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Willow Tree Fence(樹柵) in Gasan(假山) of Cheonggyecheon, Hanya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조선시대 한양 청계천 가산(假山)의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관한 연구

  • SHIM Sunhui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심순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 Received : 2024.03.14
  • Accepted : 2024.05.10
  • Published : 2024.06.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ancient literature records and iconographic materials to examine the Willow Tree Fence(樹柵) built on Gasan(假山) Cheonggyecheon(淸溪川) within the Hanyangdoseong, which was deliberately created to prevent flood damage during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re have been research cases related to the willow tree,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its archetypal valu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specific use cases of the willow tre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xamples of the Willow Tree Fence(樹柵) created in Cheonggyecheon(淸溪川)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reinterpret their value by illuminating the background of construc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presumed that flood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a great hazard. Betwee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Joseon suffered severe damage from floods. By the time of King Yeongjo, all Four Mountains(四山) of the capital had become bare mountains, which was the cause of frequent floods. In the year of Gyeongjin(庚辰, the 2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60), King Yeongjo dredged the channel bottom of Cheonggyecheon(淸溪川), which overflowed every rainy season, with the Juncheon Project(Channel-Dredging, 濬川事業) and planted willow trees on the mountain on both sides of the Ogan Water Gate(五間水門), as measures to prevent flood damage and soil loss. was implemented. In the <Doseongdo(都城圖)> in 《 Gwangyeodo(廣輿圖)》 p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Gasan(假山), built in front of the Ogan Water Gate(五間水門) is visible, and in the record 『Sinjeung Donggukyeoji Seungnam(新增東國輿地勝)』 In the record, it appears that willows were plan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ain in the year of Gyeongjin(1760). With <Hanyangdoseong Map(漢陽都城圖)> produced in the 4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70), it is confirmed that willow trees formed a thick forest on Gasan Mountain near the Ogan Water Gate(五間水門) in the late 18th century. In addition, the Juncheon Project(Channel-Dredging, 濬川事業) and the creation of the Willow Tree Fence(樹柵) continued from the 15th century,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前期),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late Joseon Dynasty(朝鮮後期), through the records of ancient literature such a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Seungjeongwon Diary(承政院日記)』, and 『Records of Daily Reflections(日省錄)』.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forming that the willow tree was a unique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landscape resource by investigating the composition and use of the Willow Tree Fence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a great basis for preventing floods and flood damage, as well as forming a beautiful landscape.

본 연구는 고문헌(古文獻) 기록과 도상자료(圖像資料)를 조사·분석하여 조선시대 수해 방지를 위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한양도성(漢陽都城) 내 청계천(淸溪川) 가산(假山)에 식재된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동안 버드나무에 관련된 연구 사례는 있었으나 버드나무의 구체적인 활용사례와 그 역사적 배경을 조사·분석하여 그 원형적 가치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시대 청계천에 조성된 버드나무 수책의 사례를 확인하고 조성 배경과 지역적 특징을 조명함으로써 그 가치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의 수재(水災)는 제일 큰 위해 요소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6~18세기 조선은 홍수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였다. 영조 시기에 이르러서는 도성의 사산(四山)이 모두 민둥산이 되었는데, 이는 잦은 홍수의 원인이 되었다. 1760년(영조 36)에 영조는 준천사업(濬川事業)을 통해 장마 때마다 넘치는 청계천 바닥을 준설하고 오간수문 양안에 조성된 가산에 버드나무 수책을 조성하여 수해를 예방하고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영조 시기인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광여도(廣輿圖)》 속의 <도성도(都城圖)>에는 오간수문(五間水門) 앞에 조성된 가산이 보이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서 1760년(영조 36)에 버들을 양쪽 가산에 심었다는 기록을 검증하였으며, 1770년(영조 46) 제작된 <한양도성도(漢陽都城圖)>를 통해 18세기 후반에는 오간수문 근처의 가산 위 버드나무가 숲을 이루어 우거졌던 사실도 확증하였다. 또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등의 고문헌 기록을 통해 청계천 준천사업과 버드나무 수책의 조성이 조선 전기인 15세기부터 조선 후기인 19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홍수 및 수해 방지는 물론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는데 큰 바탕이 되었던 조선시대 버드나무 수책의 조성사례와 그 활용성을 조사함으로써 버드나무가 고유한 문화유산이자 전통 경관자원이었음을 알리고, 버드나무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육(金堉), 「잠곡유고(潛谷遺稿)」
  2. 서영보(徐榮輔).심상규(沈象奎), 「만기요람(萬機要覽)」
  3. 신흠(申欽), 「야언(野言)」
  4. 이유원(李裕元), 「임하필기(林下筆記)」
  5. 이익(李瀷), 「성호전집(星湖全集)」
  6. 정약용(丁若鏞), 「목민심서(牧民心書)」
  7. 정조(正祖), 「홍재전서(弘齋全書)」
  8. 채제공(蔡濟恭), 「번암집(樊巖集)」
  9. 최한기(崔漢綺), 「농정회요(農政會要)」
  10. 홍계희(洪啓禧), 「준천사실(濬川事實」
  11. 홍양호(洪良浩), 「이계집(耳溪集)」
  12. 「국조보감(國朝寶鑑)」
  13.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14. 「만기요람(萬機要覽)」
  15. 「문종실록(文宗實錄))」
  16. 「성종실록(成宗實錄)」
  17. 「세조실록(世祖實錄)」
  18. 「세종실록(世宗實錄)」
  19. 「숙종실록(肅宗實錄)」
  20.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21.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22. 「영조실록(英祖實錄)」
  23. 「전율통보(典律通補)」
  24. 「정조실록(正祖實錄)」
  25. 「중종실록(中宗實錄)」
  26. 「태종실록(太宗實錄)」
  2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 「규장각 소장 고지도로 조선시대를 살아보다」.
  28. 강문식, 2021, 「신역 태종실록(太宗實錄)」, 새 왕조의 기틀 마련과 제도 정비의 기록.
  29. 강미리, 2013, 「인공조성된 도시하천에 생육하는 버드나무류 관리에 대한 생태적 평가 : 청계천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김묘정.정기호.김두규, 2016,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의 가산(假山)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4), 한국전통조경학회.
  31. 김상규, 1999, 「토질역학」, 청문각.
  32. 김연옥, 1987, 「조선시대의 기후환경」, 「지리학논총」 14.
  33. 김현준, 2006, 「조선시대 청계천의 홍수와 하천정비 연구」, 「2023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34. 김현준, 2017, 「조선시대 도성의 개천관리 고찰: 준천사절목」, 「2017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대한토목학회.
  35. 나미연, 2024, 「한강 하구 장항습지의 육화에 따른 버드나무속 군집 특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노재현.최종희.신상섭, 2010, 「수원 화성 용연(龍淵)과 화홍문 일곽의 원형경관 탐색」, 「한국조경학회지」 38(2).
  37. 농촌진흥청, 2006, 「고농서국역총서 11 : 농정회요」.
  38. 박성래, 「우리 측우기 소개한 기상학자 和田雄治(1859~1918)」 「과학과 기술」 30(6),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7.
  39. 백종철.사공영보.김용기, 2007, 「조선시대 수원 화성(華城)의 녹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40. 성낙수 역주, 2016,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2집.
  41. 신병주, 2013, 「영조의 청계천 준설」, 한국학중앙연구원.
  42. 신용진, 2022, 「남한강 버드나무군락의 입지환경과 식생구조 특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심순희, 2023, 「조선시대 수책(樹柵)의 고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77, 「서울6백년사」.
  45. 오청현.남동호.김병식, 2019, 「강원도 지역의 산불 발생이 홍수량 및 토석류 발생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9(6).
  46. 윤경호.김현준, 2015, 「역사기록에 나타난 극치호우사상 검증을 위한 홍수범람 해석」, 「한국위기관리논집」 11(7).
  47. 윤종태, 2002, 「수원화성(유천성) 원형경관에 나타난 버드나무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기봉, 2010,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지명연구」,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연구총서.
  49. 이명희, 2010, 「조선시대의 기상재해 분포에 관한 연구: 홍수와 가뭄재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선, 2003, 「궁궐 속의 숲과 물: 청계천(淸溪川)의 원류(源流)」, 「숲과 물 그리고 문화」(숲과 문화 총서 11).
  51. 이창복, 1999, 「신고수목학」, 향문사.
  52. 이춘석.박명안.강호철, 2003, 「갯버들 근계의 토양 입자 해리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3).
  53. 이팔홍, 2002, 「河川邊에 分布하는 버드나무屬의 生場 特性과 郡集 動態」,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임경빈, 2019, 「이야기가 있는 나무백과 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5. 원영환 역, 2001, 「국역준천사실.주교지남」,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56. 조선총독부관측소, 1917, 「한양의 홍수」,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
  57. 청계천문화관, 2015, 「청계천 버드나무」, 서울역사박물관.
  58. 최근무, 1969, 「재해소고(중)」, 「전주교육대학논문집」 4.
  59. 최지원, 2019, 「한강 하구변 습지에 분포하는 버드나무속의 군락 구조 특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common).
  61. 매일경제(https://www.mk.co.kr/economy/).
  62.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article/).
  63. KBS 뉴스(https://news.kbs.co.kr/news/).
  6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