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ques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23초

초고층주거건축의 가구공사 프로세스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Process of Furniture Work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 김현우;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46-449
    • /
    • 2003
  • 우리나라의 최근의 건설공사의 형태를 보면 초고층 아파트, 대형 주상복합 건물 등 대형주거용 건축물들이 등장하고 입다. 이러한 건설공사의 대형차 추세에 따라 공사기간, 공사비용 등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약하고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건설관리 기법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건축의 마감공사 중에서 공사규모, 자재의 양중 측면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구공사의 관리체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적시생산(Just-In-Time)방식과 린건설(Lean Construction)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위의 두 가기 원리를 이용하여 가구공사의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과 개선방안의 제시는 마감공사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공사기간 및 공사 비용을 절약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The Application of Fuzzy Logic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and Component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Wang, Bohan;Yang, Jin;Tan, Adrian;Tan, Fabian Hadipriono;Parke, Michael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8권4호
    • /
    • pp.1-24
    • /
    • 2018
  • In the last decade, the us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s a new technology has been applied with traditional Computer-aided design implementations in an increasing number of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projects and applications. Its employment alongside construction management, can be a valuable tool in helping move these activities and projects forward in a more efficient and time-effective manner. The traditional stakeholders, i.e., Owner, A/E and the Contractor are involved in this BIM system that is used in almost every activity of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design, cost estimate and scheduling. This article extracts major features of the application of BIM from perspective of participating BIM components, along with the different phrases, and applies to them a logistic analysis using a fuzzy performance tree, quantifying these phrases to judge the effectiveness of the BIM techniques employed. That is to say, these fuzzy performance trees with fuzzy logic concepts can properly translate the linguistic rating into numeric expressions, and are thus employed in evaluating the influence of BIM applications as a mathematical process. The rotational fuzzy models are used to represent the membership functions of the performance values and their corresponding weights. Illustrations of the use of this fuzzy BIM performance tree are presented in the study for the uninitiated users. The results of these processes are an evaluation of BIM project performance as highly positive. The quantification of the performance ratings for the individual factors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is assessment, capable of parsing vernacular language into numerical data for a more accurate and precise use in performance analysis. It is hoped that fuzzy performance trees and fuzzy set analysis can be used as a tool for the quality and risk analysis for other construction techniques in the future. Baldwin's rotational models are used to represent the membership functions of the fuzzy sets. Three scenarios are presented using fuzzy MEAN, AND and OR gates from the lowest to intermediate levels of the tree, and fuzzy SUM gate to relate the intermediate level to the top component of the tree, i.e., BIM application final performance. The use of fuzzy MEAN for lower levels and fuzzy SUM gates to reach the top level suggests the most realistic and accurate results. The methodology (fuzzy performance tree) described in this paper is appropriate to implement in today's construction industry when limited objective data is presented and it is heavily relied on experts' subjective judgment.

해외 선진국 사례와 IPA 기법을 이용한 건축공사 주요 안전관리 업무의 재해 예방효과 분석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ical Safety Management Tasks and Their Effects for Preventing Construction Accidents using IPA Method)

  • 정대교;서영준;신상욱;김대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77-86
    • /
    • 2022
  •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근로자의 생명을 앗아가는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정부차원에서 산업재해 감소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건설현장에서 재해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안전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현행 건설업 안전관리에 있어 안전관리자가 담당하는 업무량이 과도하게 많고, 효율적이지 못한 업무들로 인해 직무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업무내용의 개선 및 간소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안전관리자 안전관리 단계의 업무들을 난이도와 예방효과에 대해 전문가 의견과 설문조사를 통해 2×2 Matrix 분석 기법을 활용해 비효율적인 업무의 간략화 및 개선이 필요한 업무들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모듈러 공법 기반 강교 공급사슬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el for Supply Chain Management of Modular Construction based Steel Bridge)

  • 이재일;정은지;김시남;정근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1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공법 기반 강교 건설공사에 대해 공급사슬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우선 강교 건설에 대한 공장 제작/현장 시공 체계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공급사슬, 개체, 자원, 공정 등을 정의하였다. 이후, Aren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플로차트, 애니메이션 모듈을 작성함으로써 강교 공급사슬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모형의 논리성 검증과 유효성 확인을 위한 애니메이션 검증, 극한 조건 검증, 평균값 확인, 리틀의 법칙 확인, 사례 실적값 확인 등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개발된 시뮬레이션 모형은 논리적 오류 없이 강교 공급사슬의 공정과 특성을 적합하게 표현하며, 분석 대상 공급사슬에 대한 정확한 성능평가척도 예측치를 제공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모형은 강교 공급사슬 체계를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관리기법을 개발함에 있어 성능 평가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건설 공정계획 자동화와 시각화를 위한 가산 그리드 공정계획 기법(CSM)과 CSM기반 소프트로직 알고리즘 개발 연구 (Countable-grid Scheduling Method (CSM) and CSM-based Soft-logic Algorithm Development for Automated Construction Scheduling and Visualization)

  • 최흥순;문성현;지석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65-77
    • /
    • 2022
  • 공정관리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 성공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공정계획 기법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상당한 수작업과 관리자의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속한 공정계획과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공정계획을 자동화하고 시각화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계획 기법과 알고리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가산 그리드 공정계획 기법(CSM)이라고 한다. 이 기법은 시각화된 도구를 통해 작업 범위를 정의하면 각 작업의 생산성과 작업 가능 조건에 따라 일정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날짜별 작업의 위치를 그리드 기반 접근방식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일정은 진행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건설프로젝트의 샘플 데이터를 가지고 사례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공정관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건설 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 깃으로 기대한다.

건설산업의 안전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안전보건 관리비 적정요율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xpense Rate by Safety Environment Change in Construction Industry)

  • 오세욱;김영석;최승호;최진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7-107
    • /
    • 2013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라 함은 발주자로 하여금 공사종류 및 규모에 따라 일정금액을 도급금액에 별도로 책정토록 하여 건설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미연에 예방코자 사용되는 금액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전관리비는 1988년 2월 고용노동부고시로 제정되었고 이를 근거로 기획재정부"계약예규"'예정가격 작성기준'이 마련되어 건설공사공사 원가계산 제비율 적용기준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서 공사종류별 및 대상 금액별 요율이 차등 책정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에 대한 관리기술의 발전 및 건설현장 여건변화, 비용에 대한 감가삼각, 안전보건관리기술 발전 및 관련 정책변화 등 건설업이 대내 외적으로 다양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안전관리비 요율 책정은 1988년 고용노동부 고시로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변경 없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고용노동부 고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실태에 대한 현황 조사 및 설문분석을 통해 현(現) 건설현장 안전관리 실태에 부합되는 산업안전관리비 적정 요율을 공사종류 및 대상액별로 제안하는 것이다. 건설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적정 산업안전관리비의 산정 및 사용은 건설 안전관리 분야의 업무 효율성 제고는 물론 궁극적으로는 건설공사의 안전사고 비율 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 공정계획을 위한 주기적 버퍼 설치에 관한 고찰 (A Study on Periodic Buffer Allocation for Program Master Schedule)

  • 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81-87
    • /
    • 2001
  • 동적 변화가 상존하는 건설환경에서, 보수·리모델링 프로그램의 관리자는 자원하의 복수 프로젝트를 조정·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프로그램에 내재하는 불확실성과 상호종속성으로 인해, 단위작업의 지연과 그로 인한 연쇄적인 공정계획의 동요는 프로그램 전체의 안정성과 관리가능성을 저해한다. 본 논문은 먼저 건설관리에 적용되었던 생산관리기법들이 프로그램관리에 적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 후, 프로그램 내부의 자원유동의 흐름에 주기적으로 버퍼를 설치하는 공정 안정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비교실험으로 제안된 버퍼 관리모델의 성능을 프로그램의 생산성, 유연성, 그리고 안정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PDF

Cradle to Gate Emissions Modeling for Scheduling of Construction Projects

  • Sharma, Achintyamugdha;Deka, Priyanka;Jois, Goutam;Jois, Umesh;Tang, Pei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75-983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an innovative way of integrating scheduling and project controls with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 construction project to track, monitor, and manage environmental emissions at the activity level. As a starting point, scheduling and project controls help monitor the status of a project to provide an assessment of the duration and sequence of activities. Additionally, project schedules can also reflect resource allocation and costs associated with various phases of a construction project. Owners, contractors and construction managers closely monitor tasks or activities on the critical path(s) and/or longest path(s) calculated through network based scheduling techniques. However, existing industry practices do not take into account environmental impact associated with each activity during the life cycle of a project. Although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 project may be tracked in various ways, that tracking is not tied to the project schedule and, as such, generally is not updated when schedules are revised. In this research, a Cradle to Gate approach is used to estimate environmental emissions associated with each activity of a sample project schedule. The research group has also investigated the potential determination of scenarios of lowest environmental emissions, just as project managers currently determine scenarios with lowest cost or time. This methodology can be scaled up for future work to develop a library of unit emissions associated with commonly used construction materials and equipment. This will be helpful for project owners, contractors, and construction managers to monitor, manage, and reduce the carbon footprint associated with various projects.

  • PDF

Low Impact Urban Development For Climate Change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 Lee, Jung-Min;Jin, Kyu-Nam;Sim, Young-Jong;Kim, Hyo-Ji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4-55
    • /
    • 2015
  • Increase of impervious areas due to expansion of housing area, commercial and business building of urban is resulting in property change of stormwater runoff. Also, rapid urbanization and heavy rain due to climate change lead to urban flood and debris flow damage. In 2010 and 2011, Seoul had experienced shocking flooding damages by heavy rain. All these have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applying LID and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as a means of urban hydrologic cycle restoration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such as flooding and so on. Urban development is a cause of expansion of impervious area. It reduces infiltration of rain water and may increase runoff volume from storms. Low Impact Development (LID) methods is to mimic the predevelopment site hydrology by using site design techniques that store, infiltrate, evaporate, detain runoff, and reduction flooding. Use of these techniques helps to reduce off-site runoff and ensure adequate groundwater recharge. The contents of this paper include a hydrologic analysis on a site and an evaluation of flooding reduction effect of LID practice facilities planned on the site. The region of this Case study is LID Rainwater Management Demonstration District in A-new town and P-new town, Korea. LID Practice facilities were designed on the area of rainwater management demonstration district in new town. We performed analysis of reduction effect about flood discharge. SWMM5 has been developed as a model to analyze the hydrologic impacts of LID facilities. For this study, we used weather data for around 38 years from January 1973 to August 2014 collected from the new town City Observatory near the district. Using the weather data, we performed continuous simulation of urban runoff in order to analyze impacts on the Stream from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ct and the installation of LID facilities. This is a new approach to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end-of-pipe type management system. We suggest that LID should be discussed as a efficient method of urban disasters and climate change control in future land use, sewer and stormwater management planning.

  • PDF

2차원 CAD 건설도면과 공간DB 갱신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Using 2D CAD and Spatial Database Update Techniques)

  • 고원근;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70-673
    • /
    • 2008
  • 본 연구는 시설물의 2D 건설도면과 공간 DB 갱신기술을 활용하여 시설물 유지관리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유지관리 시스템 운영 및 업무 수행시에는 시설물 건설도면 정보의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 시설물 관리주체에서 운영 중인 유지관리 시스템 조사 분석을 통해 시설물 유지 보수에 대한 이력과 유지관리 시 얻어진 시설물 건설도면 정보의 DB 갱신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과 시설물 내 외부 위치정보의 부재에 대한 유지관리 업무의 효율성 저하 등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시설물 2D 건설도면과 공간 DB 갱신 기술을 활용한 유지관리 이력 및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와 시설물 위치정보 제공을 통한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