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글로벌 위기에서 산업 클러스터의 품질이 생산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dustrial Clusters' Quality on the Production Resilience in the Global Crisis)

  • 조영주;이창근;유준영;김소영;박희준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87-301
    • /
    • 2024
  • Purpose: This paper aim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production resilience between local clusters and regions without clusters before and after a major crisis.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lusters' quality factors that impact clusters' shock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Methods: Utilizing open-source data from the US Cluster Mapping platform, this paper compares regions with industrial clusters to those without using the Differences-in-Differences (DID) estimator. It considers the regions with industrial clusters as a treatment group and others as the control group, compa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dditionally, the paper examines which cluster factors make a difference in economic resilience during the crisis using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RDD). Results: The study finds that regions with industrial clusters show higher production resilience compared to regions without clusters. Moreover, the number of establishments, annual payrolls, and employmen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resilience during the pandemic shock. Conclusion: Though clusters could be vulnerable during the global crisis, industrial clusters can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production resilience in the long-term aspect. Thus, it is required to construct a high-quality local cluster and support it during the economic crisis in the long-term aspect.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Policy Diagnoses and Prescriptions of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 정성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7-245
    • /
    • 2019
  • 이 논문은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 조건: 유럽과 한국의 경험'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특집호에 실린 논문들을 소개하고,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에 대하여 진단과 처방에 관한 정책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논의에서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진단들은 산업, 고용, 기업, 소비, 투자, 부동산, 노동시장 등 양적인 척도들과 외부 환경, 기능적, 구조적, 공간적 특징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인 척도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처방들은 관련 법 제정, 금융 지원, 일자리 창출, 산업구조 다각화, 도시기반 강화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향후 한국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접근은 산업과 다양한 분야(사회, 교육, 정치, 복지 등) 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부처 내, 부처 간 협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통합적 추진체계가 필요하다.

Regional Resilience of Industrial Ecosystem in Financial Crisis: Comparison between Toyota-Kariya Automotive Subcontractor Cities and Hamamatsu Start-Up City

  • Fujiwara, Taka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7권1호
    • /
    • pp.9-29
    • /
    • 2018
  • Japan's manufacturing is mostly dependent on the automotive industry in Toyota-Kariya cities. However, the nearby city of Hamamatsu is the home of a start-up ecosystem known as Japan's Silicon Valley. How is it possible to evaluate the innovative potential of each regional industry? What kind of guidelines exist for continuing R&D investment when companies' net incomes are negative in the face of the 'Valley-of-Death' or financial crisis? Is it possible to measure the regional resilience ability in the context of the financial crisis? Entrepreneurial innovation is defined as a real-option portfolio consisting of investment decision to commercialize R&D findings. The subcontractor system implies a vertical and tight industrial group. However, a start-up ecosystem means a platform for horizontal and flexible partnership. In this research, the data include the financial indices of each of 18 public companies in both regions between FY2009 and FY2017.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all option or resilience function of equity for R&D investment in the context of the financial crisis in both regions by using Bayesian MCMC analysis.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in Europe)

  • 이종호;장후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6-257
    • /
    • 2019
  • 최근 몇 년 사이에 산업위기지역 문제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어,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고용위기지역 등의 형태로 지원정책이 수립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탈공업화, 주력산업의 쇠퇴, 산업구조조정 등으로 말미암아 산업 및 고용의 위기에 직면한 지역들을 대상으로 한 지역산업정책의 추진 경험이 풍부한 유럽 선진국가들의 사례를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럽 선진국가들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지원정책의 패러다임과 초점은 시기별, 국가별로 상이하게 전개되어 왔고, 특히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지역정책의 주요한 이슈로 재조명되고 있다.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정책은 신내생적 발전 모델에 기초하여, 정책의 초점을 지역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두고, 전통적인 지역발전정책, 산업정책, 고용정책을 결합한 정책조합을 통해 다면적이고 종합적인 지역정책의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기존의 산업위기지역 정책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Mitigating the Shocks: Exploring the Role of Economic Structure in the Regional Employment Resilience

  • Kiseok Song;Ilwon Se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3호
    • /
    • pp.323-344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ili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by assessing the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Utilizing panel data at the prefecture level for metropolitan cities across pre-shock (2006-2008), shock (2009), and post-shock (2010-2019) periods, we calculated an employment resilience index by combining the resistance and recovery indices. The panel logit regression measures the influences of the region's industrial structure and external economic factors in respons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versity index of industries contributed to the post-shock recovery bounce-back.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large firms and industrial clusters within the region positively contributed to economic resilience. The specialization and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showed negative effects, suggesting that regions overly reliant on manufacturing-centered specialization might be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Furthermore, excessive capital outflows for market expansion were found to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regional economic recovery.

조선업 특화 도시의 산업 경로 변화: 2010년대 이후 조선업 불황을 중심으로 (Industrial Path Changes in Shipbuilding Cities: Focusing on the Declin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Since 2010s)

  • 고병옥;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9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도시 쇠퇴의 대표적 업종 중 하나인 조선업 특화 도시들의 산업구조 변화 및 유형을 분석하고 지역별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018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된 도시의 대부분이 조선업에 특화되어 있는데, 이것은 2010년대 이후 호황에서 불황으로 전환되는 경기변동이 주된 요인이지만 도시마다 산업위기에 대응하는 방식은 상이하였다. 조선업 특화 도시 7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선업의 경기변동은 산업경쟁력이 높은 대기업 조선소가 입지한 지역들이 상대적으로 덜 쇠퇴하였고, 호황기에는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불황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산업위기에 대한 저항력과 회복력으로 조선업 특화 도시의 산업 경로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지역별 산업구조 및 경쟁력을 고려하여 조선업의 유지와 쇠퇴, 새로운 대안 산업의 육성 등 맞춤형 지원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독일 루르지역의 주(州)정원박람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Focused on the case of Ruhrgebiet, Germany-)

  • 박종기
    • KIEAE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75-86
    • /
    • 2013
  •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econom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 namely Post-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80's, old industrial cities in western europe faced a severe urban crisis such as high unemployment rates, demographic decline, urban slums, lack of infrastructures and economic shocks. In order to overcome their urban decline, They had to attempt to find a creative re-modelled and re-imaged Urban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future. Thus Urban Regeneration has been a serious issue of debate in europe. First of all,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have played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Post-Industrial cities and regions sinc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rganized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by analyzing successful overseas case "Landesgartenschau in Ruhrgebiet, Germany, where has been changed from an old industrial city to a Culture-Service- based City significantly over last several years. It's inner-city old industrial areas with amount of derelict under-used industrial Heritages have been remodelled and reimaged to a creative and attractive public spaces involving Arts and cultural activity by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namely, "Landesgartenschau".

지역별 제조업 고용변화에 대한 자동화와 세계화의 영향 (Estimating the Impact of Automation and Globalization on Manufacturing Employment using Regional Labor Market Analysis)

  • 조성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4-290
    • /
    • 2019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시군구별 제조업 고용변화에 대한 자동화와 세계화의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후발산업국가로의 수입침투에 취약하게 노출된 업종구조를 가진 지역일수록 제조업 고용이 빠르게 감소하였다. 또 단순반복적인 루틴직무에 특화된 지역일수록 제조업 고용의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었는데, 이 같은 루틴직무의 소멸은 지역산업의 로봇규모가 증가할수록 더욱 가파르게 진행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고용이 빠르게 증가했음에도, 국지적으로는 산업도시들의 고용위기가 심화되었던 국내 제조업 고용의 추이를 이해하는 데 실증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동시에, 세계화와 자동화의 맥락에서 향후 우리나라 산업도시들의 대응방향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담고 있다.

창조경제정책논의와 지역발전 (Promoting Policy for Creative Economy and Regional Development in Korea)

  • 남기범;송정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32-645
    • /
    • 2014
  • 이 글에서는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정책의 문제점과 지역발전에의 함의점을 고찰했다. 정부의 과학기술 기반의 창조산업정책은, 창조경제에서 ICT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창업을 촉진하고 ICT 기반의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협력적 선순환 지식 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IT산업이 취약한 지역의 생태계에서의 배제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며, 나아가 지역격차의 확대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창조경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창도도시 논의는 저성장시대로 접어들면서 창조산업의 선도적 역할이 축소되었으며, 나아가, 도시규모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동해, 경제성장에 따른 급속한 공간적, 사회적 불균형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도시공간체계 개선의 대안이 되기는 어렵다. 셋째, 기존의 테크노파크(TP), 기술혁신센터(TIC), 지역연구센터(RRC) 등의 모형을 답습한 창조경제혁신센터 모형은 기술 고착화의 위험성과 지역의 발전이 지체되고 현재의 상태에 안주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연관 다양성'의 부족으로 인한 근본 문제도 있다. 창조경제의 원래의 의미를 회복하고, 창조경제의 구축이 아니라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며, 지역의 발전을 위해 대기업에 의존하는 벤처창업중심이 아니라, 대학-기업-기방정부가 협력하여 학연 산 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인력자원, 교육 훈련기능이 기업으로 상시적으로 교호하고 지식이 수직, 수평적으로 교환되는 제도가 지역에 정착됨으로서, 혁신네트워크가 누적인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학습지역으로 발전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 PDF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 유통방안에 관한 소고 - 전통시장 상품권을 중심으로 - (Reflections on the Distribution of Gift Certificates for Stimulation of Traditional Markets - With a focus on gift certificates in traditional markets -)

  • 김유오;지해명;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4호
    • /
    • pp.37-45
    • /
    • 2009
  •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발생한 국내 경기침체에 따른 범정부적 민생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일자리를 통해 취약 계층의 생계를 지원하고 어려운 지역상권의 소득을 증대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정부 정책 중에 하나인 상품권 발행(온누리, 희망근로, 지역상품권)이 보다 효율적이고도 적절한 정책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특히, 지역상권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전통시장을 포함한 중소유통업자들에 대한 단기 처방전이 아닌 지역상권의 경쟁력 제고의 방안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내 중소유통업을 영위하는 중소상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활성화 제고방안을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