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thinking

검색결과 978건 처리시간 0.024초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Project Performance)

  • 이설빈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1호
    • /
    • pp.87-99
    • /
    • 2017
  •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을 수집하여 실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직접적으로는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지만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통해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반면 프로젝트의 인지된 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이 과정에 있어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로서의 전문지식, 사고기술, 동기부여가 높다고 하더라도 당해 개인적 관점에서의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 PDF

계산적 사고 향상을 위한 창의적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Creative Programming Learning with Scratch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 이은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13
  • 최근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계산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를 활용한 창의적 프로그래밍 학습을 설계하고 해당 학습 활동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창의성 잠재력 및 계산적 사고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창의성 잠재력은 유의하게 증진되었으며, 계산적 사고 능력의 토대가 되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습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성 잠재력의 하위 요인 중 창의적 성격 및 아이디어 생성 행동 요인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계산적 사고의 경우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인 순차, 반복, 조건, 이벤트 처리 및 연산자에 대한 개념 이해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컴퓨터 지원 발상시스템의 사용성 비교 -CGTS(Creative Group Thinking System) UI를 중심으로- (Making a comparison study on Usability of the Computer Aided Idea Generation System -Focused on the User Interface of the Creative Group thinking System(CGTS)-)

  • 정승호;한경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7-62
    • /
    • 2003
  • 디자인 프로세스의 초기단계에서 컨셉 디자인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이 요구되는 단계로 제품의 성공과 실패여부를 조기에 판가름 할 정도로 중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 개발된 웹 기반 창의적 발상 시스템(Creative Group Thinking System:이하 CGTS)은 이와 같은 컨셉디자인 단계에서 아이디어 발상을 지원하기위해 개발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HCI(Human Computer Interface)와 UI(User Interface)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하나의 웹 기반 발상시스템(CGTS)의 UserInterface(이하 UI)를 개선하여 사용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둔다.

  • PDF

공학분야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융합 변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edi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Engineering)

  • 박성미;양황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63-972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variables(collaboration, convergence motive, convergence thinking) on the creativity problem solving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522 students among engineering colleges in Pusan and Ulsan were sampl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by AMOS 18.0 was applied.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hypothesized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The hypothesized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On the basis of the hypothesized model, collaboration effected to directly convergence motiv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nvergence motive effected to directly convergence thinking, convergence motive effected to directly creative problem solving, convergence thinking effected to directl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on effected to indirectly convergence thinking by convergence moti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ollaboration, convergence motive and convergence thinking are significantly variables to facilitat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knowledge fusion in engineering.

STEAM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창의적 설계 과정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reative Desig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TEAM Class)

  • 전정희;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2호
    • /
    • pp.93-10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 of the creative design processes that appear at the creative design stage of the design thinking based on STEAM class and what factors affect the creative design process. Students who serv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developed the design thinking based on STEAM program to look more specific the creative design process. The project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sheets of paper material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design thinking based on STEAM classes is not anticipatory and is cyclical and complex. So, teachers should provide sufficient time for students to create and simulate ideas and accept the solving problems through trial and error. Second, Having presented the STEAM class as a practical problem in the real world, there was less fear of students' failure and heightened motivation and enthusiasm. Providing with the real topic and open questions in classrooms can lead to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Third, In the design thinking based on STEAM class, students develop concrete ideas through visualization courses. The group of students made the best solutions through communication.

Facilita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s a teaching tool in fashion marketing classrooms

  • Oh, Keunyoung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1호
    • /
    • pp.72-80
    • /
    • 2019
  • A teaching manual was developed to incorporat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nto a fashion marking course. Students' creativity,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analytical thinking are promoted by apply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systematically to solve authentic business problems experienced by local apparel business owners. This teaching manual is based on the FourSight Model that consists of Clarify, Ideate,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ools promoting divergent thinking are also utilized in the process. A local fashion business is invited as a problem owner and four resource groups are formed with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irton Adaption Innovation Inventory. Each resource group consists of 6-8 student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s implemented into a classroom setting as four 75-minutes sessions that are held twice a week for two consecutive weeks. The local fashion business owner will be in presence during the first (Clarify) and last (Implement) sessions. The instructor facilitator meets with the problem owner outside the classroom three times including pre-session client interview, after the second (Ideate) session, and before the third (Develop) session. This modified CPS manual for fashion marketing and merchandising courses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to work with local fashion businesses while providing students with learning opportunitie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Brain Areas Subserving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A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 Hahm, Jarang;Kim, Kwang Ki;Park, Sun-Hyung;Lee, Hyo-Mi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8-53
    • /
    • 2017
  • Background and Purpos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is a well-known and commonly used measure of creativity. However, the TTCT-induced creative hemodynamic brain activity is rarely revea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neural correlates of creative thinking in the setting of a modified version of the figural TTCT adapted for a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experiment. Methods We designed a blocked fMRI experiment. Twenty-five participants (11 males, 14 females, mean age $19.9{\pm}1.8$) were asked to complete the partially presented line drawing of the figural TTCT (creative drawing imagery; creative). As a control condition, subjects were asked to keep tracking the line on the screen (line tracking; control).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creative condition revealed greater activation in the distributed and bilateral brain regions including the left anterior cingulate, bilateral frontal, parietal, temporal and occipital regions as shown in the previous creativity studies. Conclusions The present revealed the neural basis underlying the figural TTCT using fMRI, providing an evidence of brain areas encompassing the figural TTCT.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a creativity test for dementia patients, the neural correlates of TTCT elucidated by this study may be valuable to evaluate the brain function of patients in the clinical field.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 탐색 (Exploring the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 김민주;임채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3-49
    • /
    • 2022
  • 본 연구는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정량적 자료와 정성적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105명의 학생이 창의 과정과 산물을 나타내는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에 응답한 내용과 그중 과학 창의성이 가장 높았던 4명을 대상으로 주로 어떤 과정으로 창의 산물을 냈는지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해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고 면담 자료와 함께 유형화의 참고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절대적합지수와 증분적합지수 측면에서 적합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지식, 탐구기능 중 관찰, 창의적 사고기능의 창의 과정 중 창의적 사고기능만이 창의 산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의적 사고기능 중 과학 창의성 산물과의 연관성은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연관적 사고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은 산물에 따라 창의형, 유용형, 독창형, 비창의형으로 유형이 나뉜다. 그중 비창의형은 세부적으로 진부형, 반복형, 미응답형, 비타당형, 추상형으로 나뉜다. 다섯째, 초등학생은 창의 과정에서 지식 혹은 관찰 중 하나를 주로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에 따라 지식 지향형, 관찰 지향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사고기능을 얼마나 다양하게 사용했는지에 따라 DT형, DT-CT형, DT-CT-AT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육자와 연구자가 과학 창의성 교육에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을 시사하고 있다.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이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Laboratory Class on the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박성주;문성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259-1272
    • /
    • 2013
  • 본 연구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이 중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Keys 등(1999)이 개발한 SWH 전략에 기초하여 탐구적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개 학급 63명은 비교집단으로, 2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소집단의 구성은 인지수준이 비슷한 동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처치는 2011년 3월부터 7월까지 9개의 활동 주제로 총 18차시를 투입하였다.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검사 결과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탐구적 과학 글쓰기 실험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지속적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전략의 제시와 다양한 실험 주제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제III보)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 in Middle School(III))

  • 윤현정;홍혜인;방담이;박지은;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1056-107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산하기 모형, 수렴하기 모형, 발산-수렴 함께하기 모형을 탐구의 각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수업 전략을 실시한 후 이 수업 전략이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의 모든 영역에서 창의성의 하위 범주인 유창성과 융통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독창성에 대해서는 실험 집단의 교정 평균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비판적 사고력에 대해서는 문제 인식, 결론 도출 및 일반화 과정에서 유의미한 신장을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의 수업 전략은 학업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서는 모든 하위영역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