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ne equipment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2초

RTLS기반의 풀링운영에서 실시간 YT 추적과 장치장 혼잡도 분석 (Real-Time YT Tracking and Analysis of Yard Congestion in Pooling Operation Based on RTLS)

  • 하창승;서문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603-2609
    • /
    • 2010
  • 최근 항만에서는 이송장비의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운영방식의 개선에 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조별운영 방식에서는 특정 안벽크레인에 지연이 발생하면 배정된 YT들도 함께 작업을 중단해야만 하는 문제가 생겼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운영 방식을 풀링운영 방식으로 전환하고 운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장치장 내에 무선 측위 장비를 설치하고 YT의 위치와 혼잡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풀링운영을 위한 YT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되었고 장치장의 혼잡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통제 방법이 마련되었다.

국내외 지침 비교를 통한 Grommet 작업 안전성 향상 방안 연구 (Improvement of Grommet Work Safety by Comparision of Domestic and Foreign Guidelines)

  • 이진우;한철호;이송우;전영훈;이창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3-72
    • /
    • 2022
  • The number of deaths caused by power crane accidents continues to decline. Nevertheless, more than 50 people die each year due to these accidents. Various types of slings, such as wire rope sling, chain sling, belt sling, and grommet, are used in indust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nvolved.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involving these slings, the formulation of technical measures and education of workers are necessar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local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as well as those found in manufacturer manuals in relation to grommets, which are widely used in shipyards and construction sites. Moreover, measure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work using grommet are reviewed. This paper further proposes the revision of the technical guidelines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such that the information directly affecting the safety of work involving grommets is included. By clarifying the guidelines that manufacturers provide in their manuals, accident prevention through worker awareness is anticipated in the future.

119 소방헬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The Developmental Device for 119 fire fighting helicopter use activations)

  • 고재문;김태민;김효식;이영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93-109
    • /
    • 2007
  • The pre-hospital care in site transportation care and site care will be divided, it will follow in site or evacuation it will enforce it will can evacuate in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of like this at the initial stage and emergency care from inside fire fighting helicopter back transfer means and the manpower security of the specialty emergency necessary personnel(nursing and 1st EMT's) as the medical treatment agency and modernization of first aid equipment necessity inside American securing and fire fighting helicopter and specialty first aid packet won about lower the emergency care which is appropriate cannot become accomplished are the actual condition in total lack of emergency care equipment. Consequently craving augmentation, in order to be adapted with the handling kind transfer whose specialty and is appropriate and present time of rapid increase and the citizen of emergency demand by fire fighting helicopter simplicity transfer compared to it is a condition where the countermeasure preparation is earnest. Must expand emergency care equipment first even in fire fighting helicopter and 1st EMT's which it follows in him become arrangement and quickly the execution and specialty temporary disposal(ALS) must be enforced a temporary disposal and must buy the life which is. Also it gets by experience a helicopter induction outline, a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patient helicopter on-board hour attention point back various attention fact back with the body and when where it stands but accurately there must be it will be able to induce the helicopter. Also every manuals anger it does a helicopter transfer method and the emergency care method back and that all processes must do fixed form anger, it becomes feed. Also it related with a helicopter transfer even from the relationship agency many research to lead, difference of the advanced foreign nation and the maximum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medical emergency system construction which it reduces is earnestly demanded. Also with emergency structure(crane) it confronts to an aviation transfer even from the establishment college and education it leads intensively and 1st EMT's of the good quality which relates with an aviation structure expects is cultivate at all.

  • PDF

종방향 분할형 관형지지물 개발 (Development of Vertical Separated Tubular Steel Pole)

  • Lee, Won-kyo;Mun, Sung-Duk;Shin, Kooyong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5권4호
    • /
    • pp.257-262
    • /
    • 2019
  • Lattice steel towers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s have been replaced by tubular steel poles due to the visual impact of large and complex shape of truss type. Demand for tubular steel poles consisting of a single frame member continues to grow because of its advantages such as visual minimization, architectural appeal and minimal site consumptions. However, there are some constraints on the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s the diameter of tower base has been enlarged, it may exceed minimum height limit required to pass the tunnel in case of land transportation. Also, in a narrow place where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installation areas such as mountainous places, there might be some areas wherein it must secure a wide working space so that large vehicles and working cranes will be allowed to enter.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vertical separated tubular steel pole, which is a new type of support that can be implemented for general purpose such as mountainous areas or narrow areas to improve the issues raised by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design and fabrication methods. Technical approaches for overcoming the limit of the cross-sectional size is to separate and modularize the cross-section of the tubular steel pole designed with a size that cannot be carried or assembled, and to lighten it with a weight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and assembled in a narrow space or mountainous area.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enter small and medium sized vehicles in locations where it is restricted to transport by large-sized vehicles. In the case of mountainous areas, it will be possible to divide it into a weight capable of being carried by a helicopter and it will be easy to adjust and fabricate it with individual modules. Furthermore,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 we proposed the equipm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assembly of Tubular Steel Pole without using a large crane in locations where there is no accessible road or in locations wherein large cranes cannot enter. In particular, this paper shows the movable assembling equipment and some methods that are specialized for vertical separated tubular steel pole consisting of members with reduced weight. The proposed assembly equipment is a device for assembling the body of the Tubular Steel Poles. It will b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and the modules can be lifted by using the support itself.

DEA와 Tobit 모형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장비 효율성 결정요인 (The Efficiency Determinants to Port Cargo Equipment on Container Terminals to DEA & Tobit Model)

  • 박홍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10
  • 항만하역시설은 효율화는 항만 경쟁력의 핵심요소이다. 항만하역서비스강화를 위하여 주요항만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야드장비의 운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효율과 비용절감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있어서 다양한 야드장비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는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에서 4가지의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며 산출요소는 환적물동량이다. 컨테이너야드 운용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Tobit분석을 이용하여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형1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두 변수가 투입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 과 Tobit II 두 모형에서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며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보다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2와 모형 3은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이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모형 4는 Tobit II에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겐트리크레인, 트랜스테이너 크레인,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모형 5와 모형6은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모형7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는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의 증가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에 의한 효율성에 영향을 준다 모형 8과 모형 9는 야드트랙터와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효율성 상승요인이다.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계수가 야드트랙터 계수보다 커서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가 야드트랙터, 리치스태커 탑 핸들러, 환적량을 이용하여 도출한 효율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모형 10에서 겐트리크레인은 5%에서 유의하지 않은데 비해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은 Tobit I에서 5%, Tobit 2에서 8% 수준에서 음의 부호로 유의하다. 모형 11와 모형 12는 겐트리크레인과 트랜스테이너 크레인의 증가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첨성대축조 규준방식과 드잡이기술에 대한 기술사적 접근 연구 (The Study on the Construction Criteria and Dujabee Technique of the Construction of the Cheomseongdae)

  • 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92-103
    • /
    • 2012
  • 본 연구는 고건축 기술사적 관점에서 첨성대 축조당시 가설공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독특한 구조와 형태로 이루어진 첨성대는 그동안 많은 관심을 끌며 연구되어왔으나 고건축 기술사적 측면에서 접근한 사례를 보기 어렵다. 더욱이 첨성대 축조기술에 관한 연구는 고건축 기술사적 고찰기반이 취약한 추론으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많은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 여러 가지 의문점 가운데 가설공법에 대한 논의는 고건축시공 규준방식과 드잡이에 관한 기술사적(技術史的) 고찰을 결여한 추론으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신빙성 있는 역사적 사실규명으로 보기 어렵게 한다. 연구결과 첨성대축조 가설공법에 대한 규명은 실제유구가 남아있지 않아 직접 고찰에 한계가 있었으나, 그간의 오류 폭을 좁히고 기초자료 제공에 의한 기술사(技術史) 연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1.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첨성대축조 규준방식은 또한 +자먹 규구법과 다림추를 이용한 준승방식에 기초한 중심축 규준을 적용하였음으로 고찰되었다. 2. 첨성대 축석공사는 규구준승에 기초한 규준방식과 부합하는 드잡이공사 방법으로 녹로사용 가능성이 고찰 검토되었다. 3. 첨성대축조 규준과 드잡이기술에 대한 고찰 결과 규구준승에 의한 규준방식과 녹로(??)를 이용한 드잡이공사는 축석공사에 별도로 운반을 위한 비계가설을 요하지 않는 고건축 시공기술로 고찰되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 데이터베이스 분석에 의한 하역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일본의 HICCT를 중심으로 - (Study on Construction of Simulation Model based on Analysis of Container Handling Database - A case of HICCT in Japan -)

  • 김화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17-723
    • /
    • 2007
  • 최근의 컨테이너 수송환경은 컨테이너 선사간 인수합병, 동맹화,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와 하주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복합수송체계 등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컨테이너터미널에 요구되어지는 서비스로서 항만의 대수심화, 하역의 신속화, 이용료의 저가격화 등을 예로들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컨테이너 선사는 컨테이너터미널의 기항을 기피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에 있어서 하역의 효율화와 기능성 평가를 위해 실제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하역기기, 야드샤시 및 외부트럭의 관리에 대한 프로세스 정보를 추출하여 하역 효율화에 저해가 되는 하역기기 운전원의 스킬과 트러블 등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한 프로세스 정보를 활용하여 페트리 넷을 이용해 컨테이너 하역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하역기기의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기선권현망어업의 3척식 자동화 양망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Hauling Operation System by Three boats for Anchovy Boat Seine)

  • 안영수;장충식;이명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2호
    • /
    • pp.147-15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automatic fishing operation system for anchovy boat seine by comparison with the fishing gear geometry and efficiency using the labor saving nets and the combined type net with midwater trawl.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observe the geometry of nets and improve the fishing operation system by catcher boats. The vertical net opening of fore wing net, square, fore bag net and after bag net of the combined type net were varied in the range of 9.9~12.9. 16.2~28.2, 6.8~12.1 and 9.5~15.2m respectively, when the towing speed was 1.0m/sec and the distance between boats were 100m, 200m, 300m. The vertical net opening of the combined type nets was gradually decreased as function of with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catcher boats. Labor saving net which was maintained the net opening and towing depth stable was more suitable for the automatic hauling operation system by improvement of bag net rather than the combined type nets which was impossible in swallow depth and near to anchovy school. 3 boats hauling operation system of the labor saving net was carried out by crane with power block in 2 catcher boats for improvement of hauling operation and pushing equipment of anchovy cooking system in the processing boat for maintain more anchovy in dry frame. From the results of field experiments, 3 boats hauling operation system with power block and improved cooking system was very 3 boats hauling operation system with power block and improved cooking system was very useful and more practical as hauling time 20~35min and No. of fishermen 12~13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system such as hauling time 30~50 min and No. of fishmen 28~38.

여유시간을 고려한 다수 자동화 야드 크레인의 이적작업 일정계획 (Remarshalling Planning for Multiple Automated Yard Cranes Considering Slack Time)

  • 박영만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49-154
    • /
    • 2017
  • 최근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야드 장비의 자동화 및 환적화물의 증가로 인하여 터미널내의 이적작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 운영자들은 효율적인 이적작업 계획을 수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보통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장치장에 다수의 자동화된 야드 크레인을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취급하고 있으며 선적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여유시간대를 이용하여 이적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블록 내에서 다수의 자동화 야드 크레인이 운영되고 있는 경우의 이적작업 계획을 다루고 있으며 혼합정수계획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여유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효율을 최대화하는 각 크레인 별 최적 이적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수리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컨테이너 터미널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빠른 시간 안에 이적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작업 할당규칙을 찾기 위하여 다섯 가지 대표적인 할당규칙에 대하여 수치 실험을 통하여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수치 실험 결과 작업할당 규칙 중에서 MR규칙과 MW규칙이 다수 자동화 야드 크레인의 이적작업 할당규칙으로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 컨테이너 반출 시 발생하는 재취급 횟수 비교 (Comparing Expected Numbers of Re-Handles for Empty Containers During Gate-Out Operation)

  • 이훈;김갑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7-216
    • /
    • 2018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한정된 공간에서 공 컨테이너를 선사별, 컨테이너 종류별로 구분하지 않고 혼적하여 보관하면 장치공간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재취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보관 전략에 따른 장치장에 공 컨테이너가 섞여 있는 상태와 반출 작업에 사용하는 야드 장비에 따라 재취급의 기대 횟수를 추정하는 수식을 유도하고 수치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인출비율과 수리비율 변화에 따른 기대 재취급 횟수 변화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장치 규모 변화에 따른 기대 재취급 횟수를 비교하고, 복수 선박의 컨테이너가 혼재된 상태에서 장치비율 및 인출비율 변화에 따른 기대 재취급 횟수를 분석하였다. 공 컨테이너 대상 기대 재취급 횟수를 고려한 효율적인 운영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