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reation record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자치분권의 시작, 성북마을아카이브 (The Beginning of Decentralization: Seongbuk Village Archive)

  • 강성봉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7-243
    • /
    • 2022
  • 성북마을아카이브는 성북구청과 성북문화원이 협력하여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담고자 구축한 마을아카이브이다. 공동체의 기록물을 보존하는 공동체 아카이브이자, 원천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가는 디지털 아카이브이다. 민·관 거버넌스로 연차적·단계별 추진을 거쳐 관리시스템과 홈페이지를 구축하였다. 성북마을아카이브의 시스템은 고도화된 마을기록 표준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자료축적과 개별 기록물 간의 연결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성북문화원은 이를 바탕으로 기록물을 온·오프라인으로 연계하면서 융합문화콘텐츠를 생산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기록물의 보존뿐 아니라 콘텐츠 생산 및 활용을 위해 홈페이지에 보여지는 항목 구성을 다양화했다. 성북의 역사문화자원을 어떻게 하면 이용자들에게 그 생성 및 존재를 맥락과 함께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 끝에 만든 구조이다. 또한 다채로운 큐레이션과 주민기록단의 활동을 통해 보다 풍부한 아카이브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건축문화재 기록의 특성과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Records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 강수나;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3-55
    • /
    • 2009
  • 건축문화재 기록은 건축문화재 관리 업무의 과정과 결과로 만들어지며, 문화재청 및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문화재수리업자와 같은 복수의 주체가 동일 문화재의 관리 업무를 각각 담당한다. 또한 업무의 특성상 설계도면 등의 특수한 성격의 기록과 다수의 사진, 동영상 기록 등을 포함하므로, 건축문화재에 대한 관리 업무의 절차와 그 기록의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어야만 건축문화재 기록의 가치를 상실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는 건축문화재 관리 업무 현장의 현실에 맞는 기록관리의 방법을 제안하고, 건축문화재 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차후에 활용하기 위해 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를 대상으로 하여 건축문화재 관리업무 및 생성 기록의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러한 특성에 맞는 통합적이고도 과학적인 기록관리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결과 건축문화재 기록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관리체계이다. 이에 기록 생산 기관인 문화재청, 지방자치단체, 문화재수리업자 각각이 기록을 분산 관리하되 통일된 시스템에 기록을 등록 관리하는 네트워킹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과 전문 시설과 인력을 갖춘 전문적인 기록물 관리기관으로서의 건축문화재 전문 아카이브즈를 만들어 이를 통해 기록들을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천주교 대전교구의 기록관리 : 개선안 및 기록물 정리 방안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of the Catholic Daejon Dioces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rchival Arrangement and the Ways of Improvement)

  • 하종희
    • 기록학연구
    • /
    • 제4호
    • /
    • pp.63-91
    • /
    • 2001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existing condition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seek its improvement and progress on a concrete model of Daejon Diocese as a kind of case study,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to develop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Daejon Diocese which has the catholic jurisdiction covering the areas of Daejon city and Chung Cheong Nam - Do province, celebrated the 40th anniversary of the diocese in 1998. At that, time, the authority of Daejon Diocese claimed to establish its church history institution and to plan the publication of "40 years history of Daejon Diocese". However, its publication could not be achieved until now for several reasons. Since my search for the cause of this situation, I immediately recognized that the lack of materials might be a common condition in almost all of the associations, especially with respect to management, preservation and access of the records and archives. The records in the archival repository of Daejon Diocese have been considerably lost because of the past intemperate destruction and these records have just piled for long time without any reasonable disposal programme. Therefore, in these poor conditions, it is inevitable to delay the publication of "40 years history of Daejon Diocese." This thesis deals with the archival arrangement and the ways of improvement by means of studying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s the essential issues. The archival arrange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venance, the date of creation, and form division. The methods of improvement include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the scope of archives, archival staff, disposal and so on. Records have the legal and social value after being produced and they can remain as historical and cultural inheritances under the excellent condition of management and preservation. However, in examining the case of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in Daejon Diocese, I understand that it will need considerable time, man power, and financial cost in order to maintain the desirable level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Therefore, it is a important step for Catholic Daejo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ver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KARMA를 활용한 ISAD(G)와 CIDOC CRM 연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Linking ISAD(G) and CIDOC CRM Using KARMA)

  • 박지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9-214
    • /
    • 2018
  • 기록물 기술은 기록관리 전문가의 창작과 편집 과정이며, 그 결과로 생산된 기록 레코드는 이용자가 기록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밑거름이 된다. 그리고 기록물 기술을 위해 보급되는 다양한 기술 표준은 기록 레코드의 내용과 구조를 규정하는 중요한 도구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물 기술표준의 특징을 데이터 모형의 구조 측면에서 분석하고, 기록물 기술표준인 ISAD(G)와 문화자원 분야의 도메인 온톨로지인 CIDOC CRM을 시범적으로 연계하였다. 연계에 앞서 ISAD(G)를 데이터 구조 측면에서 분석했으며, 분석 결과를 CIDOC CRM에 맵핑하였고, 연계 플랫폼으로는 KARMA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온톨로지 기반의 맵핑 방식에 대한 이해와 이벤트 기반 CIDOC CRM에 대한 인식 제고 및 CRM 연계온톨로지의 개발, ISAD(G)의 기존 기술요소 값에 대한 재구조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Video Content on YouTube with the Help of Built-in Analytical Tools

  • Bratus, Ivan;Boiko, Vita;Zaharchuk, Oleh;Zaitseva, Veronika;Gunka, Anna;Sachok, Vikto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37-140
    • /
    • 2022
  • The article deals with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content on the YouTube channel with the help of built-in analytics tool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creation of quality video, taking into account the reaction of end users of video materials. Ways to increase the video audience are considered. Techniques for improving video content apply to individual videos, as well as playlists and channels in general. In this case YouTube is both an independent educational platform and an auxiliary platform in a set of various educational solutions.

선암사 '대각국사중창건도'연구 -제작시기와 배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at Seon-Am Temple -Mainly about the Time of Drawing and Background-)

  • 홍병화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3호
    • /
    • pp.55-72
    • /
    • 2012
  • There is a temple drawing called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at Seon-Am Temple of which the time of creation is unknown. This drawing shows the details of Seon-Am Temple and surrounding areas well,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Seon-Am Temple and other small mountain temples. The records on the top also describe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he Fengshui aspect, and describes the number of buildings at Seon-Am Templ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yle that gives clues about the age of this drawing, the time range can be narrowed down in order to approximate the age of this drawing through the Buddhist trends of Seon-Am Temple. In the results, it was estimated that the drawing dates back to the time when Seon-Am Temple flourished in the mid-18th Century as it's competition with the temple of Songgwang actually began. Buddhism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principals were delivered through this relationship. Therefore, the activities to increase the connection between monks and this drawing were created in order to indicate the atmosphere of the Seon-Am Temple of the time.

고문헌 속 언어를 통한 한국의 고전화장 시각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Classic Makeup in Korea through the Language in Old Documents)

  • 방기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1호
    • /
    • pp.96-10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visualize classic makeup through Korean visual language in old literature. It provides consumers with creativity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and proposes a new conceptual visualization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by drawing from old literature studies, previous reproduction records, examples, and international standard diagram text language expression. First, the visualization work expressed in visual language in old literature was an objective and efficient method of information delivery as a characteristic of information design. Second, visual language expressed in old documents could be divided into makeup materials and actions. Also, the diagrams were appropriate for visualizing materials and materials for storytelling. Third, in the visualization of Korean classic makeup in old literature, images were more appropriate than diagrams in the case of action. The researcher proposed a method of visualizing historical knowledge that went one step beyond the existing simple event timing method. Timeline, correlation diagram, image, and text were combined in various ways to find the most effective historical knowledge visualization method.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lassic makeup goes beyond the meaning of language or text and is the cultural content of re-creation, which requires systematic globalization.

조선시대 한양 청계천 가산(假山)의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Willow Tree Fence(樹柵) in Gasan(假山) of Cheonggyecheon, Hanya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심순희;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2호
    • /
    • pp.118-141
    • /
    • 2024
  • 본 연구는 고문헌(古文獻) 기록과 도상자료(圖像資料)를 조사·분석하여 조선시대 수해 방지를 위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한양도성(漢陽都城) 내 청계천(淸溪川) 가산(假山)에 식재된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동안 버드나무에 관련된 연구 사례는 있었으나 버드나무의 구체적인 활용사례와 그 역사적 배경을 조사·분석하여 그 원형적 가치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시대 청계천에 조성된 버드나무 수책의 사례를 확인하고 조성 배경과 지역적 특징을 조명함으로써 그 가치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의 수재(水災)는 제일 큰 위해 요소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6~18세기 조선은 홍수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였다. 영조 시기에 이르러서는 도성의 사산(四山)이 모두 민둥산이 되었는데, 이는 잦은 홍수의 원인이 되었다. 1760년(영조 36)에 영조는 준천사업(濬川事業)을 통해 장마 때마다 넘치는 청계천 바닥을 준설하고 오간수문 양안에 조성된 가산에 버드나무 수책을 조성하여 수해를 예방하고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영조 시기인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광여도(廣輿圖)》 속의 <도성도(都城圖)>에는 오간수문(五間水門) 앞에 조성된 가산이 보이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서 1760년(영조 36)에 버들을 양쪽 가산에 심었다는 기록을 검증하였으며, 1770년(영조 46) 제작된 <한양도성도(漢陽都城圖)>를 통해 18세기 후반에는 오간수문 근처의 가산 위 버드나무가 숲을 이루어 우거졌던 사실도 확증하였다. 또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등의 고문헌 기록을 통해 청계천 준천사업과 버드나무 수책의 조성이 조선 전기인 15세기부터 조선 후기인 19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홍수 및 수해 방지는 물론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는데 큰 바탕이 되었던 조선시대 버드나무 수책의 조성사례와 그 활용성을 조사함으로써 버드나무가 고유한 문화유산이자 전통 경관자원이었음을 알리고, 버드나무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데 의의가 있다.

백제왕조 출토유물 이미지를 활용한 자카드직물 문양 (Jacquard Patterns Inspired by Excavated Relics of Baekje Dynasty)

  • 김병미;이미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1-148
    • /
    • 2007
  • As Backje(B.C. 18-A.D. 600) is the whole area of Chungcheong, Jeonra, Kangwon and Gyeongsang provinces, the son of the founder of Goguryeo, King Onjoe, making the castle Wu'irae capital of the nation, founded Backje. The capital was transferred to Hansung by B.C. 5 and then to Gongju by A.D. 475. Backje governed the east of China and the northeastern coast. Due to the effect of Chinese culture there are remarkably Chinese cultural elements in dress and its ornament of Baekje. Therefore on the side of cultural part, the noble culture was formed more polished than that of Goguryeo, which affected the culture of dress and ornament. And also there were class differentiation noticeably. Baekje created splendid culture and affected the culture development of Shinra and Japan. The motive of culture creation could be the top of three countries in the foreign trade because there were geographically the widest vast plain and coastline which stretches out from north to south. Although there haven't been many materials about the cultural heritage and records more than other countries, through the modern visual point its design is fresh and more elegant those of other countries. But the fact is that there are few materials related to Baekje. What is worse, there rarely remains all original form and most of them are broken and lost. According1y, we cannot understand not only an original form of Baekje culture and but also the meaning included in i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re are few materials about the clothes and fabrics. As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Baekje itself is insufficient, a culture enterprise utilizing it - to improve both the added value and economical achievement while combining the latest culture resources with other fields - hasn't been successful.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improve economic power through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sources of the culture of Baekje. By reanalyzing a form and an image of Baekje relics, it is designed with new motif and modem preference on the condition of our peculiar cultural heritage. And while using this motif with Jacquard pattern, we made it possible to be applied to real life such as interior trinkets, etc.

  • PDF

경복궁(景福宮) 향원정(香遠亭)의 조성시기(造成時期)와 취향교(醉香橋)의 원형(原形)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the Chwihyanggyo Bridge and the Creation of the Hyangwonjeong in Gyeongbokgung Palace)

  • 남호현;김태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192-207
    • /
    • 2018
  • 경복궁의 후원에 위치한 향원정과 취향교는 고종 연간의 관련 사료와 조선 후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몇몇 도면에 의지하여 연구되고 있었다. 현재의 취향교는 한국전쟁을 거치며 전소된 것을 종전 후 임시적으로 재건한 것이기 때문에 형태를 비롯하여 재건 위치도 정확한 고증을 거친 것이 아니다. 구한말~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과 이를 묘사한 그림엽서 따위가 일부 남아있지만 촬영 주체나 시기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여 어떤 사진이 취향교의 원모습을 담은 것인지 판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2017년 취향교 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조사를 통해 취향교의 원위치와 교각 주춧돌의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취향교의 변화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최초의 취향교는 상판이 약한 아치를 그리는 3렬의 교각열을 가진 형태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교각열이 늘어난 평교형태로 변화한 것이 밝혀졌다. 또한 향원지 내 가도(假島)의 성토층에 대한 AMS연대측정을 통해 향원정이 임란 이후에 조성되었음이 판정되어 기존에 제기되던 '조선 전기 취로정 전신설'은 근거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발굴조사 및 사료검토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한다면 취향교와 향원정의 조성 시기는 조선 후기 건청궁의 건립연대와 평행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