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olling factor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26초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 효소 저해와 식후 고혈당 완화 효과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Lowers Postprandial Hyperglycemia by Inhibiting Carbohydrate-digesting Enzymes)

  • 박재은;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1-428
    • /
    • 2018
  • 식후고혈당은 제 2형 당뇨병의 발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미세혈관 및 대혈관 질환 등의 당뇨병 합병증 유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식후고혈당을 조절하는 것이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식후고혈당은 소장에서 ${\alpha}$-글루코시다아제와 같은 탄수화물 소화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PEE)과 물 추출물(PWE)이 탄수화물 소화 효소를 저해하고, 당뇨병 마우스에서 식후 고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alpha}$-글루코시다아제와 ${\alpha}$-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효과는 두 추출물 모두 양성대조군인 acarbose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PEE에 의한 ${\alpha}$-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효과가 PWE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Diabetic mice에 전분(2 g/kg)을 투여한 후의 혈당 증가는 30, 60, 120분에 각각 383.7, 429.3, 360.2 mg/dL로 나타났고, 전분(2 g/kg)과 PEE 또는 PWE 추출물(300 mg/Kg)을 투여한 후의 혈당 증가는 30, 60, 120분에 각각 337.0, 368.5, 290.1 mg/dL과 365.8, 379.2, 324.3 mg/dL로 나타나, PEE 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식후 혈당 강하가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쇠비름 추출물이 탄수화물 소화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식후 고혈당을 완화시키고, 특히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PEE)이 쇠비름 물 추출물(PWE) 보다 식후 고혈당을 완화시키는데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드러운 계조 변화를 위한 잉크 분포 조절 기반의 멀티토닝 방법 (Multitoning Method Based on Arrangement of Ink Distribution for Smooth Tone Transition)

  • 박태용;박기현;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17-25
    • /
    • 2007
  • 멀티레벨 잉크젯 프린터는 다양한 도트 크기 및 다른 농도를 가진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색재현과 부드러운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멀티토닝 기법에 관한 많은 연구 노력들이 더 나은 영상 화질을 위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멀티토닝은 프린터가 출력할 수 있는 레벨에서 일정 구간 같은 잉크가 찍히는 banding artifact가 발생한다. 이는 특히 부드러운 계조 변화 영역에서 불연속성이나 시각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banding artifact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임계값 배율 조정함수를 이용하여 프린터 출력 레벨에서 이웃 출력 잉크의 혼합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잉크 분포를 조절하는 멀티토닝 방법을 제안한다. Banding artifact가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잉크 분포는 이웃 출력 잉크의 혼합 시점을 조절하는 임계값 배율 조정 함수의 두 인자에 의해 달라진다. 따라서 8명의 관찰자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인자 값에 대한 프린터 출력 레벨에서의 잉크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특정 인자 값을 가진 임계값 배율 조정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계조 변화를 표현할 수 있었다. 실험에서는 제안한 방법을 칼라와 회색조 ramp 영상에 적용하여 banding artifact 감소와 색재현성에서의 더 나은 성능을 확인하였다.

국내 딸기 시들음병균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유전적 다양성, 병원성과 살균제 반응 (Genetic Diversity, Pathogenicity, and Fungicide Response of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solated from Strawberry Plants in Korea)

  • 남명현;김현숙;박명수;민지영;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79-87
    • /
    • 2020
  •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Fof) 에 의한 딸기 시들음병은 국내 딸기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병해 중 하나이다. 국내 발생하는 Fof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들음병균의 유전적 다양성, 병원성과 살균제 반응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Fo080701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Fof 특이적 primer에 증폭되었다. 분리균의 nuclear ribosomal intergenic spacer region과 EF-1α sequences 분석 결과 3개의 lineage를 형성하였다. 대부분의 분리균은 lineage 1에 속하였으며 lineage 3에 3개 균주와 lineage 2에 1개 균주가 포함되었다. 분리된 모든 균주는 설향품종에 병원성을 보였다. Prochloraz는 DNA lineage 2에 속하는 Fo080701균주를 제외하곤 시들음병균의 EC50값이 0.02-0.1 ㎍/ml로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다. Metconazole의 EC50값도 0.04-0.22 ㎍/ml로 prochloraz와 비슷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Pyraclostrobin의 EC50값은 0.23-168.01 ㎍/ml로 균주에 따라 차이가 컸다. 딸기 재배포장에서 boscalid+fludioxonil, fluxapyroxad+pyraclostrobin, prochloraz manganese이 딸기 시들음병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이매패류 3종의 크기 및 수온에 따른 여수율과 노닐페놀 흡수율의 관계 (Relationship of the Clearance Rate and Nonylphenol Uptake Rate of Three Bivalve Species with Different Size Classes and Temperatures)

  • 양송이;이종현;이병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2호
    • /
    • pp.80-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크기집단의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재첩(Corbicula japonica), 홍합(Mytilus edulis)을 세 개의 수온 조건(5, 13 그리고 $18^{\circ}C$)에서 용존 노닐페놀에 노출시킴으로써 개체 크기와 수온 변화가 여수율과 용존 노닐페놀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이매패류의 여수율과 유기화합물질 흡수과정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위무게당 여수율($CR_{wt}$)은 모든 개체 크기와 온도 범위에서 홍합(0.3-4.9 L $g^{-1}\;h^{-1}$)이 가장 높았으며, 재첩(0.44-1.98 L $g^{-1}\;h^{-1}$), 바지락(0.08-0.6 L $g^{-1}\;h^{-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단위무게당 노닐페놀의 흡수율은 종 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위무게당 여수율과 노닐페놀 흡수율은 일반적으로 개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 종 모두에서 노닐페놀 흡수율은 여수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노닐페놀 흡수율은 같은 여수율 범위에서 홍합, 재첩, 바지락 순으로 증가하였다. 여수율과 노닐페놀 흡수율의 높은 상관관계로부터 여수율이 이매패류의 용존 유기화합물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 근해 대형트롤 어선의 갑판 레이아웃 차이에 따른 어로작업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ishing operation with the difference of deck layout of Korean coastal large trawler)

  • 김민선;강경미;이주희;신현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3호
    • /
    • pp.311-326
    • /
    • 2013
  • For providing a basic data concerning with a fishing deck layout design of a trawler the authors conducted the video observations about the working activities of crews on the deck in the different layout of two Korean coastal large stern trawlers (gross tonnage: 139). The winch of the trawler-A was installed on the aft of the fishing deck and the trawler-B, on the forward of the fishing deck. The work and activities of the deck hands on both trawlers were observed using the CCD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installed on each trawler's deck for one month from August 3, 2010. The video data was analyzed by the hierarchical task analysis (HTA) method. In results, numbers of tasks to require deck hands during the hauling net and the casting net were 25 and 28 for the trawler-A and 27 and 48 for the trawler-B, respectively. The working processes were represented a same in both of the trawlers. Location for controlling the deck machineries, the location installed trawl winch, kinds of deck machineries, crew's custom for using deck machineries were the factor affecting to the number of the task. In the case of the improvement suggested in the results is carried out, the reduction percentages of the number of task in the trawler-A and trawler-B were estimated as 24.5% and 51.3%,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is possible for the work processes, work methods and the work contents in the trawler. Also the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fishing deck layout design of the trawler was possible by finding out the factors increasing the number of tasks and removing the tasks.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used as a basic data for designing the layout of deck machineries in the trawler in the future.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of the Disabled Workers owing to Industrial Injury in Korea)

  • 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171-193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대 들어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를 살펴보고,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산재보험 재활서비스 체계의 강화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1996년과 1997년 산재보험 장해보상금 종결자 중 신규장해판정자 1,060명이며 조사방법을 전화면접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율은 자영업을 합쳐 약 28.6%로 전체 응답자의 약 1/3에도 못미치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신체적 손실을 나타내는 장해등급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능력정도 역시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재취업에 있어 신체적 손상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재활공학서비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셋째, 재취업에 있어 신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는 시기나 자신의 장애를 인식하는 점도 등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재취업에 있어 사회심리적 재활프로그램의 필요성울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여부는 재취업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비효과성 측면과 더불어 직업재활프로그램의 저조한 참여에서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우선적으로 현재의 산재보험에서 투자하는 재활사업비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재활공학서비스의 연구개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현재의 산재보험 직업재활훈련체계를 재정립하고 프로그램 개발하는 등의 노력과, 사회심리재활서비스의 산재보험 수가화를 통한 확대, 개별상담원 도입 등의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PDF

B-스플라인 텐션 곡선을 이용한 음악 편곡 (Harmony Arrangements using B-Spline Tension Curves)

  • 유민준;이인권;권대현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6
  • 음악을 들을 때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긴장감을 뜻하는 텐션(tension)은 조성음악의 기본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곡의 텐션의 움직임을 B-스플라인 곡선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 곡선을 수정하여 음악의 긴장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우리는 음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코드들의 긴장도를 측정하는 방법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 번째는 러달이 제시한 5도권 기반의 코드 거리 측정방식을 개량한 것이며, 두 번째는 츄가 제시한 나선형 모델의 거리 측정 방식을 응용한 것이며, 세 번째는 크럼한슬이 제시한 특정한 조성에서 각 구성 음들의 안정도와 구성 음들 사이의 음정의 조화성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 방법들을 이용하여 우리는 음악이 지니고 있는 긴장도를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B-스플라인 곡선을 이용하여 전체 곡의 텐션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B-스플라인 곡선으로 표현된 텐션 곡선은 수정이 가해져 원곡의 긴장도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곡 전체의 긴장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과 최적화를 이용하여 특정 부분의 긴장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원본 코드 진행에서 목표 코드 진행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텐션의 움직임을 만드는 방법과, 임의의 두 곡이 부드러운 텐션의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B-스플라인 곡선을 통하여 새로운 코드 진행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B-스플라인 곡선이라는 수치적인 형태를 이용하여 음악의 긴장도라는 인지적인 요소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 제안하는 여러 방법들은 모두 실시간에 계산이 가능하므로 게임 같은 인터렉티브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감정과 시나리오에 따라 배경음악의 긴장도를 동적으로 변환시키는 것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에 응용될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Water Deprivation on Cerebrospinal Fluid Constituents During Feeding in Sheep

  • Sunagawa, Katsunori;Weisinger, Richard S.;McKinley, Michael J.;Purcell, Brett S.;Thomson, Craig;Burns, Peta 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67-473
    • /
    • 2001
  • The internal humoral factors in the central regulation of dry feed intake during water deprivation in sheep were investigated by measurement of cerebrospinal fluid (CSF) constituents. Five animals were fed dried alfalfa chaff for 2 hours once a day. Sheep in the water deprivation treatment were deprived of water for 28 hours, while the sheep in the control treatment were given free access to water. During the first hour of the 2 hour feeding period, a rapid reduction in blood volume occured in both treatments (water deprivation and free access to water). The CSF concentrations of Na, Cl and osmolality during the second hour of the 2 hour feeding period in both treatments were greater (p<0.01) than those during the first hour. The drinking behaviors in sheep were concentrated during the second hour of the 2 hour feeding period in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Water intake during feeding in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was 1110 ml/2 h. The levels of increase in CSF osmolality with feeding during water deprivation were greater (p<0.01) than during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The changes in CSF osmolality with feeding during water deprivation produced more vigorous thirst sensations in the brain compared to during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The eating rates for the first hour of the allotted 2 hour feeding period were the same under both treatments. However, the eating rates for the second hour during water deprivation period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compared to those during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The decreased eating rates for the second hour during water deprivation may be due to the vigorous thirst sensations produced in the brai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CSF osmolality with feeding during water deprivation acts as a thirst and satiety factor in brain mechanisms controlling feeding to decrease dry feed intake in water-deprived sheep.

Pin1 Promoter rs2233678 and rs2233679 Polymorphisms in Cancer: A Meta-analysis

  • Zhu, Yan-Mei;Liu, Jing-Wei;Xu, Qian;Yuan, Y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965-5972
    • /
    • 2013
  • PIN1 is one member of the parvulin PPIase family. By controlling Pro-directed phosphorylation, PIN1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 transformation and oncogenesis. There are many polymorphisms in the PIN1 gene, including rs2233678 and rs2233679 affecting the PIN1 promoter. Recently, a number of case-control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IN1 gene rs2233678 and rs2233679 polymorphism and cancer risk. However, published data are still conflicting. In this paper, we summarized data for 5,427 cancer cases and 5,469 controls from 9 studies and attempted to assess the susceptibility of PIN1 gene polymorphism to cancers by a synthetic meta-analysis.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estima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tata software. Our results suggested that rs2233678 represented a protective factor in overall analysis (CC vs GG: OR= 0.697, 95%CI: 0.498-0.976; CG vs GG: OR=0.701, 95%CI: 0.572-0.858; Dominant model: OR= 0.707, 95%CI: 0.590-0.847; C allele vs G allele: OR=0.734, 95%CI: 0.623-0.867) and especiall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lung cancer and breast cancer in Asians and Caucasians. The rs2233679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creased cancer risk in overall analysis (CT vs CC: OR=0.893, 95%CI=0.812-0.981; Dominant model: OR=0.893, 95%CI=0.816-0.976; T allele vs C allele; OR=0.947, 95%CI=0.896-1.000) and especially in Asians. In conclusion, our meta-analysis suggested that -842G>C (rs2233678) and -667C>T (rs2233679) may contribute to genetic susceptibility for cancer risks. Further prospective research with larger numbers of worldwide participants is warranted to draw comprehensive and firm conclusions.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Temporal-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and Their Controlling Factor)

  • 임동일;노경찬;장풍국;강선미;정회수;정래홍;이원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35-153
    • /
    • 2007
  • Temporal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s and variations of various physico-chemical factors (salinity, temperature, pH, DO, COD, SPM, POC, silicate, DIP, DIN) in surface and bottom waters were studied in the coastal environment with typical macro-tidal range and monsoonal weather conditio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Spac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se factors were generally similar to each other, and appeared to be inver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alinity, suggesting that water quality of the study area was primarily controlled by the physical mixing process of Han-River freshwater with nearby coastal seawater. During flooding season, silicate- and nitrogen-rich Han River water directly flowed into offshore as far as $20\sim30\;km$ from the river mouth, probably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eutrophication and unusual and/or noxious algal bloom, etc. Except the surface water during summer flooding season,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ppeared generally in dry season, whereas low values in spring, possibly because of the occurrence of spring phytoplankton bloom. On the other hand, nutrient flux through the estuary seems to be primarily depending on river discharge, sewage discharge and agricultural activities, especially during the rainy season. Also, nutrients in this coastal waters are considered to be supplied from the sediments of tidal-flats, which developed extensively around the Han-River mouth, especially during fall and winter of dry and low discharge seasons, possibly due to the stirring of tidal flat sediments with highly enriched pore-water nutrients by storm. And also, COD and DIN concentrations in the study area consistently increased during the last 20 years, probably because of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ncreasing discharge of industrial and domestic was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