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isine

검색결과 679건 처리시간 0.031초

동양 면요리 육수의 항산화 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Meat Broths Served with Oriental Noodles)

  • 김성훈;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0-15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대표적 면요리 육수의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식, 중국식, 일본식 육수를 각각 제조하여, ESR과 비색법을 이용하여 DPPH, hydroxyl, peroxyl, superoxide, ABTS 등의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한국식 육수, 중국식 육수 및 일본식 육수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2 $mg/m{\ell}$의 농도의 실험에서 2.78%, 25.37% 및 40.74%의 소거 활성을 보였다. 한국식 및 중국식 육수는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은 매우 낮았으나, 일본식 육수는 0.5 $mg/m{\ell}$에서 59.06%로 소거 활성이 높았다. 한국식, 중국식 및 일본식 육수의 peroxy radical 소거 활성($IC_{50}$)은 각각 0.121 $mg/m{\ell}$, 0.222 $mg/m{\ell}$ 및 0.013 $mg/m{\ell}$으로 일본식 육수가 peroxy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았다. 한국식, 중국식 및 일본식 육수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의 $IC_{50}$ 값은 1.2 $mg/m{\ell}$, 1.8 $mg/m{\ell}$ 및 1.249 $mg/m{\ell}$였다.

찹쌀가루 첨가량에 따른 산약병의 기호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yakbyu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lutinous Rice Flour)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91-594
    • /
    • 1999
  • 찹쌀가루의 첨가수준을 0%, 10%, 20%, 30%, 40%, 50%로 달리하여 제조한 산약병의 기계적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품질평가를 하였다. 산약병의 수분함량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것을 L 값은 찹쌀가루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a 값과 b 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마가루에 함유된 단백질 함량의 영향 및 마가루 자체의 색으로 인해 마를 첨가할수록 육안으로 보기에도 검어지며, 황색도 및 적색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Two bite compression test에 의한 텍스쳐 특성치를 살펴보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cohesiveness 등은 찹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pringiness는 각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가루의 함량이 높을수록 조직이 잘 결착되며 점성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항목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색의 것은 10% 첨가한 것을, 향미는 20% 첨가한 것을, 맛은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내에서의 조직특성을 나타내는 adhesivenes와 consistency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adhesiveness 및 consistency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의 함량이 높을수록 점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떡을 먹을 때 이에 달라붙어 점착성이 큰 것보다는 부드러운 것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Overall acceptance의 경우, 40% 첨가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찹쌀가루가 40% 정도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충남지역 대학생의 탕평채에 대한 인식 및 인지도 (Awareness and Recognition of Tangpyeongchae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 이경애;최윤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8-455
    • /
    • 2015
  • 충남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탕평채에 대한 인상, 인지도, 인식 그리고 탕평채에서 연상되는 이미지 등을 조사하였다. 탕평채 섭취 후 인상은 조사대상자의 88.4%가 '보통이다' 이상의 좋은 인상을 받았으며 성별(p<0.01), 전공(p<0.05), 주거형태(p<0.01)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식품영양전공자는 비전공자에 비해 더 좋은 인상을 받았다. 탕평채에 대한 인지도 조사 결과, '탕평채는 나물의 한 종류이다.'(74.5%) > '탕평책에서 유래한 음식이다' (59.4%) > '궁중음식이다'(42.3%) 순으로 인지도가 낮아졌으며 식품영양 전공자의 인지도가 더 높았다. 대부분의 식품영양전공자는 청포묵, 숙주나물, 미나리, 고기, 달걀, 김을 탕평채의 재료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비전공자는 50% 이상이 미나리를 탕평채 재료라고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탕평채를 먹기에 적합한 계절로 80% 이상의 조사대상자가 '봄' 또는 '여름'이라고 답하였다. 한편 '한국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음식', '오방색을 구현한 음식'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탕평채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로는 '한국의 맛'이라는 응답이 63.7%로 가장 많았으며 이 외에 '건강식', '조화로움', '영양이 풍부한 음식', '다이어트식', '맛깔스러운 음식', '고급스러움', '아름다움', '평화로움' 등의 이미지가 연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탕평채는 한국의 이미지와 한국의 맛이 담긴 대표적 한식이며 아울러 한식을 세계화하는데 적합한 음식으로 여겨진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7-335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 "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1900년대 이전 문헌에 기록된 전 조리법의 문헌적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 Fan Fried Side dishes(Jeon)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900s)

  • 최영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9-639
    • /
    • 2012
  • Jeon refers to a type of Korean cuisine used as a side dish, made with various ingredients such as meat, vegetables, or fish, mixed with flour batter and coated with egg batter and then pan-fried on both sides with oil so that heat spreads through them wel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rnerstone of further research on Korean dietary life, by reviewing types, recipes and names of Jeon recorded in ancient cookbooks (Korean literatures) and by analyzing changes in recipes to make Jeon, which our ancestors used wisely as one type of side dish. Considering developments and changes recorded in old documents, the Jeon recipe appeared relatively later than the recipes for grilling, steaming et al, which had been developed much earlier, and it had not been recorded until the 1600s. Changes of Jeon recipes by time period are as follows. In the 1600s, there were three recipes: frying only with grain batter after preparation of ingredients, frying right after preparation of ingredients, and putting ingredients on already fried watery batter. These three recipes were still used in the 1700s, in addition to a new recipe, in which ingredients were oil-fried to be skewered. Today's recipe in which prepared ingredients are fried after getting coated with flour and egg only appeared in 1800s. This has been the main recipe for Jeon ever since. In that time period, there was more variety of recipes and ingredients than before. For instance, Jeon was used for soup or steamed dishes instead of being served as a dish itself. Buchimgae with mixed ingredients was also considered Jeon. In the 1900s, there appeared more names for Jeon as more sorts of ingredients got used, even though there were no new recipes for Jeon. The above-mentioned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traditional recipes for Jeon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dishes, using diverse ingredients, and it might be a smart solution to today's problematic dietary habits involving excessive intake of nutrients, in that it provides a healthy way to add fat. In the same sense, the recipe for Jeon can play an active role in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foods, in which healthiness is a main feature.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the recipes for Jeon were used even for meals that were not side dishes, such as Jun-Gwa (Jung-Gwa), Jun-Yak and fried rice-cake. Also, there were dishes using the same recipes even without carrying the name of Jeon, like Buchim or Jijim. This might be worthy of further examination in culinary science.

과실유래 단백질 조효소액과 과육의 근원섬유 분해 효과에 관한 연구 (Proteolytic Effect of Fruit Flesh and Crude Enzyme Extract from Fruits on Myofibrilar Protein)

  • 김미현;노정해;김미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3-329
    • /
    • 2010
  • 국내산 무화과, 키위, 배, 파인애플은 단백분해효과가 알려져 조리 중에 쓰여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이들 과실로부터 조효소액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 과실을 직접 소고기에 처리하여 연육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실에서 조효소액을 추출한 후 카제인과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분해 능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 조효소액을 근원섬유 단백질에 처리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배를 제외하고 조효소액의 농도를 증가시켜 처리할수록 myosin heavy chain이 170,000D 이하로 붕괴됨을 볼 수 있었다. 연육작용 측정에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진 소편화율을 관찰한 결과, 파인애플 > 키위 > 무화과 > 배로서 근원섬유단백질 분해 활성의 순서와 같았다. 소고기에 갈은 과육을 5% 및 10%로 처리하였을 때 침지액의 가용성 질소량을 측정한 결과, 과실 처리구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가용성 질소량을 나타내었다. 과실을 갈아 소고기에 처리한 후 가열하여 전단력을 측정한 결과, 파인애플이 연육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고기에 갈은 과실을 넣고 숙성하여 가열한 후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springiness와 gumminess의 경우 파인애플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위도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의 연육효과를 평가한 결과, 5% 첨가시 연도의 경우는 파인애플과 키위가 가장 연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호도의 경우 모든 과실에서 10% 첨가보다 5%가 더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Pentanal과 hexanal 측정에 의한 대두유의 산패도 측정 (Evaluation of soybean oil rancidity by pentanal and hexanal determination)

  • 전호남;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49-153
    • /
    • 1991
  •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휘발성 산화생성물 분석으로 대두유의 산화진행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의 분리방법으로 GC 주입부에 들어가는 splitless mode liner insert에 Tenax GC를 충전하여 휘발성 산화생성물을 포집 및 용출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polyethylene 용기에 포장된 대두유를 $60^{\circ}C$에서 400 lux의 형광등을 12시간 주기로 점멸시켜 100일간 저장하고 휘발성 산화생성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pentanal과 hexanal을 분석하면 대두유의 산화 진행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이 저장 은도를 달리한 대두유에도 적용이 가능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 온도를 $20^{\circ}C,\;40^{\circ}C$$60^{\circ}C$로 한 대두유의 pentanal과 hexanal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한 결과와 관능검사에 의한 산패취 측정결과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pentanal(PE), hexanal(HE) 및 $log(PE){\cdot}log(HE){\cdot}log(PE){\times}log(HE)$의 세 가지를 면수로 한 회구식들의 상관 계수 값이 각각 0.941, 0.953 및 0.947로 다같이 높은 값을 보여 저장 은도가 다론 대두유의 경우에는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리피로 분석한 pentanal과 hexanal이 대두유의 품질 지표 성분으로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널리 쓰이고 있는 산가, 과산화물가와 관능검사에 의한 산패 취 측정 결과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상관 계수의 값이 산가는 0.756, 과산화물가는 0.503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17세기 이전 장류(醬類)에 대한 문헌적 고찰 (Investigation of Fermented soybean sauce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 최영진;조신호;정낙원;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97호
    • /
    • pp.107-123
    • /
    • 2007
  • There were fifty two kinds of fermented soybean sauce before 17th century thirteen recorded in ${\ulcorner}$Sangayorock${\lrcorner}$, two in ${\ulcorner}$Sasichanyo${\lrcorner}$, one in ${\ulcorner}$Yongjechongwha${\lrcorner}$, nine in ${\ulcorner}$Soowonjabbang${\lrcorner}$, one in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six in ${\ulcorner}$Dongyoebogam${\lrcorner}$, four in ${\ulcorner}$Gushangchalyo${\lrcorner}$, five in ${\ulcorner}$Guhwangboyubang${\lrcorner}$, two in ${\ulcorner}$Yorock${\lrcorner}$, four in ${\ulcorner}$Chisengyoram${\lrcorner}$ and five in ${\ulcorner}$Joobangmoon${\lrcorner}$. These books had thing to know when making fermented soybean sauce like kinds of soybean sauce, how to make it, its ingredients and quantities to be used, how to make fermented soybean sauce in haste, and how to remake wrong made fermented soybean sauce, etc. Before 17th century, fermented soybean malt was divided into two kinds the only soybean malt and the mixed soybean malt that had bean, wheat, wheat flour and wheat bran. The bean only soybean malt was further divided into mashed soybean malt (Beans were steamed and mashed into past.) and unmashed soybean malt (Beans maintained their shape without being mashed.) while mashed soybean malts were made in Winger, in January of February, unmashed and mixed soybean malts were made in Summer, in July. When made fermented soybean sauce, mashed and unmashed soybean malts were used as they were and mixed soybean malt was dried and powdered for use. Fermented soybean sauce before 17th century could be classified by the features of soybean malts being used, Normal fermented soybean sauce was made from bean only soybean malts and other ingredients. Shi(시) was made from unmashed soybean malts, in which beans maintained their shape, and Gowhajang and Jeupjang were made from mixed soybean and wheat bran. Fermented soybean sauce was also made from old fermented soybean sauce, yeast. water leftover after boiling bean leaves, and soybean chaff without soybean malt. There were also side dish type soybean sauce like Kongjaban today and fish and meat sauce made from flesh ingredients. To make fermented soybean sauce in haste, the soybean sauce was heated. Beside there were how to maintain fermented soybean sauce and how to remake wrong made fermented soybean sauce.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과정류의 문헌적 고찰 (An Investigation on 'Kwa-Jung';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 조신호;정낙원;최영진;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2-324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ames and various types of "kwa-jung" along with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occurring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kwa-jungs were classified into 7 groups including Yoomilkwa, Yookwa, Dasik, Junkwa, Kwapyun, Yutganjung and Dang. A total of 72 kinds of kwa-jung were found. 26 kinds of Yoomilkwa, 18 kinds of Yookwa, 7 kinds of Dasik, 10 kinds of Junkwa, 1 kind of Kwapyun, 3 kinds of Yutganjung and 8 kinds of Dang. Among the types of Yoomilkwa, Yackwa was recognized as the best food according to the references. Also the cooking methods for items had a tendency to become simpler as society became modernized. Original and rare Ingredients were often substituted with other items that could be found more easily where people lived As recorded, the Yookwa group included kangyung, sanja, and bingsakwa. And as society became modernized, people tended to buy Yookwa in the store rather than making it at home due to its complicated and often difficult cooking process. The Dasik items were a kneaded mixture of flour, or the flour of chestnuts, with honey. These were formed into various patterns like birds, animals, butterflies, tree leaves and flowers, or as ki-wha by using printing cooking utensils Honey was used as a sweetener and as a combining material. The Junkwa consisted of roots or fruits that could be easily obtained these cooked or raw foodstuffs were then mixed with sugar and simmered. The Kwapyun used sour fruit juices as a main ingredient. These were then combined with sugar and simmered and allowed to harden. Then they were cut into square shapes after cooling. Yutkangjung was a mixture of yut, chochung, honey or syrup and pine nuts. which was combined over low heat. After mixing and stirring it was cut into square shapes. Finally, the Yut was typically cooked with grains and powdered malt and stirred until thickened.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식품의 저장중 품질변화 평가 (Application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Shelf-Life Determination of Processed Food)

  • 김정환;윤상기;최준봉;김재철;공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03-707
    • /
    • 1995
  • 조리가공후 열처리하여 미생물학적 변패의 가능성을 배제한 식품의 저장중 일어나는 이화학적, 관능적 변화를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품질저하를 평가하였다. 제조된 식품을 20, 30 및 $40^{\circ}C$에서 저장하면서, pH, 산도, 색도 및 3개의 관능특성 변화 등 9개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떨어져 시료의 관능적 품질수명은 $40^{\circ}C$의 경우는 1.5개월, $20^{\circ}C$$30^{\circ}C$의 경우는 3개월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온도의 상승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속도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저장중의 품질 변화를 평가한 결과, 9개의 측정항목에 대하여 제1주성분은 49.6%, 제2주성분은 28.8%를 설명할 수 있었다. 제1주성분점수의 변화는 유의적이었으며, 변화의 기울기가 20, 30 및 $40^{\circ}C$에서 각각 -1.07, -1.33 및 -1.82로서, 제1주성분점수의 변화는 저장온도가 $10^{\circ}C$씩 증가함에 따라 약 1.30배씩 증가하여, 기호도검사에 의한 $20^{\circ}C$$40^{\circ}C$의 저장수명 변화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식품의 저장중 품질변화를 평가하고, 저장수명을 예측하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의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