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size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3초

폭 변화에 따른 잠제의 파랑 차단 성능 (Wave Screening Performance of the Submerged Breakwater With Various Crown Widths)

  • 조원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4
    • /
    • pp.206-21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폭이 좁은 1열 및 다열 잠제 대한 파랑 차단 성능을 폭이 넓은 1열 및 2열 잠제의 파랑 차단 성능과 비교$.$연구하였다. 파동장은 선형포텐셜 이론으로 모형화 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수치해석 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1열 잠제에서는 폭이 좁은 잠제가 폭이 넓은 잠제보다 파랑 차단 성능이 다소 떨어지나 어느 정도 효과적인 파랑 차단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폭이 좁은 잠제를 2열 또는 3열로 배치하였을 때에는 폭이 넓은 1열 또는 2열 잠제보다 훨씬 뛰어난 파랑 차단 성능을 보이고 있다.

장백낙엽송(長白落葉松)(Larix olgensis H.) 인공림(人工林)의 유효(有效) 수관형(樹冠形)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ive Crown Form of Changbai Larch (Larix olgensis H.) Plantation in Changbai Mountain)

  • 이봉일;윤종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4호
    • /
    • pp.557-564
    • /
    • 1996
  • 중국(中國) 북동부(北東部)에 소재한 장백산(長白山)지역에서 원형으로 개벌한 8개의 표준지와 1개의 biomass(생물질량(生物質量)) 표준지(標準地) 내에 존재하는 각 개별목(個別木)에 대해 가지를 포함한 수간(樹幹)을 분석한 자료로 수관곡선(樹冠曲線)에 대한 방법을 이용하여 장백낙엽송(長白落葉松)(Larix olgensis H.) 조림지에 있어 유효수관형(有效樹冠形)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유효수관(有效樹冠)의 횡단면형태(橫斷面形態)는 여러 입지(立地)에서 모두 일정하게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수관(有效樹冠)은 임관(林冠)의 상부에 존재해 있고 그 형태는 비경쟁(非競爭) 조건하에서의 수관구조(樹冠構造)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구조는 주로 각 종(種)의 유전적(遺傳的) 특성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특정한 종(種)들의 유효수관형(有效樹冠形)은 비교적 일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임목(林木)의 유효수관형(有效樹冠形)은 같은 임분내의 임목의 크기와 관계가 없고 여러 임분(林分)들의 다양한 임분(林分)의 조건과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백낙엽송(長白落葉松) 인공조림지(人工造林地)의 총(總) 유효(有效) 수관곡선(樹冠曲線)은 평균 유효수관(有效樹冠) 초살도(梢殺度)를 이용하여 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PDF

영주지역 소나무림의 수관연료특성 및 수관연료량 추정 (Crown Fuel Characteristics and Allometric Equations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Youngju Region)

  • 김성용;이병두;서연옥;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66-272
    • /
    • 2011
  • 본 연구는 영주지역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 연료특성을 분석하고, 각 부위별 연료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영주시 장수면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표준지를 선정하였으며, 매목 조사를 실시한 후, 10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였다. 벌채한 소나무는 수간, 잎, 가지 순으로 분류하였고, 가지는 다시 굵기 별로 분류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생엽의 수분함량은 119%, 수관층 수분함량은 105.3%로 나타났다. 전체 연료량에 대한 수관층 연료량 비율은 30%로 나타났으며, 수관화 확산시 이용 가능한 연료량(잎-1 cm 가지) 비율은 50.3%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관층 연료 추정식에 대한 조정결정계수($R^{2}_{adj}$)의 범위는 0.6846-0.9246으로 나타났으며, 수관층 체적 추정식에 대한 조정결정계수($R^{2}_{adj}$)는 0.8308로 나타났다.

금관 가공의치에서의 대구치 지대치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A MORPHOLOGIC STUDY ON MOLAR ABUTMENT DIES)

  • 정헌영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0
    • /
    • 1995
  • Abutment dies which resemble the actual size and shape of crown abutment is essential in most of the research area of fixed prosthodontics like marginal accuracy, crown seating, behavior of luting agent and so on. Seeing the large portion of research is done with round shaped dies in different size and cone angl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rown abutment is self-evident. 500 molar abutments were collected randomly through the commercial dental laboratoy, regrdless of their position in the dental arch, sex, and age. The measurements of 22 points of a die were done, and the results were as fogbows : 1. The height of the molar dies was $3.9{\pm}1.2mm$ 2. The bucco-lingual width was $8.9{\pm}1.2mm$ at the base, and $7.4{\pm}1.2mm$ at the occlusal. 3. The desio-sistal width was $8.2{\pm}1.2mm$ at the base, and $7.0{\pm}1.3mm$ at the occlusal.

  • PDF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에 의한 장미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rown gall disease on rose by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 박광훈;차재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50-53
    • /
    • 2001
  • 최근 우리나라의 여러 작물에서 뿌리혹병(근두암수병(根頭癌睡病), crown gall)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중요한 화훼작물인 장미를 재배하는 시설하우스에서 뿌리혹병의 발생은 매우 심한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병에 대한 방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성공적으로 뿌리혹병의 생물농약으로 개발된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의 장미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검정하여 국내에서 장미 뿌리혹병의 방제에 그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장마의 지상부에 인위적인 상처를 주고 병원균을 접종하기 전에 그리고 접종 후 A. radiobacter K84 균주 현탁액의 살포는 뿌리흑병의 발병률과 혹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켰다. K84 균주를 처리한 장미에서 뿌리혹병의 발병률은 $5.0{\sim}6.7%$로서 병원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구에서의 발병률 85%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K84 균주를 처리한 장미에서 형성된 혹의 크기와 생체중도 병원균만을 접종한 대조구 장미에 형성된 혹의 $4{\sim}5%$로서 K84 균주의 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다. 장미의 뿌리에 인위적인 상처를 주고 병원균의 접종 전 및 후에 K84 현탁액에 침지 처리한 경우에도 혹의 크기, 생체중 그리고 병 발생률이 크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K84 균주 치리에 의한 지상부 혹의 생물적방제가는 $92{\sim}94%$이었고, 뿌리에서의 뿌리혹병 생물적방제가는 $51{\sim}59%$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A. radiobacter K84 균주의 처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장미 뿌리혹병을 방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한국 성인의 하악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와 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RPHOLOGY AND SIZE OF CLINICAL CROWN OF PERMANENT MANDIBULAR MOLAR IN KOREAN ADULT)

  • 오상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2-25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orphology and the size of permanent mandibular molar in Korean Adult. The 100 dental college students with a normal dentition and without any dental prosthesis and severe car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taken impression to make study model. On the study model, the 5 dentists measured those sizes and estimated morphological structures with a calipers, a Boley gauge and a protrac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linical crown height, width, thickness and the other anatomical structures had 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and right mandibular molar. 2. In the clinical crown height aspect, the buccal crown heights always were higher than the lingual crown height. The heights of the each surface, the buccal or lingual surface, were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1st molar to the 2nd molar and the difference on the buccal surface was higher than that on the lingual surface. 3. In the clinical crown width aspect, the mesiodistal measurement of the mandibular 1st mola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ndibular 2st molar. 4. In the clinical crown thickness aspect, the mesial buccolingual measurement was highest on the mandibular 1st molar and the distal buccolingual distance was lowest on the mandibular 2nd molar. This distal thickness of the mandibular molar alway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esial half. 5. The well-developed mesiobuccal groove of the 1st molar was observed more often than that of the 2nd molar. The buccal pit was also observed more frequently at the 1st molar, but the frequency(35%) was not high. 6. The occlusal typ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usp was almost 5-cusp(98%) in the 1st molar and was also 5-cusp(63%) in the 2nd molar. The frequency of the 6th cusp was 31% in the 1st molar and was 22% in the 2nd molar. The frequency of the 7th cusp was below 2of in the both teeth. 7. In the buccolingual intercuspal distance aspect of the mesial and distal half, the intercuspal distance of distal half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esial half on the 1st and 2nd molar, but the difference on the 1st molar was higher than that on the 2nd molar. 8.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dths of the buccal and lingual half was 1.5mm in the 1st molar and 0.8mm in the 2nd molar. Therefore the lingual convergency of the occlusal surface was more higher in the 1st molar. 9. On the mandibular 1st and 2nd molar, the distobuccal external angle was more acute than the mesiobuccal external angle. But the mesiobuccal internal angle was more acute than the distobuccal internal angle. 10. When the mandibular molar was a 5-cusp type, the development of the distal cusp on the 1st molar was better than that on the 2nd mol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sps was around 0.4mm.

  • PDF

Hexanoic acid - crown ether system을 이용한 europium과 yttrium의 용매추출효과의 향상 (The synergistic solvent extraction effect of europium and yttrium using the hexanoic acid -crown ether system)

  • 심대선;한혜림;김세미;김정훈;김영운;정노희;강호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39
    • /
    • 2015
  • 용매추출법에서 희토류 금속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추출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crown ether와 같은 첨가제를 이용하는 연구를 하였다. Host-guest 화합물인 macrocyclic ligand는 금속과 착화물을 형성하는데, 이 때 crown ether의 cavity 크기와 비슷한 크기의 금속 이온들과 안정한 착화물을 형성한다. 이전 연구에서 europium과 yttrium을 분리하기 위해 여러 사슬 길이의 지방산 추출제를 이용한 추출실험을 행하였었다. 이를 토대로 분리효율이 좋지 않았던 hexanoic acid에 크기가 다른 crown ether (18-crown-6 ether, 15-crown-5 ether, 12-crown-4 ether)를 첨가하여 분리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hexanoic acid의 농도별로 분리효율을 본 후 가장 분리 효율이 좋은 농도에서 crown ether를 종류와 농도를 다르게 하여 첨가하였다. 그 결과 0.05 M hexanoic acid에서 분리능이 1.7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rown ether를 첨가하였을 시 분리능이 0.002 M 15-crown-5 ether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며 기존의 분리능보다 2배 이상 더 높았다. 또한 crown ether를 첨가하였을 때 두 금속이 $MLR_3{\cdot}3RH$의 형태로 추출되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Reproductive Maturity Onset and Tree Size in a Garcinia kola (Heckel) Coastal Humid Tropical Climate Plantation

  • Henry Onyebuchi Okonkwo;Olubunmi Ayokunle Koyejo;Joseph Okechukwu Ariwaodo;Nsien Iniobong Brun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73-80
    • /
    • 2023
  • Little is known of the life history of Garcinia kol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assess the fruiting age and tree size of the species in a coastal humid tropical climate plantation condition. A total 103 trees were used in the study viz; 80 ten-year-old trees at reproductive maturity onset and 13 thirty-year-old trees with several cycles of reproduction that constitute two independent variables. Data collected were age of onset of flowering and size at reproductive maturity onset. Relative size at reproductive maturity onset (RSOM) was estimated as size at reproductive maturity onset (SOM) divided by asymptotic maximal size (AM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airwise t-test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productive maturity onset (flowering) was recorded in the ten-year-old stand eight (8) years after planting. Mean size at reproductive maturity onset (SOM) was height 5.32±1.7 m, dbh 0.11±0.03 m, total number of branches was 29.6±7.3, crown depth 5.24±1.05 m, crown diameter was 4.78±0.7 m, branch diameter 0.098±0.01 m, leaf length 0.13±0.02 m, leaf breadth 0.37±0.01 m, twig length 0.35±0.11 m and leaf per twig 6±0.84 and asymptotic maximal size (AMS) was height 19.85±0.76 m, dbh 0.95±0.09 m, total number of branches 62±5, crown depth 18.83±0.7 m, crown diameter 12.5±1.64 m, branch diameter 0.5±1.6 m, leaf length 0.16±0.023 m, leaf breadth 0.45±0.12 m, twig length 0.37±0.11 m and leaf per twig 19±7.5. Pairwise t-test analysis show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M and AMS in all growth factors except leaf length, leaf breadth, and twig length. Highest relative size at reproductive maturity onset (RSOM) was recorded in leaf length 0.82, twig length 0.82, and leaf breadth 0.80, while, the lowest was branch diameter 0.11. Four components out of the total of eleven were extrac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in RSOM: Principal component one (PC1) explained 37.23%; PC2 26.4%, PC3 22.73%, and PC4 13.64%.

한국 유치 모델에서 유전치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f Primary Anterior Zirconia Crowns in Korean Tooth Models)

  • 박정하;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1-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와 기성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형태 및 크기를 3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가장 유사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선별하고 수복시 임상적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0명의 어린이의 건전한 상태의 상악 유중절치, 유측절치를 3차원 스캔하여 평균 형태를 재현하였고, 4개의 제조사(NuSmile $ZR^{(R)}$ Crown, Cheng $Crowns^{(R)}$, Kinder $Krowns^{(R)}$, EZ $Pedo^{(R)}$ Crown)의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3차원 스캔하여 형태 및 크기 비교를 위한 좌표점을 측정하여 치아와 크라운 형태의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근원심 길이, 절단연에서 치경부까지의 길이, 치관 형태 비율, 같은 좌표에서 치아와 크라운의 거리, 순면의 곡률반경, 그리고 체적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유사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상악 유중절치는 Cheng $Crowns^{(R)}$ 3번, 유측절치는 NuSmile $ZR^{(R)}$ Crown 2번이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졌으며, 이 크라운의 내면을 스캔하여 크라운 수복시 필요한 치아 삭제량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되어 있는 양보다 전반적으로 더 적은 치아 삭제를 시행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10만톤급 크루즈선과 컨테이너선의 적정 마루높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 Crown Height of GT 100,000Ton Cruise ship and DWT 100,000Ton Container ship)

  • 김승연;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7-162
    • /
    • 2018
  • 지속적인 선박 대형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항만 내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부두의 마루높이 기준은 상향되는 것이 미래지향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대형화로 인해 풍압면적이 커지므로 마루높이 상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크루즈선과 컨테이너선을 선정하고, 마루높이 상승에 따른 대상부두를 모델링하여 계류 및 동요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GT 10만톤급 크루즈선은 풍향이 접안현 선수방향 $45^{\circ}$일 때 풍속 30 kts, $H_1$조건에서 계류삭 허용파단력이 초과하였다. 또한 부두와 계류삭의 앙각은 마루높이 $H_2$에서 권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최저 마루높이 기준을 $H_3$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DWT 10만톤급 컨테이너선은 풍향이 접안현 정횡일 때 마루높이 $H_1$에서 Sway 운동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최저 마루높이 기준을 $H_2$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선박 특성을 반영한 부두 마루높이 기준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