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ition factor (k)

검색결과 2,646건 처리시간 0.037초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촬영 목적 부위와 주변 결정장기에 대한 피폭선량 평가: 선량 권고량 중심으로 (Evaluation of Radiation Exposure Dose for Examination Purposes other than the Critical Organ from Computed Tomography: A base on the Dose Reference Level (DRL))

  • 이서영;김경리;하혜경;임인철;이재승;박형후;곽병준;유윤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1-129
    • /
    • 2013
  • 최근 다중검출기 CT의 보편화 된 사용으로 환자의 피폭선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이용해 촬영 목적 부위와 주변 결정장기에 대한 환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생물학적 효과를 예측하여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CRP에서 권고한 표준안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인체 모형 표준 팬텀에 교정상수를 부여받은 OSD 선량계를 측정하고자 하는 좌 우 수정체, 갑상선, 촬영의 중심점, 생식선에 부착하여 각 검사 부위별 노출 조건과 동일한 상태에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모사하였다. OSL 선량계의 평균 교정상수는 $1.0058{\pm}0.0074$이었으며 검사 부위별 주변 결정장기의 등가선량은 좌 우측 수정체의 경우 직접 피폭이 약 50mGy로 최대였으며 간접 피폭되는 경우 0.24mGy, 원거리에서는 0.005mGy미만의 기준 준위 이하로 측정되었다. 갑상선의 경우 두부 검사에서 10.89mGy로 최대였으며 흉부에서 7.75mGy, 복부 및 요추부, 골반부에서는 기준 미만이었다. 생식선의 경우 골반검사에서 21.98mGy로 최대였으며 간접 피폭되는 검사에서 기준 준위 미만에서 6.92mGy까지 피폭되었다. CT 검사에서 DRL에 대한 저감화 방법은 국제기구에서 권고하고 있는 방사선 방어 원칙에 대한 정당한 해석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당성을 충족하여야 하며 환자의 피폭선량에 미치는 영향들을 체계화하고 조직의 불필요한 피폭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계화도조개 (Potamocorbula amurensi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Potamocorbula amurensis (Bivalvia: Corbulidae))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29-636
    • /
    • 1999
  • 1996년 1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전북 부안군 문포 앞바다의 갯벌에서 채집된 계화도조개, p. amurensis를 재료로하여, 그들의 생식소발달과정, 생식세포형성과정, 생식주기, 난경의 월별변화, 비만도 및 군성숙도 둥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계화도조개는 자웅이체이며 난생이다.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낭에는 간충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된다. 분열증식 중인 초기 활성기의 난원세포는 $9\~12\mu$m로서 6$\mu$m 내외의 크고 뚜켠한 핵과 호염기성 단일 인을 가지고 있었다. 직경 $30\~32\mu$m로 성장한 난모세포는 난병을 소낭벽에 부착한 채 소낭의 내강을 향해 긴 타원형으로 성장하였다. 난모세포가 $43\~45\mu$m로 성장하면 소낭벽으로부터 유리되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m이었다. 정자형성소낭의 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완숙정자 순으로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되었다. 생식소의 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난경의 월별변화,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산란기 및 회복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산란기는 5$\~$7월과 9$\~$10월 사이이며, 주산란은 수온이 $18^{\circ}C$ 이상인 5$\~$6 및 10월에 2차례 일어났다. 비만도지수의 월별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군성숙도가 $50\%$를 넘는 개체는 암, 수 모두 각장 8.1$\~$10.0 mm인 개체들로 조사되었다. 생식세포형성은 두 가지 방법 즉 1. 산란 후, 생식세포형성소낭내에 잔존하던 미방출란과 미방출정자는 퇴화, 흡수되지만 기존의 소낭은 크게 위축되지 않고, 2$\~$3개월 동안 (특히 여름)에 곧 회복되면서 새로운 생식세포형성에 참가하는 방법, 2. 산란 후 기존의 각 소낭은 위축되고 새로운 소낭의 형성과 더불어 새로운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과도한 치관높이 공간을 가진 환자에서 유지관리를 고려한 임플란트 수복증례 (Implant restoration considering maintenance for a patient with excessive crown height space)

  • 마주리;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7-112
    • /
    • 2013
  • 치관높이 공간이 과도할 경우 임플란트 몸체 혹은 구성물의 실패와 같은 고정성 보철물의 생역학적 합병증이 증가하며 치관 높이 공간이 12 mm 이상으로 과도한 경우는 고정성 보철물 선택에 유의하여야 한다.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 시 치아들이 길어지므로 심미적 부위에서는 치은 색조를 띠는 재료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유지와 위생 관리가 적절하지 못하게 형성된 고정성 보철물은 음식물, 치태, 치석을 정체시키고 염증과 감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만성 염증과 감염으로 인해 외과적인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 과도한 치관높이 공간을 가진 환자에게 발음 및 심미성을 고려하여 보철물 제작 후 보철물 주위의 치은 염증 및 부종이 발생하였으며, 그 원인이 구강위생을 어렵게 하는 보철물의 디자인으로 판단되어 치간공극을 충분히 형성한 임시 보철물을 장착 후 2개월 동안의 관찰 기간을 거치며 특이할 만한 이상 소견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자가 위생 관리가 용이한 디자인으로 지르코니아 하부구조에 도재를 축성한 고정성 보철물로 구강회복을 시행하였으며, 일련의 치료과정을 통하여 부적절한 연조직 반응이 관찰 되지 않고 기능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 잔디 생산과 재배 관리실태 (Sod Produ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Management in Korea)

  • 배은지;이광수;김동수;한은희;이상명;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95-99
    • /
    • 2013
  • 잔디 생산농가의 생산과 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과 2011년 57개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경영실태 분석 결과 주업과 겸업이 비슷한 비율로 진행되는 혼농형태의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규모별 소유형태는 0.5 ha 이상 규모에서 임차의 비율이 높았다. 잔디 생산 농가에서는 신품종, 시비와 토양 등의 집중관리, 병해충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매처 및 노동력 등의 문제로 인해 잔디산업의 미래에 대해서는 낙관적이지 못하였다. 잔디 재배의 정보는 이웃의 경험에 의존하는 농가가 81.8%로 가장 많았다. 품종 선호도 분석에서는 32.1%의 재배자들이 번식력이 우수한 품종에 가장 관심이 높았다. 잔디 재배농가는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금융지원(28.1%), 유통구조 개선(26.6%), 우수한 잔디품종 보급(23.4%) 등이었다.

환경변화에 따른 조류 발생 변화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on Environmental Changes)

  • 노성유;신유나;최희락;이재윤;이재안;류덕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3호
    • /
    • pp.278-286
    • /
    • 2015
  • 환경변화(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기작 및 이동특성 연구를 위해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낙동강 수계의 강정 고령보를 대상으로 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 및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는 조류배양의 효율성 및 조류성장 관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아크릴로 제작하였다(직경 1 m, 높이 4 m, 가변형 원통수조, 3 sets). 빛 차단장치, 수심별 유입장치, 재이용수 저류조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류 시간 조건은 2일(보설치 전, 실험조 1), 8일(보설치 후 2013년 체류 시간, 실험조 2), 30일(2014년 체류 시간, 실험조 3)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조별 수온은 실험조 1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조 3에서는 표층(0 m)과 저층(4 m) 간 약 $3^{\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용존산소(DO), pH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실험조에서 표층 0 m에서 저수심(2 m, 4 m)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TN, $PO_4-P$)는 모든 실험조에서 부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Chlorophyll-a 분석 결과 실험조 1은 평균 $19.8{\mu}g/L$, 실험조 2는 평균 $35.0{\mu}g/L$, 실험조 3은 평균 $36.6{\mu}g/L$로 실험조 1 보다 실험조 2, 3에서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환경 요인 중 체류 시간은 식물플랑크톤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물리.화학적 불균질 특성을 지닌 매질 내 오염운 이동시 보이는 종적률 변화 (Variations of Longitudinal Moments for a Contaminant Transport in Physically and Chemically Heterogeneous Media)

  • 서병민;정준오;김영우;황승민
    • 지질공학
    • /
    • 제19권1호
    • /
    • pp.81-88
    • /
    • 2009
  • 물리 화학적 불균질 특성을 가진 매질 중 K 임의장과 $K_d$ 임의장이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우, 매질 내 이송되는 오염운이 보이는 적률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등방매질 내 이송되는 비반응성 오염운에 대한 2차원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 시행되었다. 흡착성이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는 이차적률들을 관찰하기 위해 1, 2, 5의 지연요소가 설정되었다. 지연된 종이차공간적률, ${Z_{11}}^{'R}(t',l')$은 오염운의 이송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며 초기 오염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또한 지연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일차분석해에 의한 이론적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함을 보인다. 지연된 종오염운중심분산, ${Z_{11}}^{'R}(t',l')$은 초기오염원의 크기, $l_2'$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설정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는 아직 에르고딕 이송상태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지시해준다. 지연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여 오염운 중심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감소함을 보인다. 지연된 단일입자종이송분산, ${X_{11}}^{'R}(t')$은 세 가지 다른 등급의 지연요소에 대해서 모두 일차근사법에 의한 이론적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한다. 따라서 종방향의 지연된 이차적률들은 추계론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며, 일차근사법에 의한 분석해는 종방향의 지연된 적률들에 대해 상당히 정확한 근사값을 제공하고 있음을 결론지을 수 있다.

들기름의 품질변화에 대한 위생적 고찰 (Hygienic Consideration on the Quality Change of Perilla Oil)

  • 박건용;조성자;정보경;김태랑;이찬수;조남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5-190
    • /
    • 2005
  • 서울시내에 유통중인 들기름의 규격검사와 착유하는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품질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통중인 들기름을 검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 3년동안 320건을 검사하여 그 중 74건이 산가와 요오드가에서 부적합하였는데, 이는 전체의 $23.1\%$에 해당하는 높은 부적률이었으며 매년 부적률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었다. 들기름의 불포화도와 요오드가는 0.63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산가는 0.24 정도의 상관성이 측정되어 요오드가의 부적합은 산화의 요인에 의한 것으로 예측된다. 들기름의 변질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착유과정의 볶음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변질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들깨원료가 들기름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신선한 들깨의 선택이 들기름 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들기름은 전반적으로 변질의 우려가 높아 원료선택 및 유통관리 등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라식수술 후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ssessing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tisfaction after Receiving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 조우현;김지윤;최윤정;이종호;이제명;강혜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2호
    • /
    • pp.111-119
    • /
    • 2004
  • Purpose : To identify those factors influencing the post-operative satisfaction in myopia patients receiving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288 consecutive patients who received LASIK between July and December 2001 from two eye clinics located in Seoul and Pusan. Factors that were considered to influence post-operative satisfaction included pre-operative baseline characteristics, pre-operative expectation for treatment outcomes, and treatment outcomes. Before undergoing LASIK,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rate the degree of their expec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visual functions and symptoms after LASIK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where 1 referred to 'somewhat worse,' 2 to 'no change,' 3 to 'somewhat improved,' 4 to 'improved,' and 5 to 'very improv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baseline visual functions and symptoms on a 5-point scale before LASIK. At 6 months after LASIK, the evaluation was repeated to measure treatment outcomes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score before and after LASIK. Post-operative satisfaction was also measured at 6 months on a 5-point sca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ing factors and postoperative satisfaction. Results : A total of 171 patients (59.4%) participated in the 6-month follow-up investigation. The average expectation scores for the improvement in visual functions and symptoms were 3.8 and 3.4,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for the 7 questions assessing satisfaction was 4.0.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ost-operative satisfaction increased with improvement in the visual function ($\beta$=0.16, p<0.05) and symptoms ($\beta$=0.25, p<0.05), the degree of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 ($\beta$ =0.26-0.67, p<0.05) and in male patients ($\beta$=0.31, p<0.1). The pre-operative expectation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postoperative satisfaction in the regression model. Conclusion : The finding from this study was that patients with very severe myopia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than those with mild myopia, which implies that LASIK can be more beneficial to those suffering from a severe visual condition. Patient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reatment outcomes experienced after LASIK. This suggests that improving the clinical outcome is the most fundamental requirement for the improvement of patient satisfaction.

경기만 바지락양식장의 저질조성 서식밀도 및 바지락성장의 특성에 관한 보고 (Report on the sediment types, environmental parameters, density and biometr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yeonggi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최용석;허승;강희웅;한현섭;오해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7-273
    • /
    • 2010
  • 경기만 4개 지역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조성에 따른 바지락 서식밀도 및 형태적 특성에 대하여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저질조성에서 외리와 종현은 니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였으며, 백미리는 역질니토로 분급이 불량하였고, 내리는 니사질역으로 분급이 매우 불량하였다. 서식밀도는 저질조성과 상관없이 씨뿌림에 의하여 외리와 백미리에서 높았으며, 내리와 종현동에서 낮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저질조성에서 분급이 매우 불량한 내리와 분급은 양호하지만 먹이생물인 클로로 필-a가 높았던 외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3.2-27.0^{\circ}C$ 범위로 나타났으며, 염분은 21.7-33.3 %, 용존산소는 5.6-12.7 mg/l, pH는 7.36-8.82였다. 부유물질은 3.2-1,266.0 mg/l, 클로로필-a는 $0.3-36.1{\mu}g/l$로 나타났다. 각 조사지역의 연간 바지락 비만도 및 성장은 해수중의 클로로필 농도와 유관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바지락의 먹이와 관련이 잇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자 중 NDMA 생성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검색 (Screening of Effective Factor to Inhibition of NDMA Formation in Yuza (Citrus junos))

  • 신정혜;이준열;조희숙;이수정;정경희;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6-131
    • /
    • 2004
  • 유자추출물 및 유자주스와 유자주스의 유기산, ascorbate 및 phenolic 획분을 이용하여 nitrosamine(NA) 생성의 주요 전구물질인 아질산염의 소거능과 N-nitrosodimethylamine(NDM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H 1.2와 4.2의 반응계에서 아질산염 소거능과 NDMA 생성억제능은 시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계의 pH가 산성영역 일수록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 과육 및 과피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알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억제능은 과피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주스와 각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느은 pH 1.2에서 주스를 첨가한 경우에 92.2${\pm}$3.2~98.2${\pm}$3.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유기산 획분, phenolic 획분 및 ascorbate 획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자로부터 NDMA 생성억제에 주된 영향을 주는 물질은 유기산인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