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oil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1초

당류계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O/W 에멀젼의 구조 (Structures of OH Emulsion Prepared with Saccharide Surfactants)

  • 홍세흠;한창규;조춘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61-274
    • /
    • 2000
  • 당류계 계면활성제인 sucrose distearate(S110), sucrose monostearate(S160), POE(20) ethyl glucose stearate(SSE20)과 오일성분인 알칸 계열의 탄화수소 hexane( $C_{6}$), decane( $C_{10}$), tetradecane( $C_{l4}$), octadecane( $C_{8}$)과 squalane (SQ) , liquid paraffin(LP) , octylpalminate(OP) , octylstearate(OS), alkylbenzoate(AB), isostearylbenzoate(ISB)를 사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에멀젼 입자의 구조 형태는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fractal 차원으로 나타내었다. 에멀젼 입자의 fractal 차원은 오일의 농도 및 탄소수와 오일의 비극성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나타났다. fractal 차원은 대부분 1.7~2.8으로 입자의 구조 형태는 fractal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S110계와 S160계의 Cla 50, LP의 fractal 차원은 3.0~3.2으로 내부 구조가 비교적 조밀한 회합체 구조를 형성하였다. S160계와 S110계의 fractal 차원은 2.I~2.6으로 서로 비슷한 fractal 구조를 형성하며, SSE20의 fractal 차원는 1.5~2.1으로 S160계 및 S110계 보다 덜 조밀한 회합체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의 구조 형태는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으며 계면활성제의 친수부가 동일하면 비슷한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S160의 친수부 구조인 sucrose보다 SSE20의 polyoxyethylene group에 의한 장애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다..

  • PDF

국내산 블렌딩 정유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omestic blended essential oils)

  • 정숙희;이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370-1382
    • /
    • 2021
  • 국내산 소재를 이용한 단일 추출물의 안전성 실험 및 화장품 소재로써의 선행 연구는 실시되어 왔지만, 개별 추출하여 식물의 특성을 극대화 및 효과 간섭 가능성에 대한 복합 혼합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배초향, 적송, 강황, 생강, 산미나리씨, 불수감에 대한 정유 추출에 따른 GC-MSD, 블렌딩 오일의 세포독성, 항산화, 항염을 확인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C-MSD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으로는 배초향은 Estragole, 적송은 à-Pinene, 강황과 생강은 Zingiberene, 산미나리씨 Anethole, 불수감 D-Limonene이 동정되었다.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100 uL/mL의 농도에서 NO 생성 70.62% 억제, DPPH 라디칼 소거능 64.03%, ABTS 라디칼 소거능 89.55%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블렌딩 정유는 화장품 및 식품, 의약품 산업 분야에서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이 있는 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밍크 오일의 식물성 대체원료 개발 (Development of Vegetable Alternative Materials for Mink Oil)

  • 이석주;김민태;이소민;정소영;;허효진;차병선;이상훈;;조하현;천유연;김예지;이미기;곽병문;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8
    • /
    • 2023
  • 본 연구는 식물성 유지와 진균 유래 효소를 이용하여, 밍크 오일과 유사한 식물성 재조합 오일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유지와 지방산을 혼합하여 고정화 효소를 이용하여 유지의 지방산을 재조합하고, 탈산 및 정제과정을 통해 재조합 유지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재조합 유지는 gas chromatography 및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화학적 조성 및 열적 물성 등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밍크 오일과 식물성 재조합 오일의 높은 유사성을 보여주며, 화장품 원료로 점차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동물성 원료의 대체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CONTROL OF HARDNESS OF OIL-WAX GELS BY A NOVEL BRANCHED WAX AND APPLICATION TO LIPSTICKS

  • Yoshida, K.;Shibata, M.;Ito, Y.;Nakamura, G.;Hosokawa, H.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469-479
    • /
    • 2003
  • A novel branched wax has been developed for the control of the hardness of oil-wax gels. Using this wax, glossier application and smoother texture but tough lipstick can be obtained. Oil-wax gels are oily solids composed of liquid and crystalline solid oils (waxes). They are widely used in various cosmetic products, especially lipsticks. The control of gel hard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ques in improvement of the lipstick quality. Addition of small amounts of commercial branched paraffin wax (e.g. microcrystalline wax, b-PW) to n-paraffin wax (n-PW) has been commonly used to increase gel hardness. However, gel hardness is very sensitive to the quantity of b-PW and the gel obtained is not always hard enough for practical us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l hardness and the properties of the wax crystal in the gel. We have found that, when b-PW is added to n-PW, the wax crystal size becomes smaller (hardening the gels) and its crystallinity is decreased (softening the gels)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is result, we have developed a novel branched wax, Bis(polyethylenyl)- tetramethyldisiloxane (named ESE). ESE molecules are composed of a central tetramethyldisiloxane unit (branch unit) with polyethylene units at both ends. The central unit may suppress crystal growth while the ends are expected to prevent a decrease in wax crystallinity during crystallization. When ESE is added to n-PW, the wax crystal obtained becomes smaller without decreasing in crystallinity; consequently, the gel hardness is dramatically increased. By using ESE, the total amount of wax in a lipstick can be decreased by 30% without spoiling the stick toughness, thereby achieving glossy application and smooth texture.

  • PDF

Study and Application of the New Stick Make Up Product Using Clay Minerals as Binder & Buffer.

  • Kim, Sang-Je;Shin, Dong-Uk;Cho, Pan-Gu;Jung, Chul-Hee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7-110
    • /
    • 1999
  • The new stick make-up product was studied by using a gel, which is a viscous complex formed with clay minerals, vitamins A and E and fluorinated liquid polymer with a 1500 molecular weight. The gel cannot be obtained with any random combination of clay minerals and the ingredients described above. It takes the sequential manufacturing method as follows to get this kind of gel. Firstly, clay minerals and liquid polymers have to be pre-mixed in order to saturate the liquid polymers with the clay minerals. Then the on-processed gel has to be finely crystallized. The clay minerals, which are the core elements for this gel, were used as a function of Binder & Buffer and liquid polymer was mixed together for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tension of each component and to form a functional film in the gel. This liquid polymer was combined with clay minerals because it is not miscible with most oils and solvents. Waxes have a function of keeping a solid status in the stick. We reduced the usage of waxes by putting clay minerals as buffer in the proportion of 0.5:1 with oil phase. Ceramide takes care of the skin when used regularly and maintains the skin's moisture. Vitamins A and E contribute to preventing skin aging by the activation of skin cells. We could get the stable viscous gel, which has about 80% oil phase using clay minerals and liquid polymer. The crystalline structures of gel were surface-chemically-analyzed using SEM and Image Analyzer and were thermodynamically analyzed using DSC. Surface tension test and softness were done by Rheometer. In the end, these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by consumer panel tests in Seoul, Daegeon and Pusan in Korea and Hokkaido, Osaka and Miyazaki in Japan with correlation to the climate.

  • PDF

Skin care 화장료로서 단상형 액정조성물의 제조 및 응용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Lamella Liquid Crystal to Skin Care Product)

  • 박병덕;이명진;이종기;이승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3-106
    • /
    • 2000
  • 비이온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 물과 오일을 사용하여 단상형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소수성기가 Y 형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POE octyldodecyl ether series와 친수성기가 Y 형인 POE glyceryl monostearate series가 2:1로 혼합한 계면활성제 system에 다과알코올이 혼합됨에 따른 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본 결과 7:3, 6:4, 5:5 인 비율에서 라멜라 백정상의 구조(In)가 잘 발현됨을 보여 주었으며, 상기 비율에 유성성분의 함량에 따른 라멜라 액정상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이 높고, 계면활성제와 화가알코올의 비가 7:3인 system 011서 상대적으로 높은 오일을 함유한 라멜라 백정구조 형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전상이 되지 않은 상태로 라멜라 백정조성물의 친수성 층011 수분의 함유 정도를 관찰하여 본 결과 제조된 라멜라 액정조성물은 25 - 40% 정도의 수분을 라멜라 층간에 함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백정조성물의 피부 도포 시에 우수한 피부 수분 함유 효과를 보여 주었다.

  • PDF

수목 방향유 15종의 산화방지, 항세균, 항진균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15 tree essential oils)

  • 조세진;박미진;궈루이홍;박정업;양지윤;김재우;이성숙;김영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35-542
    • /
    • 2018
  • 본 연구는 수목 방향유 15종의 산화방지 활성, 항세균, 항진균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2가지 다른 실험방법을 통하여 산화방지 효과를 확인한 결과 15가지 수목 방향유 중 clove bud, 붓순나무, 왕초피나무, 곰취는 농도의존적으로 상당한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S. aureus,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S. mutans에 대한 항세균 활성은 액체배양법으로 측정한 결과 clove bud에서 현저하게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페이퍼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연구한 결과 앞에서 언급한 5가지 균주의 5, $2.5{\mu}L/disc$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그 중 식중독 균주인 S. aureus의 성장에 대해 clove bud ($0.625-5{\mu}L/disc$)는 $1.25{\mu}L/disc$ 농도까지 눈에 띄게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A. fumigatus, C. albicans, T. rubrum, A. ochraceus의 4가지 균주에서 clove bud의 항진균 효과가 다른 수목 방향유보다 좋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페이퍼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억제환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1-2{\mu}L/disc$의 농도에서 양성 대조 약물인 ketoconazole ($20{\mu}g/disc$) 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산화방지 활성과 항균 활성이 뛰어난 clove bud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고, clove bud는 0.01% 농도에서 염증 관련 인자인 COX-2와 iNOS 단백질 발현을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COX-2 억제제 celecoxib와 유사하게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수목 방향유는 산화방지, 항세균, 항진균, 항염증과 같이 여러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방향유는 산화방지 및 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으며, 염증반응 완화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화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리시안셔스 유래 에센셜 오일의 항세균 및 항진균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Essential Oil)

  • 지근호;김동광;김영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0-434
    • /
    • 2017
  • 에센셜 오일은 자연에서 성장하거나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방향성 식물의 잎, 줄기, 껍질, 꽃잎, 뿌리 등에서 추출한 방향유를 말하며, 천연 물질로써 항균, 항진균 등의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리시안셔스(Eustoma grandiflorum (Raf.) Shinn.)를 이용하여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여 생활 속에 흔하게 존재하는 3종의 진균 Penicillium pinophilum, Chaetomium globosum,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A. niger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며, 최소 억제 농도(MIC)의 결과는 A. niger에서 0.005 mg/ml로 나타났다. 추출된 에센셜 오일은 대표적인 10종의 병원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Klebsiella pneumoni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faecalis, Vibrio paragaemolyticus)에 대한 항세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병원균 B. subtilis, L. monocytogenes, V. paragaemolyticus에서 강력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 장내 병원균에 대한 항생제로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리시안셔스 추출물이 의약품 및 화장품을 개발하는데 있어 잠재적인 항진균제 및 항세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 에센셜 오일의 주요 구성물질 분석과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Major Compound Analysis and Assessment of Natural Essential Oil o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 신유현;김현정;이진영;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44-13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산업에 이용 중인 천연 에센셜 오일 8종(라벤더, 티트리, 로즈마리, 주니퍼베리, 편백, 싸이프러스, 시더우드, 파인)을 가지고 물리 화학적 분석과 생리활성 및 항균효과를 실험하였다. 라벤더오일의 경우 에스테르 성분인 linalyl acetate가 48% 함유되어 있었으며, 5,000 ppm의 농도에서 22.36%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티트리 오일의 경우 0.5% 농도에서 43.94%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항균효과 또한 뛰어났다. S. aureus, S. epidermidis, S. mutans, C. albicans 균에 각각 6, 3.5, 6.5, 5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우수한 품질의 에센셜 오일임이 확인되었다. 편백 오일의 경우 pH가 2.64로 가장 산성도가 높았으며, 세스퀴테르펜 성분이 19.20%로 확인되었다. 시더우드 오일의 경우 샘플 중 비중과 굴절률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성분의 99.73%가 세스퀴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5,000 ppm 농도에서 39.68% 항산화능을 보였다. 특히 1% 농도에서 P. acnes, P. ovale, C. albicans 균에 각각 3.5, 6, 6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탁월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반면 세스퀴테르펜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교적 항산화능도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산화 성분 유무에 따라 항산화능이 결정된다고 판단되며, 마찬가지로 항균력 또한 테르펜의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균성분의 유무에 따라 항균력이 결정된다고 사료된다.

마스크 팩 시트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ask Sheets)

  • 장혜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87-798
    • /
    • 2017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시트 타입 마스크 팩의 재질에 따른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정제수와 1.3-propanediol, 1.3-butylene glycol, Glycerine, Hyaruronic acid와 같은 수용성 성분과 Cyclomethicone, Dimethicone, Phytosqualane, Caprylic Capryl Triglyceride, Grape seed oil, Macadamia Nut oil 오일을 비롯한 다양한 오일의 흡유력을 살펴 본 결과 정제수를 제외한 모든 수용성 성분들은 점도가 커질수록 흡습능력이 커졌고 오일의 경우엔 모든 오일의 점도에 비례하여 흡유 능력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마스크 시트의 종류는 초산 발효 바이오셀룰로오스가 수용성 습윤제나 모든 오일에 있어서 500~1,000 배 이상의 함습, 함유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표면 구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5,000배 이상 확대한 사진에서 보이는 미세한 망상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망상 구조는 단면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함습, 함유 능력을 우수하게 하며 다량 함유된 수용성 성분과 오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배출 또한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또한 각 마스크 시트는 소재에 따라 그 특성을 보여주고 있기에 피부에 좋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의 제조에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