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 based preservativ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옥외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연구 동향 - 구리 기반 약제를 중심으로 - (Current Research Trends in Wood Preservative for Enhanced Durability : A Literature Review on Copper Based Preservatives)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12-2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CCA일몰 후,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국제적 연구 동향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가압용 약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최근의 구리 기반 약제의 형태는 수용성으로 ACQ나 CuAz 등의 구리 정착 개선 및 유효성분의 용탈 방지 등이 이슈화 되어 있으며, 미분화(micronized copper) 또는 나노 크기 입자를 이용한 유제형 약제 출현으로 이들의 목재 내 침투 및 정착 특성 연구 등에 대한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또한 CCA와 달리 현재의 alkyl ammonium quat. 또는 azol 약제 등의 경우에는 구리 내성균에 대해 항균성 감소가 많아 이에 대비한 co-biocide 개발이 심각하게 요구되고 있다.

두부비지 방부제의 방부효능 및 현미경적 분석 (Efficacy of Wood Preservatives Formulated with Okara and Its Microscopic Analysis)

  • 김호용;최인규;안세희;오세창;윤영호;양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45-254
    • /
    • 2009
  • 최근 환경오염 및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이 제한 받고 있는 목재방부제인 chromated copper arsenate (CCA) 그리고 CCA의 대체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Copper Azole (CuAz)과 alkaline Copper quaternary (ACQ)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폐기물인 두부비지, $CuSO_4$ 그리고/또는 Borax를 이용하여 조제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두부비지 목재방부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갈색부후균에 대한 방부효능을 조사하고, 그 방부제가 처리된 목재시편을 FE-SEM과 EDS를 이용하여 현미경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부비지 방부제로 처리한 목재시편은 Postia placenta와 Gloeophyllum trabeum에 대해 우수한 방부효능을 보였으며, 비지의 가수분해를 위해 사용된 산농도 및 온도의 증가, 그리고 Borax의 첨가는 방부효능을 향상시켰다. 두부비지 방부제로 처리된 시편의 현미경적 관찰을 통하여 비지 가수분해물과 구리의 반응을 통해 용탈과정 중에 용출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두부비지 방부제가 경제성과 환경적 측면에서 목재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표면전하밀도(表面電荷密度)를 이용(利用)한 동(銅)·크롬·비소계(砒素系) 방부방충제의 정착(定着)에 관(關)한 연구(硏究) (Evaluation of Copper-Chromium-Arsenic Preservatives Fixation on Wood by Measuring the Density of Surface Electric Charge)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24-30
    • /
    • 199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pose a method evaluating fix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Copper-Chromium-Arsenic preservatives treatment. Fixated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on wood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density of surface electric charge based on $\varsigma$ potential. Data accumulated from density of surface electric charge showed that the fixated amount of preservatives on wood increased linearly as concentration of treating solution increaced, which indicatied quantitative reactions in fixation of preservatives.

  • PDF

옥외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연구 동향 -비 구리계 약제를 중심으로- (Current Research Trends in Wood Preservatives for Enhancing Durability - A Literature Review on Non-Copper Wood Preservatives -)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87-2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목재보존제의 최근 국제적 동향 중, 비 구리계 약제를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의 목재보존제 연구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비 구리계 약제로는 환경친화적 수용성약제 성분의 대표적인 붕소계 화합물이 가장 많았고,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약제, 화학처리목재, pyrethroid계 방충제 등이 포함되었다. 인축 및 환경에 대한 사용안전성이 고려된 약제들이 주 연구대상이 되는 경향이 있었다. 붕소의 경우에는 옥외 사용 시 물에 대한 용탈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분자 등의 물질을 도입하여 정착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주요 이슈였다. 또한 의학 분야에서 많이 다루어지던 천연물질이 목재보존제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와 치수안정성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던 아세틸화 목재와 같은 화학수식목재에 대한 옥외 사용 시도가 눈에 띄게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두부비지를 이용한 목재 방부제의 사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Wood Preservatives Formulated with Okara)

  • 김호용;최인규;안세희;오세창;홍창영;민병철;양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10-123
    • /
    • 2008
  • 환경 오염 및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이 금지된 목재 방부제인 CCA를 대체하고 최근 CCA 대체방부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구리 아졸화합물계(CUAZ)과 구리 알킬암모늄계(ACQ) 방부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 폐기물인 두부비지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목재방부제를 제조하였다. 목재 내로 유효성분의 용이한 주입을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황산으로 두부비지를 가수분해하였으며, 가수분해된 비지를 $CuSO_4$, $CuCl_2$, Borax 등의 금속염과 반응시켜 최종적으로 목재 방부제를 조제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방부액은 감가압방법을 통해 목재내로 주입하였고 주입된 시편에 대한 용탈 실험을 실시하여 각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비교하였다. 비지의 산가수분해물의 이용과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일시적인 해리를 통해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주입되었으나 비지를 가수분해하기 위해 사용된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용탈량이 증가되었다. Borax의 첨가는 주입능과 용탈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주입능과 용탈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비지의 1% 산가수분해물에 금속염으로 $CuCl_2$를 사용하였을 경우 생산 비용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목재방부제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제조조건으로 생각되며 두부비지로 조제된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CuAz에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친화적인 목재 방부제로서 사용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Effect of Copper Retention on Copper Leaching in Wood Treated with Copper-based Preservatives

  • Ra, Jong-Bum;Kang, Sung-Mo;Kang, Shin-K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21-425
    • /
    • 2009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pper retention on copper leaching in wood treated with copper-based preservatives. Radiata pine (Pinus radiata D. Don) sapwood samples were ground in a Wiley mill equipped with a 20-mesh screen. The ground wood was vacuum-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lkaline copper quat (ACQ), bis-(N-cyclohexyl-diazeniumdioxy)-copper (CB-HDO), and copper azole (CUAZ). The treated samples were conditioned at $70^{\circ}C$ and 100% RH for 72 hours. The samples were leached by using the distilled water for four weeks, and the copper contents in each sample were measured by X-ray spectroscopy. As expected, the copper leaching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opper retention. The copper leaching from the ACQ and CB-HDO treated samples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opper retention: however, the copper losses from the CUAZ treated samples appeared to b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copper retention in all retention levels tes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t the conditions of the same copper retention ACQ and CB-HDO treated wood have a better leaching resistance compared to CUAZ treated wood.

두부(豆腐)비지 산(酸)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로 조제(調製)한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에서 산(酸) 농도(濃度)와 구리/붕소계(硼素系) 염(鹽) 첨가(添加)에 따른 방부능(防腐能)의 영향(影響) (Effects of Acid Concentration and the Addition of Copper/Boron Salts on the Efficacy of Okara-based Wood Preservatives)

  • 정한섭;김호용;안세희;최인규;오세창;한규성;양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5호
    • /
    • pp.52-62
    • /
    • 2009
  • 두부비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목재방부제를 조제하고, 두부비지 가수분해에 사용하는 산의 농도 및 염의 구성에 따른 방부능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부비지 방부제는 $25^{\circ}C$에서 1시간 동안 0, 1%, 그리고 2% 황산에 의해 가수분해된 두부비지와 염화구리 또는/그리고 붕산나트륨으로 조제되었고, 목재시편 내에 감가압법으로 주입하여 주입된 시편을 $70^{\circ}C$ 열수에서 72시간 동안의 용탈실험을 거친 후, 갈색부후균 Trametes palustris 및 백색부후균 Tyromyces versicolor에 대한 내후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두부비지를 가수분해한 산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방부제의 주입능과 내후성이 증가하였고, 용탈성은 감소하였다. 두부비지산 가수분해물/구리염 또는 두부비지 산 가수분해물/구리염/붕소염으로 처리된 목재시편은 T. palustris 및 T. versicolor에 대한 우수한 방부효능을 보였으나, 두부비지 산 가수분해물/붕소염 또는 두부비지가 포함되지 않은 방부제로 처리된 목재시편은 T. palustris에 의한 부후가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1% 황산에 의해 가수분해한 두부비지, 염화구리 그리고 붕산나트륨으로 조제한 목재방부제가 두부비지를 이용한 목재방부제 조제의 최적 조건으로 평가되었다.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Yellow Poplar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 김민지;최용석;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10-817
    • /
    • 2015
  • 본 연구는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ACQ-2, CUAZ-3, CuHDO-1 가압처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차적으로 백합나무 변재부와 심재부 시험편을 대상으로 처리용 목재 함수율이 방부제 처리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처리목재 내 정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합나무 변재부는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조사된 목재함수율 범위(50% 이하)에서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흡수량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백합나무 변재부의 방부제 보유량 경사를 조사한 결과,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제2011-04호에 제시된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평균 30% 이하)을 만족할 경우 재면으로부터 15 mm 깊이까지에서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재의 흡수량 기준을 충족하였다. 백합나무 심재부는 처리도가 매우 불량하여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 조건 및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보유량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백합나무 변재 및 심재 시험편 공히 비건조 양생보다 건조 양생에서 구리의 정착속도가 빠르고 또한 최종 구리 정착율이 높았으며, 3주간 비건조 양생 후 구리 정착율이 90% 수준에 머물었으며 양생기간을 연장하더라도 정착율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크롬-구리 화합물계(化合物系)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의 정착(定着) 및 용탈특성(溶脫特性)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Chromium and Copper-Containing Waterborne Wood Preservatives for Fixing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 라종범;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66-72
    • /
    • 1995
  • The rate of fixation of the components were evaluated in CCA-Type B and CCFZ-treated radiata pine sapwood by quantitative analysis of solution expressed from the treated wood.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radiata pine blocks treated with CCA-Type B and CCFZ were also evaluated by the AWPA standard leaching test. Both fixation and leaching charactersistics of CCA-Type B were compared with CCA-Type C treated wood samples. The rate of CCA-Type B fixation was a little faster than that of CCFZ. However, significant amounts of arsenic was unfixed in the CCA-Type B treated samples and consequently leached. These significant quantities of arsenic liberated from the CCA-Type B treated wood during service may pose some environmental concerns. Arsenic was no longer detectable from CCA-Type C treated samples when fixation was complete, even though the fixation of CCA-Type C was slower in some degree than CCA-Type B. In summary, it could be said that CCFZ was much safer preservative than CCA-Type B by the criterion based on the relative hazard assessed by absolute amount of unfixed element present in the treated wood. Also the decision that CCA preservative has to move from Type B to Type C should be made sooner or later for continuous use of CCA preservative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