있는 대규모 종단 연구를 제안하였다.

제7차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애로점, 교수 활동 자신감 및 만족도 -대구광역시 중.고교 "기술.가정" 담당 교사를 중심으로- (The Problem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 장현숙;최지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29
    • /
    • 2006
  • 본 연구는 2001학년도부터 시행되어 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애로점, 교수 활동 자신감 및 만족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중, 고등학교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담당 교사들에게 질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의 운영형태는 전담지도와 분담지도가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져 2001학년도 시행초기보다는 영역별 분담지도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국 공립학교와 남녀공학인 학교에서 영역별 분담지도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지도와 관련하여 느끼는 애로점은 비전공 영역의 기능 및 지식 부족, 학생들의 학습 흥미 저하, 수업 자료 부족, 평가에 대한 부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의 내용 영역에 대한 교수 활동 자신감에서는 전공에 따라서는 가정 영역은 가정과 교사의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기술 영역은 기술과 교사의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운영형태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를 보면 분담지도하는 교사가 전담지도하는 교사보다 교수 활동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영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전담지도보다 영역별 분담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영역별 분담지도하는 교사가 전담지도하는 교사에 비해 거의 모든 단원에서 교수활동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운영형태에 따른 만족도도 높게 나타난 점은 일선 학교에서의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운영에서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전북 일부 지역 중학생의 제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 중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Food and Nutrition Part in Home Economics)

  • 최선정;손희숙;차연수;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food and nutrition part in Home Economics by gender, school location and school type.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about three category: perception (interests, practical usefulness, attitude change in food behavior), difficulty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balanced diet,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necessity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balanced diet,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The subjects were 1014 middle school students of 1st grade in Jeonbuk area; urban 334, suburban 339 and rural 34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in ‘interests’ by gender (girls > boys), school location (urban, suburban > rural) and school type (coeducation > boys, girls). There were differences in ‘practical usefulness’ by school location (urban > rural) and in ‘attitude change in food behavior’ by school location (urban > suburban > rural) and school type (boys, girls > coeducation). 2) There was difference in difficulty in section of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by school location (suburban > rura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ction of ‘balanced diet’ by gender, school location and school typ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ction of ‘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by school location (urban, rural > suburban) and school type (coeducation > boys). 3) There were differences in necessity for ‘balanced diet’ and for ‘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by school location (urban, suburban > rural) and school type (coeducation > boys, girls). Characteristically, the boys had more necessity for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and for ‘balanced diet’ than girls but girls had more necessity for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than boys. It suggests that gender, school type and school loc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an effective and practical curriculum of food and nutrition part in Home Economics.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환경관련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High School)

  • 김정희;박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9-73
    • /
    • 2003
  • 본 연구는 2002년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에 고시된 환경교육은 환경 교과 이외의 모든 교과에서도 환경교육을 포함시키도록 한 내용에 따라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하나인 기술ㆍ가정 교과에서 과목간 연계성을 파악하여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술$.$가정 교과 내용 중 환경 관련 내용을 검토 분석하고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 및 Web 활용 학습 자료를 제작하여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첫째, 기술ㆍ가정 교과에서의 환경 교과와의 연계성을 파악한다. 둘째, 연계성이 파악된 구체적인 내용을 나모웹에디터와 에디터 플러스, 포토샵, 소리, 동영상 제작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학술 자료를 제작한다. 또한 이를 사용하여 Web 상에서나 CD-ROM으로 시범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다. 셋째, 비교 분석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보다 효과적인 자료 활용 방안을 모색한 후 학습에 활용하여 환경 현상에 대한 그릇된 개념 및 무시하는 태도를 바로 잡게 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전환과 행동 실행을 도모하고자 한다. 자료 활용 방안으로는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활용하는 방안과 Web을 통한 활용 방안 등이 있으며 학교 실정에 맞도록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자료 활용 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경 관련 학습을 실시하는데 관련성이 많은 교과에 대한 질문에 많은 학생이 기술ㆍ가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멀티미디어나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환경교육 실시 후 학생들의 환경 보전 행동의 변화로 많은 학생들이 쓰레기 분리 수거와 자원 절약을 위해 노력하고 음식쓰레기를 남기지 않기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응답하였다.

  • PDF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 및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Propagation for Temple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 허인준;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and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opularization and the fostering of professional lecture in temple food.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453 university students at six universities with food related major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xamine interest, recognition, consumption, popularization and curriculum of temple food.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9.2% men, and 80.8% women,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to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was food related employment (53.9%). Overall, 49.0% replied that they had an interest in temple food, which was relatively low. 59.9% of respondents who had been known throw TV, Internet, newspaper, and magazines about temple food were showed the highest results. Additionally, as for the perception of temple food, 'Prevention of lifestyle related disease' was the highest score (4.10). Overall, 64.9% of the subjects had not tried temple food, and 84.7% of these responded that this was because they had not encountered temple food. Among subjects who had tried temple food, most had encountered it at a temple (73.0%), and 78.0% replied that the taste of temple food was suitable. The intention to try temple food was 73.3%, and 64.8% of respondents said there was a necessity to establishment curriculum regarding temple food. Finally, interest, popularization, and intention to try temple food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elated.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high interest in temple food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regarding temple food, as well as awareness of the need for popular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take opportunities to raise interest in temple foods. This can be accomplished utilizing publicity materials, as well as by offering opportunities for temple food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초등 저학년 돌봄 교실 건강식생활 교육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oals and Contents System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After-School Care in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 김정현;이명희;박옥진;최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4-37
    • /
    • 2019
  • Objectives: The study purpose is to develop a content system for a healthy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after-school care in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The contents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 majo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dietary life that are currently used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re analyze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held with field experts related to lower grade in elementary care class. Accordingly, the structuring of the education area and the detailed education contents were systematized. Result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contents of curriculum, textbook,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 were classified as hygiene safety, health, and culture. The goal of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nutritional dietary life, food hygiene and health, and food culture. The subjects consisted of dietary balance, healthy body weight, digestion and absorption, food hygiene,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raditional food, and table manners. The curriculum was composed of 12 content elements. Conclusions: In order to ensure that after-school care students can grow into healthy, growth-oriented and creative talents, the role of the caring guide is important, and associated guidelines are needed in the future.

중등 가정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 (A Trend analysis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 From 2009 to 2016 -)

  • 백민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8년간 출제된 중등 가정교사 임용시험의 문항을 '임용 상세화 기준'을 기본 잣대로 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년간 출제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 영역 12개 중 12개, 평가내용 요소 43개 중 42개가 출제되어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출제된 문항 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8년간 출제된 각 영역은 가정과교육학 93회(32.7%), 가족생활 41회(14.4%), 소비생활 31회(11.3%), 식생활 43회(15.2%), 의생활 41회(14.4%), 주생활 34회(12.0%)로 교과내용학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 출제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셋째, 8년간 출제 빈도가 높은 영역별 평가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가정과교육학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가족생활은 '인간 발달 과정', 소비생활은 '가계경제의 이해와 재무관리'와 '소비자 의사결정', 식생활은 '조리원리 및 실습'과 '식생활 관리', 의생활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 주생활은 '주거생활 문화의 이해' 등으로 출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영역 및 내용에 설정된 모든 영역들이 균등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미시적 관점으로 질적인 문항 분석이 필요하겠다.

고등사고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주생활 영역 평가문항 개발 (Development of Housing Evaluation Questions to Enhance Higher-Thinking Skill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한수현;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8
    • /
    • 2011
  • 지식기반사회에서 고등사고력이 강조되면서 교육평가도 고등사고력 중심의 평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습자의 다양한 개성과 잠재 능력을 길러주고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키우며 인성 및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의 사고 능력을 제고시키고, 습득한 지식과 기능 토대로 생활에서의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력, 창의력과 같은 고등사고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평가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내용요소 선정을 위해서 국가수준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따라서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9종 교과서의 내용요소와, 교과서에 실린 평가문항, 공공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문제은행 사이트의 평가문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라 '가족의 생활' 단원에서 21 개, '가정생활의 실제' 단원에서 7개의 내용요소를 선정하여 총 28개의 평가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고등사고력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평가문항 제작 시 고등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다원목적분류표 사용', '다양한 자료 활용', '평가문항 유형의 다양화', '평가문항 구성의 다양화'라는 4가지 지침을 적용하여 대문항 80개, 소문항을 포함하면 총 175 개의 펑가문항을 개발하였다. 완성된 평가문항에 대해 교사 5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타당도는 평균 4.9로 매우 높아 이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문항은 개별학교 교육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고등사고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분항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효과성에 대한 객관성을 높이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