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gienic Consideration on the Quality Change of Perilla Oil

들기름의 품질변화에 대한 위생적 고찰

  • Park Geon-yo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Cho Sung-ja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Jung Bo-kyu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Tea-ra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Lee Chan-so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Chough Nam-jo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박건용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조성자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정보경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태랑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이찬수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조남준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Perilla oil was measured on hygiene state and quality change for oil press condition. All sample .was commercially salted perilla oil, and was tested standard items. The result showed violative rate of $23.1\%$, and violative items were acid value and iodine value. Relationship between D.B.I. and iodine value was 0.78, so that unsuitability of iodine value should be caused of oxidation factor. But acid value was not relationship comparatively. The quality change appeared very small by roasting conditions, but quality of perilla seed gaye many influence on quality of oil. Therefore use of fresh perilla seed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quality of perilla oil. Perilla oil was demanded many attention on Quality management for stage and sold period because of high possibility of quality change.

서울시내에 유통중인 들기름의 규격검사와 착유하는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품질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통중인 들기름을 검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 3년동안 320건을 검사하여 그 중 74건이 산가와 요오드가에서 부적합하였는데, 이는 전체의 $23.1\%$에 해당하는 높은 부적률이었으며 매년 부적률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었다. 들기름의 불포화도와 요오드가는 0.63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산가는 0.24 정도의 상관성이 측정되어 요오드가의 부적합은 산화의 요인에 의한 것으로 예측된다. 들기름의 변질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착유과정의 볶음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변질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들깨원료가 들기름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신선한 들깨의 선택이 들기름 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들기름은 전반적으로 변질의 우려가 높아 원료선택 및 유통관리 등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은영, 강희정, 권정숙, 남영중, 서명자, 김정상: 들깨의 볶 음처리와 산가수분해에 의한 세포모델계 Quinone reductase 활성유도능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2), 186-192 (1997)
  2. 강희정, 김정상: 들깨의 생리활성. 식품산업과 영양, 3(2), 65-72 (1998)
  3. 박동숙, 이경임, 박건영 : 들깨의 식이 섬유소 함량분석과 들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5), 900-905 (2001)
  4. 여경목, 최홍식: 들깨유의 영양학적 특성과 산업적 이용. 식 품산업과 영양, 3(1), 30-36 (1998)
  5. 서화중: 들깨기름을 투여한 흰쥐의 혈액 지질량과 그 외 혈 액성분 변화 고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4), 703-709 (2001)
  6. 최면 : 불포화 지방산의 영양학적 중요성과 대사. 식품산업과 영양, 1(2), 5-9 (1996)
  7. 박현서, 최주선: 대장암 암화과정에서 불포화지방산의 기 능. 식품산업과 영양, 1(2), 10-18 (1996)
  8. 김영언, 김인환, 이영철: 볶음공정과 산화방지제가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9(2), 379-382 (1997)
  9. 김충기, 오현화, 권용주: 들깨와 땅콩의 혼합채유가 들기름 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 영양학회지, 28(6), 1212-1219 (1999)
  10. 정보영, 류수노, 허한순: 들깨유로부터 $\alpha$-Linolenic acid의 순수분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6), 1028-1032 (1997)
  11. Akoh, C.C.: Oxidative stability of fat substitutes and vegetable oils by the oxidative stability index method. J. Am. Oil Chem. Soc., 71(2), 211-216 (1994) https://doi.org/10.1007/BF02541558
  12. Mittelbach, M. and Schober, S.: The influence of antioxidant on the oxidation stability of biodiesel. J. Am. Oil Chem. Soc., 80(8), 817-823 (2003) https://doi.org/10.1007/s11746-003-0778-x
  13. 정보경, 박경애, 박건용, 김애경, 오영희, 김정헌, 배청호: 시 중 유통 참기름의 지방산조성 및 천연항산화제 함량분석.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보, 38, 134-144 (2002)
  14. Suzuki, R., Abe, M. and Miyashita, K.: Comparative study of the autoxidation of TAG containing conjugated and nonconjugated C18 PUFA. J. Am. Oil Chem. Soc., 81(6), 563-569 (2004) https://doi.org/10.1007/s11746-006-0942-3
  15. 김인환, 김영언, 정숙영, 이영철, 조재선: 들깨의 볶음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산화안정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추계학술 발표대회, 28(4), 111 (1995)
  16. 신경아, 고영수, 이영철: 볶음시간에 따른 들기름 메탄올 추 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0(5), 1045-1050 (1998)
  17. 이은정, 양재승: 감마선 조사된 참깨, 들깨의 조사선량과 저 장기간에 따른 free radical 농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지, 34(3), 396-399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