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 growth experiment

검색결과 1,205건 처리시간 0.028초

재식밀도와 얼자제거가 단 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Tiller Removal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Hybrids)

  • 박근용;강영길;박승의;문현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2-197
    • /
    • 1989
  • 재식밀도를 달리할 때 얼자제거가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단옥 1호와 Golden Cross Bantam 70(GCB 70)을 10a 당 4167, 5557,6667,8333, 11111 개체 재식하여 얼자의 초장이 15cm 이내일 때 얼자를 제거하는 구와 제거하지 않은 구의 생육 수량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교잡종 모두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개체당 얼자수는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2. 간장, 수장, 수경, 개체당 및 10a 당 이삭수는 교잡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단옥 1호는 10a 당 8333본 이하 재식구에서 약 20% 근도복이 되었으나 GCB 70은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도복이 전혀 되지 않았다. 엽년적지수 및 간엽수량은 단옥 1호가 GCB 70보다 컸었다. 3. 근도복과 엽면적지수를 제외하고는 교잡종과 재식밀도간 교호작용이 없었다. 4.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간장, 엽면적지수 및 간엽수량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엽면적지수의 증가는 GCB 70보다 단옥 1호에서 컸었다. 5. 재식밀도와 10a 당 이삭수 및 이삭수량과는 이차곡선적인 증가 관계가 있었으며 이상수량, 10a 당 이삭수, 이삭크기 등을 고려한 적정재식밀도는 10a 당 6500 본 정도로 판단되었다. 6. 착수고와 엽면적지수를 제거하고는 교잡종과 얼자제거, 재식밀도와 얼자제거간에 유의한 교호작용이 없었으며 교잡종, 재식밀도, 얼자제거간에는 어떠한 형질에도 유의한 교호작용이 없었다. 7. 얼자제거에 의하여 간장, 이삭수량 및 간엽수량이 각각 3, 10, 16% 감소되었으나 출사기, 근도복, 수장, 수중, 본당 및 10a당 이삭수 등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8. 따라서 얼자제거를 하거나 제거를 하지 않거나 간에 적정재식밀도는 10a 당 6500 본 정도로 생각되며 교잡종,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얼자를 제거하지 않은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파종기 이동에 따른 참깨 품종들의 유용형질 변화 및 품종간 차이 (Effects of Planting D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Varietal Differences in Sesame Varieties)

  • 이정일;이승택;엄기철;박찬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8-275
    • /
    • 1982
  • 참깨육종과 재배기술 개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조기파종, 보통기파종, 맥후작시기인 만기파종에서 참깨 국내외 주요품종 82품종을 공시, 참깨 유용형질들의 변이와 품종간 차를 조사하여 유용 유전자원을 분류 확보함과 동시에 참깨 작형과 지대에 적응한 유용형질들의 재조합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고저 본 시험이 시도되었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참깨 영양생장의 지표형질인 경태와 초장은 저온의 조기파종기에서 가장 컸으며 고온만파에서 가장 적어서 만파할수록 영양생장이 빈약하였다. 따라서 발아에 지장이 없다면 현재의 단작재배파종기보다 조파하는 것이 유리하다. 2. 파종기에 따른 주당삭수와 삭당입수의 변화에서는 조기파종(4월 20일파)에서 평균 88삭의 착삭과 삭당 평균 54입의 입수를 가진데 대해 만기파종(6월 15일파)에서는 불과 주당 25삭과 삭당 40입만이 확보되어 만파가 크게 뒤지고 있었다. 3. 등숙율과 1,000입중에 있어서는 저온장일인 4월 20일 파종의 조파가 평균 78%의 등숙율과 2.3gr의 1,000입중을 보이는데 대해 고온기인 6월 15일 파종에서는 58%의 등숙과 2.1gr의 1,000입중을 보여 만파할수록 등숙이 불량하였다. 4. $1m^2당$ 종실수량에서는 저온장일인 4월 20일 파종이 평균 112gr인데 대해 5월 15일 파종은 78gr이며 만파인 6월 15일 파종은 불과 18gr밖에 되지 않아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은 급격히 떨어졌다. 5. 참깨 재배시기 이동에 따른 참깨품종들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의 차이와 수량반응으로부터 조파적응형, 보통기적응형, 만파적응형, 중간형의 4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일조시수와 적산온도 및 주요형질과의 상관에서는 일조시수와 온도가 대부분의 수량형질들과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참깨수량은 일조와 온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됐다. 7. 참깨 품종중에는 주당삭수 150개이상인 구례와 재래종 12003가 조사되었으며 삭당입수 75입이상인 해남, 우강품종, 등숙비율에서도 90%이상인 품종 수원 8호, 청송등이 있었다. 8. 참깨는 품종에 따라 만파적응력이 다르므로 맥후작재배용 품종육성은 반드시 맥후작 재배조건에 맞추어 별도의 육종계획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남부평야지 벼 무논 골뿌림 재배시 파종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Tim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Puddled Drill Seeding at Southern Plain Area)

  • 김상수;백남현;석순종;이선용;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2-220
    • /
    • 1995
  • 남부평야지에서 무논 골뿌림 재배시 파종기에 따른 입모장태,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여 품종별 파종적기 및 만파한계기를 구명하고자 조생종인 신운봉벼, 중생종인 화성벼, 중만생종인 동진벼를 4월 25일부터 6월 25일까지 15일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기(4월25일) 파종에서는 파종후 출아기간이 저온으로 경과하여 출아기간이 길고 입모수가 적었으며, 품종별에는 동진벼>신운봉벼>화성벼의 순으로 입모수가 많았다. 2. 출수기로 본 만파한계기는 신운봉벼 6월10일, 화성벼 5월 31일, 동진벼 5월 25일이었으며 현미 1,000립종과 등숙비율은 5월10일 파종 또는 5월 25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고 신운봉벼는 6월 25일 파종에서, 화성벼와 동진벼는 6월10일이후 파종에서 등숙비율과 현미 1,000립종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3. 등숙비율로 본 출수후 40일간의 등숙적온은 22.6$^{\circ}C$이었고, 현미 1,000립종으로 본 등숙적온은 22.$0^{\circ}C$로서 이를 평년기상으로 볼 때 이리지방에서 일반계품종의 출수적기는 8월 23일경이었다. 4. 생육 및 수량으로 본 파종적기는 동진벼 5월 9일, 화성벼 5월,13일, 신운봉벼 5월 15일이었다. 따라서 입모장태, 출수기 및 수량으로 본 남부평야지에서의 파종조한은 5월1일이며 파종적기는 5월 상반순이고 만파한계기는 이생종 6월 5일, 중생종 5월 31일, 중만생종 5월 25일로 사료된다.

  • PDF

Enhanced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by Biosurfactant-Producing Pseudomonas

  • Ozyilmaz, Umit;Benlioglu, Kema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418-426
    • /
    • 2013
  • Pseudomonas isolates from different crop plants were screened for in vitro growth inhibition of Phytophthora capsici and production of biosurfactant. Two in viv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elected Pseudomonas strain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by comparing two fungicide treatments [acibenzolar-S-methyl (ASM) and ASM + mefenoxam]. Bacterial isolates were applied by soil drenching ($1{\times}10^9$ cells/ml), ASM ($0.1{\mu}g$ a.i./ml) and ASM + mefenoxam (0.2 mg product/ml) were applied by foliar spraying, and P. capsici inoculum was incorporated into the pot soil three days after treat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four Pseudomonas strains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from 48.4 to 61.3% in Phytophthora blight severity. In the second experiment, bacterial treatments combining with olive oil (5 mL per plant) significantly enhanced biological control activity, resulting in a reduction of disease level ranging from 56.8 to 81.1%. ASM + mefenoxam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while ASM alone was less effective in both bioass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ur Pseudomonas fluorescens strains (6L10, 6ba6 and 3ss9) that have biosurfactant-producing abilities are effective against P. capsici on pepper, and enhanced disease suppression could be achieved when they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olive oil.

Use of Dactylaria brochopaga, a Predacious Fungus, for Managing Root-Knot Disease of Wheat (Triticum aestivum) Caused by Meloidogyne graminicola

  • Kumar, Niranjan;Singh, K.P.
    • Myc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13-117
    • /
    • 2011
  •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induction of constricting rings and test predation of Dactylaria brochopaga isolates against second stage juveniles (J2s) of Meloidogyne graminicola. Among the five fungal isolates, isolate D showed the greatest number of predatory rings and, consequently, trapped the maximum number of M. graminicola J2s in dual cultures. Another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D. brochopaga (isolate D) on the management of wheat root-knot disease. Applying a mass culture (10 g/pot) and a spore suspension of the fungus with and without cow dung manure to soil infested with 2,000 M. graminicola juveniles significantly improved plant height, root length, weights of shoots, roots, panicles and grains per hill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Moreover, the fungus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root-knots, the number of egg masses, juveniles, and females per hill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Bio-efficacy of the fungus was heightened when the mass culture and a spore suspensions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cow dung manure to improve the plant growth parameters and reduce the number of root-knot and reproductive factors. Further investigations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is fungus in the field.

수도 냉해에 관련된 생리적 특성 고찰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Cold Injury in Rice)

  • 석순종;허일봉;임정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29-444
    • /
    • 1991
  • 수도품종의 내냉성 관련인자로서, 생체막 구성물질로서 중요한 역활을하는 phospholipid의 지방산조성과 지방산 불포화비율, 생체의 가장 중요한 대사과정의 하나인 호흡에 관련된 특성인 mitochondria의 호흡활성, 광합성된 엽록소 형광강도 등 여러가지 생리적 인자들과 내냉성과의 관계를 검토하고 내냉성 품종선발과 냉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관련자료를 종합정리하였다. 1. 지방산의 불포화비율은 저온처리를 함으로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내냉성정도와 비교하여 볼 때 내냉성이 강한 품종에서 불포화비율이 높고 약한 품종에서 낮아 내냉성 정도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2. 경화처리에 의하여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palmitic acid는 감소하고 linolenic acid의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지방산 불포화비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19~24% 증가되어 내냉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생각되었다. 3. 수도 백화묘($25^{\circ}C$ 암상태 2주간 생육) 및 야외에서 생육시킨 유묘에서 분리한 mitochondria의 호흡활성 전이온도와 내냉성 정도와의 관계를 보면 내냉성이 강한 품종에서 전이온도가 낮았고, 약한 품종에서는 높은 경향이었다. 4. 생육시기별 mitochondria의 호흡활성 전이온도는 상풍벼 11.5~12.5$^{\circ}C$, 풍산벼 15.0~l6.$0^{\circ}C$, 샛별벼 17.0~l8.$0^{\circ}C$로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내냉성 강, 중, 약 정도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5. 엽록소 형광강도와 내냉성 정도와의 관계는 내냉성이 강한 품종에서 형광강도가 높고 약한 품종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높은 산관관계를 보였다. 6. Mn을 엽면시용하므로서 호흡활성 전이온도를 0~2$^{\circ}C$ 낮추었으며 토양처리를 하였을 때 내냉성이 약한 품종에서 효과가 켰다 7 내냉성 정도와 인지질 지방산불포화도, 호흡활성 전이온도 및 엽록소 형광과의 관계에서 대체적으로 이들 세 인자와는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 그중에는 독특한 반응을 보인 품종들도 있었으며, 호흡활성 전이온도는 지방용 불포화비율과는 부의 관계를, 엽록소형광과 지방산 불포화비율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저장 감귤의 부패에 관여하는 Penicillium spp.에 대한 Iminoctadine tris(albesilate)와 Kresoxym-methyl의 방제 효과 (Protective Effect of Iminoctadine tris(albesilate) and Kresoxim-methyl Fungicides to Citrus Postharvest Diseases caused by Penicillium spp.)

  • 현재욱;이성찬;임양빈;김동환;고상욱;김광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7-44
    • /
    • 2001
  • 본 연구는 감귤을 부패시키는 Penicillium spp.에 대한 kresoxim-methyl 과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 italicum과 P. digitatum의 균사생장에 대한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EC_{50}$값은 각각 0.01-0.02와 $0.01{\mu}g$ a.i./mL이었지만, 아직 미동정인 새로운 유형의 Penicillium spp.균은 iminoctadine tris(albesilate)가 $0.64{\mu}g$ a.i./mL들어 있는 PDA배지에서도 거의 균사생장이 억제되지 않았다. 또한 P. italicum과 P. digitatum의 발아와 발아관의 생장에 대한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EC_{50}$값은 $0.0013-0.0025{\mu}g$ a.i./mL이었지만 새로운 유형치 Penicillium spp.는 $0.2{\mu}g$ a.i./mL 농도에서도 포자 발아가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 P. italicum과 P. digitatum 그리고 미동정 Penicillium spp.의 균사생장에 대한 kresoxim-methyl의 $EC_{50}$은 각각 0.08-0.16, 0.04 그리고 $0.16{\mu}g$ a.i./mL이었으며 P. italicum과 새로운 유형의 Penicillium spp.의 포자 발아 및 발아관 생장에 대한 $EC_{50}$$0.04{\sim}0.08{\mu}g$ a.i./mL이며 P. digitatum에 대해서는 $0.01{\sim}0.02{\mu}g$ a.i./mL였다. Kresoxim-methyl과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저장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약제를 각각 $155{\mu}g$ a.i./mL과 $200{\mu}g$ a.i./mL의 농노로 수상살포하고 7일 후 수확하여 90일간 저장한 결과 무처리구와 thiophanate-methyl $700{\mu}g$ a.i./mL을 처리한 대조구에서의 부패율은 각각 $20.3{\pm}10.0%\;and\;19.5{\pm}9.6%$으로 높은데 반하여 tresoxim-methyl과 imonoctadine tris(albesilate) 처리구에서의 부패율은 각각 $3.6{\pm}1.8%$$5.9{\pm}1.8%$로써 방제효과가 높았다. 이들 처리로부터 저장 후 0, 30, 60, 90일에 각각 iminoctadine tris(albesilate)와 kresoxim-methyl의 잔류량을 조사해본 결과 각 조사 기간 중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최대잔류량은 0.10 ppm이었고 kresoxlm-methyl의 최대 잔류량은 0.45 ppm이었다.

  • PDF

Effect of co-inoculation of Brevibacterium iodinum RS16 and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on the early growth of crop plants in Saemangeum reclaimed soil

  • Kim, Kiyoon;Kwak, Chaemin;Lee, Youngwook;Sa, Tongm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ingle and co-inocul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PGPB) on early plant growth in Saemangeum reclaimed soil. Plant growth promoting Brevibacterium iodinum RS16 and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were inoculated on maize (Zea mays L.)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grown in Saemangeum reclaimed soil. Single and co-inoculation of B. iodinum RS16 and M. oryzae CBMB20 increased plant height, dry biomass accumulation and macro-nutrient accumulation of maize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M. oryzae CBMB20 treatment increased plant height in maize by 41.2% at 30 days after sowing (DAS), shoot dry weight and total dry weigh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Macro-nutrient accumulation (N and P) in maize roo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o-inoculation treatment, K and Ca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B. iodinum RS16 treatmen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Macro-nutrient accumulation (P, K, Ca and Mg) in shoot was higher with M. oryzae CBMB20 treatmen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In cas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co-inoculation treatment showed 33.7% increase in plant heigh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at 30 DAS. M. oryzae CBMB20 treatment increased root dry weight and total dry weight, macro-nutrient accumulation in roots and N, Ca and Mg accumulation in shoo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P and K accumulation in shoo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co-inoculation treatmen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This pot culture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single and co-inoculation of B. iodinum RS16 and M. oryzae CBMB20 increased the early growth and nutrient accumulation of maize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Salinity and sodicity disturbs growth of medicinal crop Guar (Cyanoposisa tetragonoloba)

  • Ullah, Muhammad Arshad;Rasheed, Muhammad;Mahmood, Imdad Ali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7-11
    • /
    • 2018
  • Salinity is one of the major and increasing problems in irrigated agriculture in Pakistan. Salinity stress negatively affects the growth and yield of plants guar (Cyanoposisa tetragonolob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4dSm^{-1}+13.5(mmol\;L^{-1})^{1/2}$, $5dSm^{-1}+25(mmol \;L^{-1})^{1/2}$, $5dSm^{-1}+30(mmol\;L^{-1})^{1/2}$, $10dSm^{-1}+25(mmol\;L^{-1})^{1/2}$ and $10dSm^{-1}+30(mmol \;L^{-1})^{1/2}$) on biomass yield of guar against salinity tolerance. Maximum biomass yield ($54.50gpot^{-1}$) was produced by $4dSm^{-1}+13.5(mmol\;L^{-1})^{1/2}$ treatment. Biomass produce was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the salts toxicity. Minimum biomass yield ($30.17gpot^{-1}$) was attained under $10dSm^{-1}+30(mmol \;L^{-1})^{1/2}$. $5dSm^{-1}+25(mmol\;L^{-1})^{1/2}$ treatment exhibited improved outcome i.e. the least diminution % over control (18.66). Salinity cum sodicity showed staid effect on the growth reduction from 18.66% to 44.64%. This reduction fissure was impacted by the toxic effect of salinity and sodicity on Guar growth. Salinity- sodicity behaved toxic impact on the growth reduction from 18.66% to 44.64%. Based on the findings, guar (Cyanoposisa tetragonoloba) grows better at $4dSm^{-1}+13.5(mmol \;L^{-1})^{1/2}$ treatment.

경기북부지역 정밀 수치기후도 제작 및 활용 - II. 콩 생육모형 결합에 의한 재배적지 탐색 (Development and Use of Digital Climate Models in Northern Gyunggi Province - II. Site-specif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oybean Cultivars by DCM-based Growth Simulation)

  • 김성기;박중수;이영수;서희철;김광수;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69
    • /
    • 2004
  • A long-term growth simulation was performed at 99 land units in Yeoncheon county to test the potential adaptability of each land unit for growing soybean cultivars. The land units for soybean cultivation(CZU), each represented by a geographically referenced land patch, were selected based on land use, soil characteristics, and minimum arable land area. Monthly climatic normals for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number of rain days and solar radiation were extracted for each CZU from digital climate models(DCM). The DCM grid cells falling within a same CZU were aggregated to make spatially explicit climatic normals relevant to the CZU. A daily weather dataset for 30 years was randomly generated from the monthly climatic normals of each CZU. Growth and development parameters of CROPGRO-soybean model suitable for 2 domestic soybean cultivars were derived from long-term field observations. Three foreign cultivars with well established parameters were also added to this study, representing maturity groups 3, 4, and 5. Each treatment was simulated with the randomly generated 30 years' daily weather data(from plant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for 99 land units in Yeoncheon to simulate the growth and yield responses to the inter-annual climate variation. The same model was run with input data from the Crop Experiment Station in Suwon to obtain a 30 year normal performance of each cultivar, which was used as a "reference" for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yield and maturity, and us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each land unit for growing a specific cultivar. A computer program(MAPSOY) was written to help utilize the results in a decision-making procedure for agrotechnology transfer. trans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