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ct tension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초

평직 CFRP 복합재료의 인장강도 및 파괴저항성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ensile strengths and fracture toughness of plain weave composites)

  • 박순철;강성수;김국용;최정훈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8호
    • /
    • pp.862-868
    • /
    • 2013
  • 직조 형태의 복합재료의 파손 메커니즘은 복합적이다. 지금까지 평직 복합재료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파괴 저항성 거동은 아직도 표준화 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섬유배열방향에 따라 다른 거동을 보인다. 그래서 하중방향에 대한 섬유배열방향에 따른 파괴 저항성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직 CFRP 복합재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섬유배열방향에 따른 파손강도 및 파괴 저항성 평가를 수행하였다.(섬유배열 방향: $0^{\circ}$, $15^{\circ}$, $30^{\circ}$, $45^{\circ}$) CT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드 I 조건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마찰교반용접된 Al7075-T651 용접부의 피로균열전파 거동에 미치는 시험편 채취방향의 영향 (Effect of Specimen Orientation on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 Friction Stir Welded Al7075-T651 Joints)

  • 정의한;김선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2호
    • /
    • pp.1317-132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찰교반용접된 Al7075-T651의 피로균열전파 거동에 미치는 시험편의 채취방향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피로균열전파 실험은 마찰교반용접된 공시재로부터 모재와 용접재에 대하여 CT 시험편을 채취하여 일정응력확대계수범위 제어하에서 수행되었다. 균열이 용접선에 수직하여 전파하는 것(TL 시험편으로 명명)과 균열이 용접선과 나란히 전파하는 시험편(LT 시험편으로 명명)에 대하여 3가지 다른 응력확대계수범위에서 실험이 수행되었다. 시험편의 채취 방향에 따라 피로균열전파거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Paris 법칙에 적합시킨 결과 지수 m값은 WM-LT 시험편이 3.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음향방출과 초음파 C-scan을 이용한 AISI 4130 균열재의 파괴거동 연구 (Fracture Behavior of Pre-cracked AISI 4130 Specimens by Means of Acoustic Emission and Ultrasonic C-scan Measurements)

  • 옹장우;문순일;정현조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13
    • /
    • 1993
  • AISI 4130 금속재를 사용한 균열 컴팩터 인장시편의 파괴거동이 음향방출(AE) 및 초음파 C-scan을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모든 시편들을 특정 수준의 하중까지 증가시키면서, 크랙 개구변위 (COD)와 더불어 여러가지의 음향방출 인자들을 얻었다. 크랙 선단의 크랙 개구변위와 손상(소성)역을 계산하기 위하여 탄소성 유한요소 해석이 수행되었다. 펄스-반사, 침수형으로한 초음파 C-scan은 손상역 크기와 상사시키기 위하여 행해졌다.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 측정된 크랙개구변위는 만족할 정도로 일치하였다. 음향방출 결과에서, 시험시편들은 연성거동을 나타내었다. 총 사상수대 크랙 개구변위의 기울기는 크랙 개시점을 결정하는 데에 유용하였다. 예비 시험적인 C-scan 화상은 손상역의 초음파 진폭변화를 보여주었고, 손상역의 형상 및 크기가 유한요소 결과와 정성적으로 부합되었다. 손상역 크기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약되었다.

  • PDF

원형 노치 CT 시편을 이용한 다양한 피로수명평가 절차의 보수성 평가 (Investigation into Conservatism of Various Fatigue Life Evaluation Procedures Using Round-Notched CT Specimens)

  • 강주연;장동주;김준영;김상언;이종민;허남수;김종성;김진원;김윤재;김대수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9-30
    • /
    • 2019
  • In this study, to evaluate conservatism of various fatigue life evaluation procedures, fatigue tests were conducted using compact tension (CT) specimens with a round notch, made of A516 Gr.70 carbon steel and A240 TP304 stainless steel, under load-controlled cyclic condition. Experimental fatigue failure cyc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predicted fatigue lives using two different life evaluation methods; (1) Design-By-Analysis (DBA) procedure given in ASME B&PV Code, Sec. III, Div. 1, Subsec. NB-3200 and (2) structural stress-based approach provided in ASME B&PV Code, Sec. VIII, Div. 2, Part 5. To predict fatigue failure cycles, three-dimensional e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Fatigue lives were predicted by both design fatigue curve given in ASME B&PV Code, Sec. III, Div. 1, Appendices and best-fit fatigue curve suggested in NUREG/CR-6815 for the DBA procedure. Finally, fatigue lives evaluated by various methods were compared with test results, and then conservatism between each evaluation procedure was discussed.

케이블과 탄성보로 지지되는 모바일 하버 크레인의 끝단 처짐량 분석 (Tip Deflection Analysis of Mobile Habor Crane Supported by Cable and Elastic Bar)

  • 황순욱;한기철;최은호;조진래;임오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83-288
    • /
    • 2010
  • 모바일 하버용 크레인은 항만 부두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 지상식 크레인과는 달리 소형 경량 구조를 요구한다. RORI 크레인은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신개념의 모바일 하버용 크레인 시스템으로서 해상에서 컨테이너 상하역 작업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항 시에는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 상하역 작업에 따른 RORI 크레인의 수평붐 끝단 처짐량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카스틸리아노 정리를 이용한 이론적인 방법과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두 기법으로 구한 끝단 처짐량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유한요소해석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케이블의 초기장력에 따른 끝단 처짐량 변화특성을 파라메트릭하게 분석하였다.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ardmaterials

  • Hayashi, Koji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강연 및 발표대회 강연및 발표논문 초록집
    • /
    • pp.6-6
    • /
    • 1994
  • Har dmaterials such as cemented carbides with or without coated layer, cermets, ceramics and diamond or c-BN high pressure sintered compact are used for cutting tools, wear -resistant parts, rock drilling bits and/or high pressure vessels. These hardmaterials contain not only hard phase, but also second consituent as the element for forming ductile phase and/or sintering ai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ach material depend on (1) the amount of the second constituent as well as (2) the grain size of the hard phase. The hardness of each material mainly depends on these two factors. The fracture strength, however, largely depends on other microstructur a1 factors as well as the above two factors. For all hardmaterials, the fracture strength is consider ably affected by (3) the size of microstructur a1 defect which acts as the fracture source. In cemented carbides, the following factors which are generated mainly due to the addition of the second constituent are also important; (4) the variation of the carbon content in the normal phase region free from V-phase and graphite phase, (5) the precipitation of $Co_3$ during heating at about $800^{\circ}C$,(6) the domain size of binder phase, and (7) the formation of ${\beta}$-free layer or Co-rich layer near the surface of sintered compacts. For cemented carbides coated with thin hard substance, the important factors are as follows; (8) the kind of coated substance, (9) the formation of ${\eta}$-phase layer at the interface between coated layer and substrate, (10) the type of residual stress (tension or compression) in the coated layer which depends on the kind of coating method (CVD or PVD), and (11) the properties of the substrate, and (12) the combination, coherency and periodicity of multi-layers. In the lecture, the details of these factors and their effect on the strength will be explained.

  • PDF

API 2W Gr. 50 강재 용접부의 피로균열전파거동의 거시적 및 미시적 관찰 (Marco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of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 API 2W Gr. 50 Steel Joints)

  • 손혜정;김선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3-80
    • /
    • 2012
  • It is well know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scatter is shown in experimental results relating to fatigue crack growth even under identical and constant amplitude cyclic loading conditions. Moreover, flux cored arc welding (FCAW) is a common method used to join thick plates such as the structural members of large scale offshore structures and very large container shi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cro-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fatigue crack growth (FCG) behavior of the FCAWed API 2W Gr. 50 steel joints typically applied for offshore structure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randomness of the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 the materials of three different zones, the weld metal (WM), heat affected zone (HAZ), and base metal (BM), experimental fatigue crack growth tests for each of five specimens were performed on ASTM standard compact tension (CT) specimens under constant amplitude cyclic loading. Special focus was placed on the fatigued fracture surfaces. As a result, a different behavior was observed at the macro-level,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 property: BM, HAZ, or WM. The variability in the fatigue crack growth rate for WM was higher than that of BM and HAZ.

Crack growth and cracking behavior of Alloy 600/182 and Alloy 690/152 welds in simulated PWR primary water

  • Lim, Yun Soo;Kim, Dong Jin;Kim, Sung Woo;Kim, Hong Py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228-237
    • /
    • 2019
  • The crack growth responses of as-received and as-welded Alloy 600/182 and Alloy 690/152 welds to constant loading were measured by a direct current potential drop method using compact tension specimens in primary water at $325^{\circ}C$ simulating the 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a nuclear power plant. The as-received Alloy 600 showed crack growth rates (CGRs) between $9.6{\times}10^{-9}mm/s$ and $3.8{\times}10^{-8}mm/s$, and the as-welded Alloy 182 had CGRs between $7.9{\times}10^{-8}mm/s$ and $7.5{\times}10^{-7}mm/s$ within the range of the applied loadi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loys 600 and 182 are susceptible to cracking. The average CGR of the as-welded Alloy 152 was found to be $2.8{\times}10^{-9}mm/s$. Therefore, Alloy 152 was proven to be highly resistant to cracking. The as-received Alloy 690 showed no crack growth even with an inhomogeneous banded microstructure. The cracking mode of Alloys 600 and 182 was an intergranular cracking; however, Alloy 152 was revealed to have a mixed (intergranular + transgranular) cracking mode. It appears that the Cr concentration and the microstructural features significantly affect the cracking resistance and the cracking behavior of Ni-base alloys in PWR primary water.

구조물의 속도 의존적 파괴 특성에 대한 연구; 입자동역학을 이용한 취성재료에의 적용 (Study on Rate Dependent Fracture Behavior of Structures; Application to Brittle Materials Using Molecular Dynamics)

  • 김근휘;임지훈;임윤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A호
    • /
    • pp.529-536
    • /
    • 2008
  • 구조물의 파괴 거동은 하중의 재하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재료의 속도 의존성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공학의 여러 분야에서 관심사였지만, 파괴 메커니즘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치 해석을 통한 연구에는 그 한계점과 어려움이 상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괴 거동의 속도 의존성을 이해하고자, 취성재료를 대상으로 입자동역학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직접 인장 시험 시뮬레이션을 위해 노치가 있는 시편을 모델링하고, 취성재료가 갖는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Lennard-Jones 포텐셜을 사용하였다. 6가지의 다른 하중 속도에 따른 균열의 거칠기, 균열의 후퇴와 멈춤, 분기 현상과 같은 동적 파괴 특성을 관찰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하중 속도에 따른 파괴 거동의 변화 원인을 에너지 유입-소모율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고, 재료의 파괴 메커니즘이 갖는 속도 의존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기존 실험과의 비교를 통해 실제적인 현상과의 유사성을 밝힘으로써 입자동역학의 공학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용접(鎔接)이음한 구조강(構造鋼)의 소인장시험편(小引張試驗片)에서의 피로구열진전거동(疲勞龜裂進展擧動) (용접방향(鎔接方向), 입열량(入熱量), 용접재료(鎔接材料)의 강도(强度) 등이 다를 때) (The Propagation Behaviour of the Fatigue Crack in the Compact Tension Specimens of the Welded Structural Steels (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welding direction, the input heat level, the strength of weld material and so on))

  • 장동일;정영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33-142
    • /
    • 1984
  • 횡방향(橫方向)과 종방향(縱方向),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과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 모재(母材)와 같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 사용(使用)과 모재(母材)보다 낮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 사용(使用) 등으로 서로 비교되는 용접(鎔接)이음의 소인장시험편(小引張試驗片)을 만들어서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여 피로구열(疲勞龜裂) 진전속도(進展速度) ${\frac{da}{dN}}$와 구열선단(龜裂先端) 부근의 응력확대계수(應力擴大係數)의 변동범위(變動範圍) ${\Delta}K$와의 관계곡선(關係曲線)을 그려서 비교시험간(比較試驗間)의 모재(母材), 열영향부(熱影響部) 및 용착금속부(鎔着金屬部)로 구분, 혹은 지금까지의 연구자료(硏究資料) 등과 비교검토하였다. 이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들을 알 수 있었다. 기본적(基本的)으로, 용접방향(鎔接方向), 용접입열량(鎔接入熱量), 용접재료(鎔接材料)의 강도(强度), 혹은 모재(母材), 열영향부(熱影響部) 및 용착금속부(鎔着金屬部)의 구분 등에 따라 ${\frac{da}{dN}}-{\Delta}K$관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첫째, 소재(素材)에 대한 경우에 비해 대개 처음은 같은 ${\Delta}K$에서 ${\frac{da}{dN}}$가 상당히 늦다가 점차 증가하여 중간쯤에서 같아진 후 끝 부분에서 같은 ${\Delta}K$에서${\frac{da}{dN}}$가 다소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열영향부(熱影響部)에서 용접금속부(鎔接金屬部)로 진전(進展)하면서 ${\frac{da}{dN}}$가 다소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접방향(鎔接方向)과 구열방향(龜裂方向)이 평행인 경우가 직각인 경우에 비해, 모재(母材)와 같은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인 경우가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인 경우에 비해, 모재(母材)보다 낮은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인 경우가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인 경우에 비해, 대입열(大入熱)의 평행용접(鎔接)의 경우를 제외한 모든 용접(鎔接)에서 모재(母材)와 같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가 모재(母材)보다 낮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에 비해 ${\Delta}K$가 낮은 시기(時期)에 일찍 저속(低速)으로 구열(龜裂)이 시작되어 ${\Delta}K$의 큰 증가없이 ${\frac{da}{dN}}$가 빠르게 증가한 다음 다른 경우와 같은 성상(性狀)으로 진전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의 경우 평행용접(鎔接)이 직각용접(鎔接)에 비해,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이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에 비해 같은 ${\Delta}K$에서 ${\frac{da}{dN}}$가 다소 늦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