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lation residual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Damage characterization in fiber reinforced polymer via Digital Volume Correlation

  • Vrgoc, Ana;Tomicevic, Zvonimir;Smaniotto, Benjamin;Hild, Francois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10권6호
    • /
    • pp.545-560
    • /
    • 2021
  • An in situ experiment imaged via X-ray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on a continuous glass fiber mat reinforced epoxy resin composite. The investigated dogbone specimen was subjected to uniaxial cyclic tension. The reconstructed scans (i.e., gray level volumes) were registered via Digital Volume Correlation. The calculated maximum principal strain fields and correlation residual maps exhibited strain localization areas within the material bulk, thus indicating damage inception and growth toward the specimen surface. Strained bands and areas of elevated correlation residuals we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narrowest gauge section of the investigated specimen, as well as on the specimen ligament edges. Gray level residuals were laid over the corresponding mesostructure to highlight and characterize damage development within the material bulk.

흐름 주입 분석법에 의한 총 잔류염소의 정량 (Determination of Total Chlorine Residuals by Flow Injection Analysis)

  • 최용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0-437
    • /
    • 1999
  • 흐름주입 분석법(FIA)에 의한 간접 요오드화 UV 검출법으로 총 잔류염소를 신속하게 정량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FIA장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용리액의 pH, 요오드화 이온의 농도, 혼합 및 반응코일의 길이,시료주입량 및 유속, 온도 및 검출파장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pH 8.3에서 하이포아염소산 이온은 요오드화 이온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고 자신은 염화이온으로 환원되었다. 방해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가리움제로서 에틸렌다이아민이 가장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하이포아염소산 이온의 검정곡선은 0.03-0.3 mg/L의 농도 범위에서 0.999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고, 검출한계는 0.007 mg/L이었다. 이러한 분석조건하에서 몇몇 전주근교 상수중 총 잔류염소의 농도를 정량하였다.

  • PDF

Effect of Spacer Grids on CHF at PWR Operating Conditions

  • Ahn, Seung-Hoon;Jeun, Gyoo-D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
    • /
    • pp.283-297
    • /
    • 2001
  • The CHF in PWR rod bundles is usually predicted by the local flow correlation approach based on subchannel analysis while difficulty exists due to the existence of spacer grids especially with mixing van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pacer grids on CHF, the experimental rod bundle data with various types of spacer grids were analyzed using the subchannel code, COBRA-IV-i. For the Plain grid data, a CHF correlation was described as a function of local flow conditions and heated length, and then the residuals of the CHF in mixing vaned grids predicted by the correlation were examined in various kinds of grid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residual, three parameters, distances between grids and from the last grids to the CHF site, and equivalent hydraulic diameter were introduced into a grid parameter function representing the remaining effect of spacer grids predicted most of the CHF data points in plaing grids within $\pm$20 percent error band. Good agreement with the CHF data was also shown when the grid parameter function for mixing vaned grids of a specific design was used to compensate for the residuals of the CHF data predicted by the correlation.

  • PDF

황해연안의 2013년 11월 이상조위편차 발생 원인 (The Cause of Abnormal Tidal Residuals Along the Coast of the Yellow Sea in November 2013)

  • 김호균;김영택;이동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4-353
    • /
    • 2016
  • 황해연안 조위관측소 10 개 지점에서 2013년 11월 24일 밤부터 25일 오전까지 관측한 해수면, 해면기압, 바람, 유동 자료뿐만 아니라 일기도를 분석하여 이상조위편차의 발생 원인과 관측자료들 간의 상호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이상조위편차란 최대조위편차와 최소조위편차가 나타나는 시간동안 두 편차간의 차를 의미한다. 영종도의 최대조위편차는 111 cm, 최소조위편차는 -65 cm로, 4시간 1분 동안 176 cm의 이상조위편차를 보여 10개 조위관측소 가운데 가장 크다. 반면 모슬포의 이상조위편차는 8시간 52분 동안 약 68 cm로 가장 작다. 이 같은 이상조위편차는 기압점프에 의한 기상해일이 아니라 저기압에 의한 기압배치의 영향으로 바람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지점에서 이상조위편차에 의한 흐름은 연평균 낙조류 세기의 16 ~ 41 %로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조위편차, 바람, 조류잔차의 상호상관관계로부터 저기압의 중심이 한반도 서쪽에 가까이 위치해 있을 때 인천에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북향류가 해수면을 상승시켰고, 한반도 통과 후 북풍계열의 바람에 의해 남향류가 해수면을 하강시켰다.

Uncertainty analyses of spent nuclear fuel decay heat calculations using SCALE modules

  • Shama, Ahmed;Rochman, Dimitri;Pudollek, Susanne;Caruso, Stefano;Pautz, Andreas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9호
    • /
    • pp.2816-2829
    • /
    • 2021
  • Decay heat residuals of spent nuclear fuel (SNF), i.e., the differences between calculations and measurements, were obtained previously for various spent fuel assemblies (SFA) using the Polaris module of the SCALE code system. In this paper, we compare decay heat residuals to their uncertainties, focusing on four PWRs and four BWRs. Uncertainties in nuclear data and model inputs are propagated stochastically through calculations using the SCALE/Sampler super-sequence. Total uncertainties could not explain the residuals of two SFAs measured at GE-Morris. The combined z-scores for all SFAs measured at the Clab facility could explain the resulting deviations. Nuclear-data-related uncertainties contribute more in the high burnup SFAs. Design and operational uncertainties tend to contribute more to the total uncertainties. Assembly burnup is a relevant variable as it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the SNF decay heat. Additionally, burnup uncertainty is a major contributor to decay heat uncertainty, and assumptions relating to these uncertainties are crucial. Propagation of nuclear data and design and operational uncertainties shows that the analyzed assemblies respond similarly with high correlation. The calculated decay heats are highly correlated in the PWRs and BWRs, whereas lower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decay heats of SFAs that differ in their burnups.

상관된 시계열 자료 모니터링을 위한 다변량 누적합 관리도 (Multivariate CUSUM Chart to Monitor Correlated Multivariate Time-series Observations)

  • 이규영;이미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9-55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ultivariate CUSUM control chart that can detect the out-of-control state fast while monitoring the cross- and auto- correlated multivariate time series data. Methods: We first build models to estimate the observation data and calculate the corresponding residuals. After then, a multivariate CUSUM chart is applied to monitor the residuals instead of the original raw observation data. Vector Auto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 are selected for the modelling, and Separated-MCUSUM chart is selected for the monitoring. The suggested methods are tested under a number of experimental settings and the performanc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existing methods. Results: We find that Artificial Neural Net is more appropriate than Vector Autoregression for the modelling and show the combination of Separated-MCUSUM with Artificial Neural Net outperforms the other alternatives considered in this paper. Conclusion: The suggested chart has many advantages. It can monitor the complicated multivariate data with cross- and auto- correlation, and detects the out-of-control state fast. Unlike other CUSUM charts finding their control limits by trial and error simulation, the suggested chart saves lots of time and effort by approximating its control limit mathematically. We expect that the suggested chart performs not only effectively but also efficiently for monitoring the process with complicated correlations and frequently-changed parameters.

웨이블릿방법을 이용한 조위편차 성분 분리 및 단주기 특성 분석 (Decomposition of Tidal Residual Data Using a Wavelet Method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ir Short-period Components)

  • 강주환;김양선;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65-171
    • /
    • 2013
  • 조차가 큰 해역에서 조위편차 역시 크게 나타나고 있음은 조위편차 내에 조석성분이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상관관계함수를 통한 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서해안 해역에서 조석주기 부근의 자기상관계수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조위편차의 단주기성분에 해당하는 이러한 조석관련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웨이블릿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조차가 클수록 조석주기성분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단주기 성분에서 계절별 변화가 심하지 않다는 점과 목포의 경우 천해조성분인 6시간 주기성분이 유독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단주기 성분과 조석관련성분의 관련성을 연관지을 수 있다. 이와 함께 24시간 이내 단주기 성분의 조위편차는 조석예측오차 및 조석-해일 비선형성 등에 주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조석변조해일성분은 조석자체에 기인하므로 기상조 성분인 해일고와는 구분되어야 한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서 선택적 계층간 차분 신호 부호화 및 공간적 향상 계층에서의 모드 결정 (Selective Inter-layer Residual Prediction Coding and Fast Mode Decision for Spatial Enhancement Layers in Scalable Video Coding)

  • 이범식;함상진;박창섭;박근수;김문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96-61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기의 복잡도 감소를 위해, 공간 계층간 잔차 신호 부호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향상 계층에서 모드를 고속으로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계층간 잔차 신호 부호화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서 공간 계층간 상관도를 이용하여 계층간의 두 잔차 신호에 대한 차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으로서 부호화 효율을 증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향상 계층의 모든 화면간 모드에 대해 율-왜곡 비용을 계산하기 때문에 부호화기의 복잡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제안 알고리듬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업샘플된 잔차 신호와, 하위 계층의 움직임 벡터, 참조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향상 계층에서 얻은 잔차 신호의 SAD값을 통해 정수 변환 계수의 특징을 미리 판별하여 계층간 잔차 신호 부호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이다. 제안 알고리듬에서는 계층간 잔차 영상의 차 신호에 대한 SAD값에 양자화 계수와 시간 계위에 따라 문턱치 값을 적응적으로 적용시키면서 SAD가 적응적으로 설정된 문턱치 보다 작을때는 잔차 블록에 대한 정수변환 계수가 매우 작다고 판단하여 그 블록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계층간 잔차 부호화를 수행하고 역시 공간적 향상 계층에서 $16{\times}16$블록에 대해서만 율-왜곡 최적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계층간 차분 신호에 대한 SAD값만으로 정수변환계수의 특성을 양자화 계수와 시간 계위에 따라 분류하여 고속의 부호화를 달성함으로써 SVC 부호화기의 복잡도 및 부호화 시간을 크게 감소 시켰다. 제안 알고리듬을 적용하면 다양한 특성을 갖는 영상에 대하여 부호화 시간을 원래의 SVC 참조 소프트웨어 대비 평균 51.5%의 부호화 속도를 향상하였음에도 이에 따른 PSNR의 감소는 평균 0.03dB, 비트율의 증가는 0.64%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았다.

A Statistical Control Chart for Process with Correlated Subgroups

  • Lee, Kwang-H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5권2호
    • /
    • pp.373-381
    • /
    • 1998
  • In this paper a new control chart which accounts for correlation between process subgroups will be proposed. We consider the case where the process fluctuations are autocorrelated by a stationary AR(1) time series and where n($\geq1$) items are sampled from the process at each sampling time. A simulation study is presented and shows that for correlated subgroups, the proposed control chart makes a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traditionally employed X-bar chart which ignores subgroup correlations. Finally, we illustrate the proposed chart by comparing the standardized residuals and X-bar chart on a data set of motor shaft diameters.

  • PDF

A Test for Autocorrelation in Dynamic Panel Data Models

  • Jung, Ho-Sung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7-173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n autocorrelation test that is applicable to dynamic panel data models with serially correlated errors. The residual-based GMM t-test is a significance test that is applied after estimating a dynamic model by using the instrumental variable(IV) method and is directly applicable to any other consistently estimated residuals. Monte Carlo simulations show that the t-test has considerably more power than the $m_2$ test or the Sargan test under both forms of serial correlation (i.e., AR(1) and MA(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