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d tomography image

검색결과 966건 처리시간 0.023초

3D 영상 재구성을 통한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막동맥과의 각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gle between the Abdominal Aorta and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by 3D Image Reconstruction)

  • 김영근;최성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1호
    • /
    • pp.63-70
    • /
    • 2003
  • 상장간맥동맥 증후군은 일반적인 검사에서 매우 탐지가 어려운 십이지장 만성폐색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십이지장의 횡행부가 상장간막동맥과 복부대동 사이를 지나가기 때문에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맥동맥 사이의 각도가 좁아져 십이지장 폐색의 원인을 야기시킨다. 이 각도의 측정은 일반혈관촬영으로는 복잡하고, 종종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한국인을 기준으로 각도 측정에 관한 시도 및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3차원 영상재구성을 위하여 범용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Rapidia S/W를 이용함으로써 복부대동맥으로부터 상장간막동맥기시부의 각도를 측정하였는데, 상장간막동맥증후군이 없는 일반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전산화단층촬영의 3차원영상을 이용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 상장간막동맥과 복부대동맥의 평균각도는 $50.05{\pm}15.87^{\circ}$이고 남자의 평균각도는 $53.64{\pm}16.57^{\circ}$이고 여자는 $46.46{\pm}14.98^{\circ}$로 남자의 각도가 약간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각도가 상장간막동맥 증후군의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ree-dimensional morphometric analysis of mandibule in coronal plane after bimaxillary rotational surgery

  • Lee, Sung-Tak;Choi, Na-Rae;Song, Jae-Min;Shin, Sang-H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8권
    • /
    • pp.49.1-49.9
    • /
    • 2016
  • Background: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present a new reference for aesthetic mandible surgery using three-dimension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based treatment planning for orthognathic surgery which can be implemented in surgical planning and perioperative procedure. Methods: To make an objective standard for evaluating aesthetic mandibular outline, we make an aesthetic scoring criteria with consideration of asymmetry, broad mandibular border line, and prominent mandibular angle. Two maxillofacial surgeons and two orthodontists rated their aesthetical evaluation from 1 to 5.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47 female and 38 male patients who had rotational orthognathic two-jaw surgery from 2010 to 2011 were chosen according to aesthetic scoring done by two maxillofacial surgeons and two orthodontists. A high aesthetic score (${\geq}16$) means the facial contour is symmetric, with no broad and narrow aesthetic mandible frontal profiles. Control A group consisted of ten female and ten male patients who had no orthognathic surgery experience and low aesthetic score (${\geq}10$). Control B group consisted of ten female and ten male patients who had no orthognathic surgery experience and had anaesthetic mandibular frontal profile and a high aesthetic score (${\geq}16$).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patient was taken from dental cone-beam CT (DCT) scanning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A group: 6 months DCT after surgery, control B group: 1st visit DCT). Each DCT was reformatted to reorient the 3D image using 3D analyzing program (OnDemand3D, cybermed Inc, CA, USA). After selection of 12 landmarks and the construction of reoriented horizontal, vertical, and coronal reference lines, 15 measurements were taken in 3D analysis of frontal mandibular morphology. Afterwards, 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 measurements and angular measurements, linear ratio were obtained. Results: Mean $Go^{\prime}_{Rt}-Me^{\prime}-Go^{\prime}_{Lt}$ angular measurement was $100.74{\pm}2.14$ in female patients and $105.37{\pm}3.62$ in male patients. The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trol A group in both genders. Ratio of $Go^{\prime}_{Rt}-Go^{\prime}_{Lt}-Me^{\prime}$ length to some linear measurements (ratio of $Me^{\prime}-Cd^{\prime}_{Rt}Cd^{\prime}_{Lt}$ to $Me^{\prime}-Go^{\prime}_{Rt}Go^{\prime}_{Lt}$, ratio of $Me^{\prime}-Go^{\prime}$ to $Me^{\prime}-Go^{\prime}_{Rt}Go^{\prime}_{Lt}$, ratio of $Go^{\prime}_{Rt}-Go^{\prime}_{Lt}$ to $Me^{\prime}-Go^{\prime}_{Rt}Go^{\prime}_{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trol A group in both genders. Conclus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some standard measurement of mandible frontal view in 3D analysis of aesthetic patient. So, these potential measurement value may be helpful for orthognathic treatment planning to have more aesthetic and perspective outcomes.

족관절 부골의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 (Arthroscopic Excision of Accessory Bone in the Ankle Joint)

  • 최종혁;정재봉;최우진;김형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1-205
    • /
    • 2005
  • 목적: 통증을 동반한 비골하 부골과 경골하 부골의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 후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비골하 부골과 경골 부골에 대하여 관절경적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골 부골이 4예, 비골하 부골이 12예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9개월(범위:$6\{sim}42$개월)이었다. 모든 환자는 임상적으로 미학적 검사와 방사선학적으로 단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고, 8예에서 골 주사 검사, 3예에서 단층촬영 및 12예에서 MRI 검사를 시행하였다. 절제술의 결과는 Ogilvie-Harris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술 후 통증, 관절 강직 등의 주관적 평가와 파행, 활동성의 기능적 평가에서 모두 술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5) 술 후, 8예에서 경미한 통증과 간헐적인 부종이 남아있었으며, 이중 3예에서 활액막염이, 3예에서 MRI상 전염이 동반된 경우였고, 2예에서 불충분한 절제를 했던 경우였다. 결론: 통증을 동반한 경골하 부골 및 비골하 부골의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은 최소 침습적 이고 동반 병변도 함께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방법이다. 또한 완전 절제를 위해 술 전에 방사선학적 평가가 필수적이며, 동반 병변을 알아내는데는 MRI등의 특수검사가 유용하다.

  • PDF

Iterative Metallic Artifact Reduction 알고리즘 적용 CT 재구성영상의 CT Number 변화율 분석 (The Analysis of CT Number Rate of Change of Applying The Iterative Metallic Artifact Reduction Algorithm for CT Reconstruction Image)

  • 김현주;윤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84-91
    • /
    • 2017
  • 본 연구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에서 제거할 수 없는 의료용 고밀도 물질을 Somatom Definition Flash(Siemens, Enlarge, Germany.)와 GE 64-MDCT (Discovery 750 HD, GE HEALTHCARE, Milwaukee, USA.)스캔 후 획득한 팬텀영상 데이터와 이미 촬영된 Raw 데이터영상을 이용하여 IMAR 알고리즘과 MAR 알고리즘 적용 및 재구성한 후 CT 재구성영상의 CT Number 변화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팬텀영상의 모든 의료용 고밀도 물질은 IMAR 알고리즘과 MAR 알고리즘 적용 시 CT Number의 변화와 영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5). Stainless Steel 재질은 Black streak artifact에서 MAR 또는 IMAR 알고리즘 적용 시 재구성 영상의 변화와 CT Number의 변화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또한 이미 촬영된 Raw 데이터영상 분석결과 IMAR 알고리즘 적용 시 적용 전에 비하여 영상 CT Number 변화가 있어, IMAR 알고리즘 적용은 Attenuation deviation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Implant시술 후 추적 CT검사 시 수술부위 및 주변조직의 상태를 관찰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진단용 CT-모의치료기 테이블의 효율적인 교정 방법 (An Efficient Correction Process of CT-Simulator Couch with Current Diagnostic CT Scanners)

  • 구은회;이재승;조정근;문성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54-261
    • /
    • 2009
  • 본 연구는 진단용 CT 장치를 이용한 CT-모의치료기의 테이블 및 레이저 정렬 시스템과 횡단면 영상의 중심간 정렬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원에서 제작한 팬텀을 이용하여 AAPM TG66에서 제시하는 일일 정도관리를 시행하고 기하학적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레이저 정렬 시스템을 교정하였으며 교정 전, 후를 비교함으로서 교정방법에 대한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교정 전 영상의 중심간 오차는 3.82mm, 테이블 종축은 $0.436^{\circ}$ 틀어져 진행하였다. 기하학적 삼각함수를 이용한 레이저 정렬 시스템의 교정 후 0.7mm의 중심간 오차가 발생하여 ${\pm}2mm$의 허용오차 범위를 만족하였다. 설치 가동 중인 진단용 CT 장치를 방사선치료 전용 CT-모의치료기로 활용하는 경우 기하학적 정확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테이블 교정은 기술적인 한계 뿐 만 아니라 시간 및 경제적 손실에 비하여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러나 레이저 정렬 시스템을 이용한 교정 방법은 경제적이고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만족스러운 기하학적 정확도를 얻을 수 있어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Liver CT 단면영상에서 간세포암과 간혈관종의 객관적 영상분석 (The Objective Image Analysis for HCC and HH with a Axial Image of Liver CT Scan)

  • 황인길;고성진;최석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411-417
    • /
    • 2015
  • Liver CT 검사에서 간세포암과 간혈관종의 구별은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을 구별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현재 사용되는 방법은 전문의의 주관적인 해석에 의해 판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추가적인 해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영제 주입 후 검사시간은 조영주입전기(Pre), 동맥기(35sec), 문맥기(70sec), 지연기(180sec)로 하였다. 조영증강패턴변화(Enhancement Pattern) 에서 간세포암의 일반적인 패턴변화는 26.6% 로 관찰 되었다. 간혈관종의 일반적인 패턴변화는 16.6%로 관찰 되었다. 간세포암과 간혈관종의 HU(Hounsfield unit)값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각각의 시간별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확인한 결과 Lesion부위의 artery-portal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세포암 $19.76{\pm}23.52$, 간혈관종 $60.23{\pm}29.43$). 간세포암 에서 76.6%, 간혈관종 에서 80.0%가 일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HCC와 HH의 객관적 분석 지표로 HU값 을 제안하고 분석방법을 임상에 사용 한다면 진단에 도움을 줄 것이다.

Influence of Iodinated Contrast Media and Paramagnetic Contrast Media on Changes in Uptake Counts of 99mTc

  • Cho, Jae-Hwan;Lee, Jin-Hyeok;Park, Cheol-Soo;Lee, Sun-Yeob;Lee, Jin;Moon, Deog-Hwan;Lee, Hae-Ka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9권3호
    • /
    • pp.248-2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uptake counts of technetium ($^{99m}Tc$) among radioisotopes in the human body are affected if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isotope examination are performed consecutively. $^{99m}Tc$ isotope material, iodinated contrast media for CT and paramagnetic contrast media for magnetic resonance (MR) were used as experimental materials. First, $^{99m}Tc$ was added to 4 cc normal saline in a test tube. Then, 2 cc of CT contrast media such as $Iopamidol^{(R)}$ and $Dotarem^{(R)}$ were diluted with 2 cc normal saline, and 2cc of MRI contrast media such as $Primovist^{(R)}$ and $Gadovist^{(R)}$ were diluted with 2 cc normal saline. Each distributed contrast media was a total of 4 cc and included 10m Ci of $^{99m}Tc$. A gamma camera, a LEHR (Low energy high resolution) collimator and a pin-hole collimator were used for image acquisition. Image acquisition was repeated a total of 6 times and 120 frames were obtained and uptake counts of $^{99m}Tc$ were measured (from this procedure).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uptake counts of $^{99m}Tc$ using the LEHR collimator, the uptake counts were less measured in all contrast media than normal saline as a reference. In particular, the lowest uptake counts were measured when $Gadovist^{(R)}$, contrast media for MRI, was used. However, the result of measuring the uptake counts of $^{99m}Tc$ using the pin-hole collimator showed higher uptake counts in all contrast media, except for $Iopamidol^{(R)}$, than normal saline as a reference. The highest uptake counts were measured particularly when $Primovist^{(R)}$, contrast media for MRI, was used. In performing the gamma camera examination using contrast media and $^{99m}Tc$,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to check the changes in the uptake counts to improve various diagnosis values.

뇌혈관 검사 시 최적의 영상 진단장치 선정에 관한 연구: MRA, CTA, DSA, 영상 진단장치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Imaging Diagnostic Device for Cerebral Angiography: Focusing on MRA, CTA, and DSA Imaging Diagnosis Devices)

  • 변정수;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637-645
    • /
    • 2017
  • 뇌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 영상 진단장치 중 MRA, CTA, DSA 3장비 영상에 관한 SNR과 CNR을 비교, 분석하여 뇌혈관 검사 시 최적의 검사기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뇌혈관 진단 검사를 받은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측정부위는 Rt MCA, Lt MCA, ACA Image J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MRA의 평균 SNR은 254.87 CNR은 178.13, 신호강도는 326.81, CTA의 평균 SNR은 74.75, CNR은 62.2, 신호강도는 356.66, DSA의 SNR은 26.85, CNR은 25.89, 신호강도는 4400.69로 평가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SNR과 CNR 모두에서 MRA>CTA>DSA 순으로 측정 되었다. 유의성 평가 방법으로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분석을 하였고, 사후분석으로 bonferroni method를 사용하여 p<0.05 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뇌혈관 질환 환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평가하였을 때 최적의 영상진단 장비로 MRA, CTA, DSA의 결과를 얻었다.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에서의 3차원적 재구성을 이용한 척추경의 크기 측정 (The Measurement of Size of the Pedicle Using 3 Dimensional Reconstruction Image in Idiopathic Scoliosis)

  • 허재희;안면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40-50
    • /
    • 2004
  •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에서 3차원적인 재구성을 이용한 관상면에서 척추경의 폭을 측정하는 것이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고 척추경 나사못의 삽입 시 척추경의 크기를 술 전에 측정한 후 그 값의 최대치보다 작은 최대 크기의 원추형 나사못을 삽입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할 시에는 척추경의 모양이 원주 형태가 아닌 낙루 형태나 신장 형태 등 추체마다의 다양한 모양을 고려하여 나사못 크기와 삽입 방법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방암 방사선치료에서 변형영상정합기법을 이용한 선량비교 (Dose Comparison Using Deformed Image Registration Method on Breast Cancer Radiotherapy)

  • 원영진;김종원;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57-62
    • /
    • 2017
  • 본 연구는 거대유방암 환자대상으로 환자의 움직임과 모양의 변화에 따른 선량변화를 콘빔단층촬영영상(CBCT)과 변형영상정합기법(DIR)을 적용하여 적응형방사선치료계획을 재구성하여 기존에 사용된 쐐기접선조사기법(TWF)과 종속조사면 병합치료방법(FIF) 그리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계획(IMRT)을 이용하여 선량비교평가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CT와 CBCT를 MIM6 사용하여 변형영상정합기법영상(DIRCT)을 만들어 각각의 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계획표적체적(PTV)은 왼쪽 유방이고 균질성지표(HI), 적합성지표(CI), 조사범위지표(CVI)의 값을 확인하였다. 관심장기(OAR)는 반대쪽 유방, 폐 그리고 심장이며 평균선량, 최대선량과 장기 특성에 따른 기타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PTV인 유방의 HI 값은 DIRCT를 이용한 모든 치료계획방법에서 증가하였으며, CVI, CI의 결과에서는 DIRCT를 이용한 치료계획방법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폐에서의 평균선량과 최대선량은 DIRCT 이용한 IMRT 치료계획방법이 다른 치료계획보다 증가함을 보였으며, 심장의 평균선량과 최대선량은 DIRCT를 이용한 TWF와 FIF는 감소했으며, 오히려 IMRT의 결과는 증가하였다. 유방암 방사선치료 시 환자의 움직임과 셋업 오차로 인해 유방모양의 변경을 감암했을 때 TWF와 IMRT보다 FIF 방법을 이용했을 때 반대편 유방과 심장, 폐의 피해선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