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Kimchi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y Changes in Fermenting Kimchi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 Yeun, Hong;Yang, Hee-Seok;Chang, Hae-Choon;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76-84
    • /
    • 2013
  • A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technique followed by sequencing of the 16S rDNA fragments eluted from the bands of interest on denaturing gradient gels was used to monitor changes in the bacterial microflora of two commercial kimchi, salted cabbage, and ingredient mix samples during 30 days of fermentation at $4^{\circ}C$ and $10^{\circ}C$. Leuconostoc (Lc.) was the 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LAB) over Lactobacillus (Lb.) species at $4^{\circ}C$. Weissella confusa was detected in the ingredient mix and also in kimchi samples throughout fermentation in both samples at $4^{\circ}C$ and $10^{\circ}C$. Lc. gelidum was detected as the dominant LAB at $4^{\circ}C$ in both samples. The temperature affected the LAB profile of kimchi by varing the pH, which was primarily caused by the temperature-dependent competition among different LAB species in kimchi. At $4^{\circ}C$, the sample variation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more conspicuous owing to the delayed growth of LAB. Temperature affected only initial decreases in pH and initial increases in viable cell counts, but affected both the initial increases and final values of titratable acidity. The initial microflora in the kimchi sample was probably determined by the microflora of the ingredient mix, not by that of the salted cabbage. The microbial distributions in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resembled across the different kimchi samples and the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as the numbers of LAB in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Evaluation of Mixed Probiotic Starter Cultures Isolated from Kimchi on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Hams

  • Kim, Young Joo;Park, Sung Yong;Lee, Hong Chul;Yoo, Seung Seok;Oh, Sejong;Kim, Kwang Hyun;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2-130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xed starter cultures isolated from kimchi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functionality and flavors of fermented ham.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crobial counts, shear force, cholesterol contents and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ham were investigated during processing (curing and ripening time). Curing process for 7 d increased saltiness, however, decreased hunter color values (L, a, and b values). Ripening process for 21 d increased most parameters, such as saltiness, color values, weight loss, shear force and cholesterol content due to the drying process. The mixed starter culture had higher lactic acid bacteria than the commercial one. While eight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fermented hams during curing process, total fiftyeight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fermented hams during ripening process. The main volatile compounds were alcohols, esters and furans. However, no differences in volatile compounds were observed between two batches. Fermented hams (batch B) manufactured with probiotic starter culture (LPP) had higher sensory score in texture,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counterparts (batch A), while the opposite trend was observed in flavor. Therefore, mixed probiotic starter culture isolated from kimchi might be used as a starter culture to be able to replace with commercial starter culture (LK-30 plus) for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ham.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to Apply into Fermented Dairy Products

  • Cho, Young-Hee;Hong, Sung-Moon;Kim, Cheol-Hy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82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solate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Kimchi and to identify suitable probiotic strain for application in fermented dairy product as a commercial starter culture. A total of 106 (LAB) strains were isolated from Kimchi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and their phenotypic characteristics were assayed. Four isolates from MRS agar plates were selected and designated as DKL109, DKL119, DKL121 and DKL128. They were identified first by API 50 CHL kit and then 16S rRNA gene sequencing. DKL121 and DKL128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actobacillus casei, respectively. Other two isolates (DKL109 and DKL119)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To estimate their applicability in dairy products,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acid and bile tolerance, cold shock induced cryotolerance and enzymatic activities were determined. There was wide variation in ability of strains to acid tolera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le tolerance, cold shock induced cryotolerance within selected strains. DKL119 and DKL121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acid and bile and the highest ${\beta}$-galactosidase activity, respectively. When these two strains were used for yogurt preparation as a single starter culture, their viable cell counts reached to $1.0{\times}10^9CFU/mL$. Lactobacillus plantarum DKL119 showed faster acid development than commercial starter culture. Also storage trials at $10^{\circ}C$ showed that the viability of these strains was retained over 15 d. With these results, it was indicated that probiotics isolated from Kimchi can be used in yogurt manufacturing as a starter culture.

겨울 김치에 대한 팽창 방지 포장 기법 (Packaging Techniques to Prevent Winter Kimchi from Inflation)

  • 홍석인;박노현;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5-291
    • /
    • 1996
  • 소포장 김치의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법으로서 각 포장방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겨울 배추를 원료로 제조한 김치 에 대하여 포장방법 에 따른 품질변화를 확인하였다. 상압(AP), 배기(CV), 이중(DP), 진공(VP) 등으로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김치의 품질변화를 관찰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AP와 CV의 포장내$O_2$ 농도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고 $CO_2$, 농도는 선형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해졌다. DP에서 $O_2$ 농도는 감소 후 증가, $CO_2$ 농도는 증가 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VP는 저장말기에 저농도 $O_2$와 고농도 $CO_2$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 각기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장내 자유용적은 AP에서 S자 곡선형으로 증가하였으나 CV와 DP는 거의 일정하였고 VP는 저장중기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가장 높은 최중 용적량을 나타내었다. 각포장구의 pH는유의차 없이 대부분 비슷하였으나 산도는 DP가 다른 포장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분쇄 김치 여과액의 색지수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포장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구분할 수 없었으나 VP가 다소 높게 나타탔다. 젖산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도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초기 급격히 증가하여 중기 이후 일정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신맛이나 조직감은 각 포장구에서 유의차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김치의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 법으로서 배기포장과 이중포장이 매우 효과적이며 제한적 범위 내에서 진공포장도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 유통 김치 중 N-Nitrosodimethylamine과 그 전구물질의 함량 분석 및 안전성 평가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of N-Nitrosodimethylamine and Its Precursor Concentrations in Korean Commercial Kimchi)

  • 강경훈;김성현;김상현;김정균;성낙주;임희경;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44-250
    • /
    • 2017
  • Dimethylamine(DMA), 질산염, 아질산염, biogenic amines은 발암성 니트로사민의 전구물질이다. 본 연구는 국내 상품 김치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 맛김치, 묵은김치, 백김치의 김치 내 DMA, 질산염, 아질산염, biogenic amines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배추김치 내 DMA, 질산염, 아질산염 함량은 각각 29.7, 2,178.8, 3.0 mg/kg이었다. 김치 종류 중에서 깍두기의 DMA와 질산염 함량이 가장 낮았다. Tryptamine, putrescine, cadaverine, tyramine, spermidine이 백김치와 총각김치를 제외한 분석된 김치 내 검출되었다. 백김치 내 tryptamine이 단지흔적량 존재하고 spermidine은 총각김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배추김치 내 tryptamine, putrescine, cadaverine, tyramine, spermidine의 함량은 각각 15.0, 64.6, 18.0, 44.0, 7.8 mg/kg이었다. 깍두기 내 tyramine의 함량이 낮았다. 깍두기 내 NDMA의 오염도를 분석하였고, 그 평균 함량은 $1.38{\mu}g/kg$이었다. 깍두기 1일 평균 섭취량과 체중을 근거로 깍두기 섭취군의 NDMA 인체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깍두기 섭취로 인한 NDMA 노출량은 $2.31{\times}10^{-7}mg/kg\;b.w./d$로 나타났으며, 노출안전역(MOE)은 259,924로 위해 정도가 매우 낮은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음식의 조리법 표준화를 위한 연구(II) -찌개류 - (Standardization of Recip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Foods (II) - For the focus on Chigae (Stew) -)

  • 계승희;문현경;염초애;송태희;이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0-225
    • /
    • 1995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tandardize preparation methods of Korean foods; Chigae (Stew) such as Deonjang chigae (soybean stew) and Kimchi chigae (Kimchi stew). We followed cooking methods by using cookbooks, food service operation recipes, materials distributed by commercial food restaurants from their own experimental kitchens, and home recipes. Before this recipes were standardized, we thoroughly analyzed and modified them. The total yield and portions were determined together with material weights and procedures. And we evaluated food made by standardized recipes for acceptability, by taste panels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t concluded that yield volune for doenjang chigae and kimchi chigae after cooking for 10 persons was 3 kg, optimum service temperature was 7$0^{\circ}C$, preparation time was 50 minutes, service volumes by one person was 300 g. This presentantion for the above on food materials and material weights, preparation methods as well as cautions and references are attached in this research paper.

  • PDF

시판김치 중 유해세균의 조사 (Investigation of some harmful bacteria in commercial Kimchi)

  • 신선미;박주연;김은정;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5-200
    • /
    • 2005
  • 시판김치의 위생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포장 김치 3종, 백화점 김치 3종, 재래시장 김치 3종을 각각 $2^{\circ}C$$20^{\circ}C$ incubator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E. coli, Salmonella sp., Staphylococcus sp. yeast균수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백화점 김치의 구입 당일 pH는 5.85로 가장 높았고, 재래시장 김치는 4.47로 가장 낮았다. $2^{\circ}C$저장에서 숙성시킨 김치의 pH는 완만하게 감소되었으나, $20^{\circ}C$에 저장한 김치는 저장 첫날 pH가 가장 급격히 감소되었다. 산도는 이와는 반대 경향을 나타내었다. E. coli 균수는 포장 김치에서는 낮게 검출되었으나 백화점 김치와 시장 김치 같은 비포장 김치에서는 $1\;{\times}\;10^1cfu/mL$ 부근으로 검출되었으며 $2^{\circ}C$저장에서 백화점 김치와 재래시장김치는 저장 2일째까지도 균이 생존하였으나 저장 5일째에는 더 이상 검출되지 않았다. $20^{\circ}C$ 저장의 경우 저장 $1\~2$일 동안 균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았다. Salmonella sp.은 구입 당일 시료 모두에서 약간이 검출되었으나 발효와 더불어 $1\~2$ 일 동안에 감소되었다. 그러나 구입 당일 포장 김치 $7.73\times10^2cfu/mL$, 백화점 김치 $2.87\times10^3cfu/mL$, 재래시장 김치에서 $7.89\times10^2cfu/mL$의 비교적 높은 수의 Staphylococcus sp.가 검출되었고, $2^{\circ}C$ 저장에서 각 시료의 균수는 거의 감소하지 않았으며, $20^{\circ}C$ 저장의 경우에도 감소율은 낮았다. Yeast수는 재래시장 김치가 구입 당일 $2.12\times10^2cfu/mL$의 수를 나타내었고, 발효 숙성전 기간에 걸쳐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김치가 가장 맛이 있는 시기로 알려져 있는 pH 4.2부근, 산도 $0.4\~0.8\%^{(10)}$에서도 식품 유해가능성을 가진 균이 상당수 검출되므로 원료의 수송, 김치의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병원균에 대한 오염방지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Chungkukjang

  • Seo, Kyoung-Chun;Noh, Jeong-Sook;Yi, Na-Ri;Choi, Ji-Myung;Cho, Eun-Ju;Han, Ji-Sook;Song, Yeong-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77-83
    • /
    • 2008
  • To further the goal of isolating Bacillus sp. from commercial chungkukjang (CKJ) for a development of a probiotic dietary adjunct using soymilk or milk, antioxidant activity of CKJ purchased from the Sunchang Traditional Village in Chunbook province was examined. Six CKJ samples were evaluated and 3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for further antioxidant study. $IC_{50}$ for DPPH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CKJ ranged from 238.1 to 345.7 ${\mu}g/mL$. CKJ exhibited over 80% scavenging of ${\cdot}OH$ and ONOO- at concentrations of 100 ${\mu}g/mL$ and 250 ${\mu}g/mL$, respectively. $O_2^-$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of three CKJ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the concentration tested from 100 to 1000 ${\mu}g/mL$. In this study, the methanol extract of CKJ exhibited a great reduction capability and powerfu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pecially against OH. and ONOO-, which are the most toxic radicals responsible for oxidative damage in the body. However,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CKJ on DPPH, $O_2^-$, and nitrite radical were rather moderate. In conclusion, CKJ may reduce the oxidative stress in the body by scavenging the free radicals.

김치 첨가가 발효소세지 숙성중 미생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mchi on the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during ripening period)

  • 한영실;김순임;정해옥;전희정;백재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4-228
    • /
    • 2001
  • 김치를 첨가한 발효소세지의 숙성기간에 따른 pH 및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김치첨가가 발효소세지의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상업용 starter culture 첨가소세지의 pH는 초기에 5.69였으나 점점 감소되어 5.01에 이르렀고, 김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되어 fresh kimchi 10, 20%와 powder kimchi 2%좌 4% 첨가 소세지는 초기에 pH가 5.4부근이었으나 저장함에 따라 4.87까지 감소하였다. 미생물의 변화는 starter culture 첨가소세지는 초기의 총세균수, 젖산균수 그리고 효모와 곰팡이수가 김치 첨가 소세지보다 $10^{7}$ cfu/g 수준으로 낮았으나 숙성기간 중 급격하게 증가하여 $10^{10}$cfu/g 수준에 이르렀다. 김치첨가소세지는 초기부터 숙성기간 동안 총세균수, 젖산균수 그리고 효모와 곰팡이수가 김치 첨가로 인해 초기에 $10^{9}$cfu/g 수준으로 약간 높았으나 숙성기간 중 완만하게 증가하여 $10^{10}$cfu/g 수준에 이르러 발효하는 동안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보였다.

  • PDF

전자선 조사 동결건조 김치분말의 품질 특성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yophilized Kimchi Powder)

  • 홍상필;김은미;양지나;안동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14-618
    • /
    • 2007
  •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를 동결건조한 후 방사선량 별로 나누어 이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잔존 미생물수 분석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김치의 양념소재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는 pH 및 적정산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이의 동결건조물의 방사선 조사 처리구들 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하기 전 숙성김치의 색도는 미숙성김치에 비해 L, a 및 b값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조사처리 후에는 조사선량의 강도에 의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고 미숙성김치는 숙성김치보다 색상에서 다소 변화를 보였다. 미숙성김치분말보다 숙성김치분말은 미생물에 대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 효과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 kGy 조사 시에는 특히 총균수와 젖산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숙성김치분말에는 ethanol, 1-propene-3-methyl, disulfide dimethyl 및 disulfide methyl propyl 등의 휘발성 성분이 다소 많았고 특히 disulfide dipropyl 성분은 숙성김치분말에만 존재하는 특성을 보인 반면 그 외의 성분에서는 오히려 미숙성김치분말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함에 따라 숙성김치분말에서는 2-butanone과 acetic acid, 핵산 및 butanal 2-methyl 성분 등이, 미숙성김치분말에서는 hexane 및 butanal 2-methyl 성분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황화물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한 김치분말에 대하여 이미, 이취 및 매운맛에 대한 관능평가결과 모두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와 이취는 증가하였으나 조사랑 30 kGy 까지는 수용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