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reative city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Identification of Tick Species Collected from Wild Boars and Habitats of Wild Boars and Domestic Pigs in the Republic of Korea

  • Chae, Jeong-Byoung;Kang, Jun-Gu;Kim, Heung-Chul;Chong, Sung-Tae;Lee, In-Yong;Shin, Nam-Shik;Chae, Jo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185-191
    • /
    • 2017
  • Tic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hropods in the transmission of vector-born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bundance and species of ticks associated with swine and their habitats to assess the risk of spread of tick-borne diseases in host species, such as wild boars. Ticks were collected from 24 grazing or traditionally reared domestic pig farms and 8 habitats of wild boars in 8 provinces and 1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by using the dragging and flagging methods. Ticks were also collected directly from 49 wild boars by using fine forceps. A total of 9,846 hard ticks were collected, including 4,977 Haemaphysalis longicornis, 4,313 Haemaphysalis flava, 508 Ixodes nipponensis, 1 Ixodes turdus, and 47 Amblyomma testudinarium. A total of 240 hard ticks were collected from 49 wild boars, including 109 H. flava, 84 H. longicornis, and 47 A. testudinarium. A total of 578 hard ticks were collected from areas around domestic pig farms. Only 2 hard tick species, 546 H. longicornis and 32 H. flava, were collected from these areas. A total of 9,028 hard ticks were collected from wild boars of 8 habitats, including 4,347 H. longicornis, 4,172 H. flava, 508 I. nipponensis, and 1 I. turdus. A. testudinarium was collected only from wild boars, and I. nipponensis and I. turdus were collected only from the habitats of wild boars.

-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에 나타난 윤동주 시 활용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Yun Dong-ju's poetry in the musical )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85-92
    • /
    • 2019
  • 윤동주의 시와 그의 표상은 다양한 영상 및 극 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매체 및 장르적 특성에 따라 윤동주의 표상과 그의 시는 선택되고, 변주된다. 문학이 다양한 매체들과 통섭하는 현대에서 한 시인의 초상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텍스트가 한 인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읽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윤동주의 시가 다른 장르의 예술적 텍스트들에서 활용된 방법을 검토하는 한편으로, 각 텍스트들의 시문학과의 통섭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윤동주, 달을 쏘다>에서 윤동주의 시는 감정을 극대화하는 장치이자, 인물의 의지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대사의 형식으로 활용되었다.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가 시를 통해 '윤동주'의 감정을 격정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가무극 즉, 뮤지컬은 다른 예술 장르에 비해 장르적 특성상 인물의 미세한 감정 변화를 전달하기에 제약이 따른다. 이로 인해 가무극은 인물의 감정 표현이 좀 더 격정적이며, 서사의 진행 또한 극적이며, 영화와 가무극이 조명하는 시인 윤동주의 면모 또한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영화 <동주>는 시인 윤동주를 순수한 문학청년으로 형상화하고자 한다면,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는 윤동주의 시를 저항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을 통한 역량 수준 분석 (Competence Level Analysis Through Maker Program Education)

  • 장현철;노미라;전병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807-813
    • /
    • 2022
  •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는 지식 중심 교육에서 역량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는 가운데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융합, 창의, 배려, 소통 역량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시 소재 S 대학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방사선과 및 스포츠레저과 재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2일부터 5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융합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35 ± 0.78점, 교육 후 4.37 ± 0.61점, 창의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28 ± 0.78점, 교육 후 4.07 ± 0.69점, 배려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71 ± 0.80점, 교육 후 4.25 ± 0.64점, 소통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61 ± 0.70점, 교육 후 4.16 ± 0.63점으로 나타났다. 4개 역량 모두 교육 전과 비교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 후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융합, 창의, 배려, 소통 역량 함양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볼 수 있으며, 더 많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Study on Public Design Development Plan for Traditional Culture Transmission Zone -With Focus on Public Desig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Daechon-dong Theme Park-)

  • 황요순;임채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56
    • /
    • 2015
  • 도시를 재생 발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들 중에서 풍부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의 발전에 대한 잠재적인 발견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내 지자체의 유사한 환경에 대한 공공디자인 활용가치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정체성에 대하여 지나친 광의(廣義)의 의미를 지양(止揚)하고 지역의 전통문화지역 자산 중 역사와 문화, 생활경제권의 계획적인 발전 방안을 통해 입지현황 분석 및 전통문화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파급효과가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에 미치는 결과에 대해 논의 하였고, 그 결과 국내 외의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에 전략 및 개발 연구설계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미가 부여된 공간은 지역의 문화원형적 소재를 내포한 문화콘텐츠로서, 공간의 활성화 및 광주광역시의 도시브랜드 가치창출을 위한 창의적 발전의 여지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에 대촌동 테마파크 공간해석과 기호학적 공간기획의 방법론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 본 연구가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으로써 국내의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에 대한 모멘텀(Momentum) 환경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산업항만지역의 재생을 통한 워터프론트 문화도시 통합계획 (Integrated Waterfront Cultural Planning through Regeneration of Former Industrial Harborfront)

  • 이금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75-185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산업항구도시의 재도약을 위한 도시경제기능과 다양한 도시활동을 추구하기 위한 지역역사 기반의 생활문화공간 조성 측면에서 항구도시의 특성을 살린 워터프론트 통합계획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요코하마의 성장과정과 개발배경을 살펴보고 MM21의 개발정책 및 전략 체계를 기초로 하여 MM21의 워터프론트 및 역사문화공간 계획특성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MM21은 도쿄의 확장으로 위성도시의 위기에 처한 요코하마가 추진한 6대 사업 중 핵심이 되는 공공프로젝트로, 도시자립성 강화, 항만기능의 질적 전환, 수도권의 업무기능 분담을 목표로 하여 항구도시, 창조문화도시, 녹색수변도시, 정보도시 건설을 위해 워터프론트 통합도시개발을 계획하였다. 결론: MM21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항구도시의 특성을 살린 워터프론트 문화도시 계획방안은 워터프론트 중심의 토지이용계획과 내륙지역과의 통합계획, 항구도시로 성장한 도시조직을 최대한 보존하고 워터프론트 도시로 전환할 수 있는 구역계획 구축, 조망점을 통해 바다와 항만을 향한 도시경관 제공, 항만과 바다를 향한 워터프론트 오픈스페이스와 에스플라나드 경관조성,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자산 보존 및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활용, 공공문화예술과 보행네트워크를 연계한 워터프론트 공간계획 등이다.

조경설계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 -시청 앞 광장 현상공모 입상작을 중심으로- (Spatial Characteristics Shown in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Five Winning Design Proposals for the Seoul City Hall Plaza Design Competition)

  • 김정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ive winning design proposals for the Seoul City Hall Plaza Design Competition have show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m. Each design proposal shown different approaches that reveal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scrutinizing these design proposals, some similar and different aspects among them were identified. In order to examine these aspects, the winning design proposals were analysed and compared based on five categories such as design concepts, main facilities,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images, spatial connection, and event programs. Gilles Deleuze explain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s striated space and smooth space. Striated space could be defined as sedentary space. It is distant vision-optical space that has dimensional, metric, and centered characteristics, whereas smooth space is defined as nomadic, close vision-haptic space that has directional and acentered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mooth space and striated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mooth and striated space, some design proposals shown more characteristics of striated space while other proposals shown more characteristics of smooth space. Those design proposals that shown more characteristics of smooth space reveal flexible or changeable shape and void space, whereas the others that shown more characteristics of striated space try to suggest apparent guidelines for the future use by retaining the idea of a plaza through the concrete shape.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winning design proposals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mooth and striated space, can be used to analyze the designs and could help to develop a new methodology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furthermore, it could provide practical and creative design strategies for landscape design.

국내 신진패션디자이너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 연구 - 영국 런던시의 지원 사업을 기초로 - (An Investigation into the Nurturing Strategy of Korean Young Designer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Expansion - Based on London's Young Designers' Support Programs -)

  • 김혜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2-281
    • /
    • 2016
  • From the year 2000 on, Seoul has aimed to be a fashion city, and thus has been supporting young designers through Seoul Fashion Creative Studio, Generation Next, Le Dome, Concept Korea, etc. London is famous for nurturing young designers through the joint help of government, schools and industries: Alexander McQueen, Christopher Kane and Peter Pilotto are successful cas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policies aimed at helping young designer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on the basis of London's nurturing programs and ideas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results are below. Firstly, a step-by-step supporting program is recommended. Secondly, long-lasting, sustainable programs are considered essential to support designers after the end of their contracts. Thirdly, practical assistance is preferred to monetary funding in order to lighten the designers' lot and in the interests of transparency. The mentoring service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designers to eventually become independent. The support should be tailor-made according to items. Fourthly, the supporting programs should be promoted. Fifthly, government and industries should collaborate. Sixthly, 'de minimis' against overlapped support should be legislated. For these, the change of supporting method can be helpful;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organisation plans and collects funds from governments and companies. Through these programs and any subsequent studies, Seoul could become a fashion city where young designers play active roles at a global level.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 어메니티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Amenity Structure for the Creation of Urban Landscape)

  • 김승환;변문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1-115
    • /
    • 1991
  • A study on the method of evaluation the urban amenity structure in Pusan city was established. Finally a survey sites out of 41 region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s : Taejong-dae and Haeun-dae as a seascape, Pumosa and Daesin-park as a mountain, Daechong-park and Seongjigok-park as a mixed, and Chungryulsa, Yongdoosan-park and U. N. Cemetry as a urban type. The abstracted results of amenity elements were revealed as natural environments including convex type as beach, reservoir, valley and mountain, and plant elements including woods and flower beds which raised amenity. The elements of social surroundings including children's playing, the aged's rest, and elements of structures including historic and memorial structures and high buildings. Amenity element made up of each space by region were abstracted from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n the ground SD scale values, Kaiser's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for 24 variables is 08602 and very high. Four factors including pleasantness, healthiness, convenience and safety showed 54.42 percent for total variance.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the model was as follows : Y=1.6636+0.3684X4+0.1955X11+0.1614X15-0.1688X23+0.1468X24. Therefore, Y:amenity, X4:beautiful-ugly, X11:clean-dirty, X15:creative-imitative, X23:cozy-dreary, X24:free-restrained. All variables in the model were significant at 0.001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on satisfaction, the variables of satisfaction affecting amenity are the size of green space, the condition of management and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I think the considerating on the above could improve amenity of each region and further Pusan city.

  • PDF

플레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본 철도역사의 계획방향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s of Railway S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ing)

  • 우희경;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72-180
    • /
    • 2014
  • A railway station appears in the form of multi-use station building where cultural and commercial elements such as shopping and leisure are mixed, getting out of simple space configuration oriented to the space for station work, where a passenger stays for a little while. Now, a railway station is a place expanded to the inside of city, and builds a relationship with urban fabric, and therefore it should receive the social change in the time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infrastructure, and should inevitably form the urban environment. And it should become the 'Place' so as to be capable of playing a role of buffer and a role of regional gateway landmark by making users included in the inside through various uses with regard to the dispersed urban connection. He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planning through the place branding of railway station. In the method of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that place branding had was investigated, and an analysis was made on the basis of 10 place branding strategic elements and 6 railway design guidelines. And it was intended to set a direction in which the existing place branding strategy could be applied to the railway station, and was intended to derive the place branding planning strategic elements of railway station. Hence, the plann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5 kinds in connection with railway station. First, identity should be embodied through the strategy of constructing the symbolic image of railway station. Second, a role of mediating variously approaching flows in the city should be played. Third, the spatial layout of railway station,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should be arranged. Fourth, spec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intensified through creative storytelling that stimulates emotion. Fifth, an organic change is gradually necessary for sustainability. These planning elements should be applied in harmonious combination. Therefore, a new railway station can be maded by building identity and placeness and by giving the value through these planning directions in the future.

로컬콘텐츠로서의 소도시 만들기: 한국과 일본의 마을스테이 사례를 중심으로 (How to Create Small-sized Cities as Local Contents: Focusing on the Case of 'Town-stay' in Korea and Japan)

  • 정수희;허동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9
    • /
    • 2023
  • 최근 인구감소와 도시 쇠퇴로 인해 도시 자체의 질적 변화를 유도하고 차별화 된 발전모델을 만드는 방안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문화는 고유성과 다양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활용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의 확장과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활기가 넘치고, 지속가능한 로컬 생태계를 조성하는 차원에서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장소만들기로서 '마을스테이(마을호텔)'라는 새로운 로컬콘텐츠의 접근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개별 콘텐츠의 독창성과 창의성이 지역의 매력을 돋보이게 할 수 있겠으나, 일부 소도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결과, 콘텐츠적 요소(장소, 이야기, 사람)를 마을스테이라는 면(area) 단위 콘텐츠로 구체화함으로써 밀도 있게 제시하여 가시성을 높이고, 지역 연결성을 드러낸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 주체인 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성을 이해하고 능동적 활동을 유도하며,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연대를 도모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