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practice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2초

An Instructional Design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ve Learning Focusing on Communication

  • KAGETO, Makot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57-69
    • /
    • 2007
  • The advantages of the Internet enable teachers in the world to break the communication barriers between their schools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giving them opportunities for richer educational practices than ever accomplished. I assume that collaborative learning like an international exchange naturally lead the students to acquire the knowledge to communicate with their peers using ICT skills. In this paper, two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s that have years of practice are reported, i.e., new types of collaborative education project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enabled us to carry out. The international exchanges reported here have been possible because both students and teachers have effectively used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Internet. To use English as a "commo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language"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youth in Asia, and the students have co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nglish as a communication language through these projects. Also, since these practices are based on the infrastructure of the Internet, they have elucidated what kind of Internet use produces richer educational results .At the final stage of the exchanges, "joint presentation in English" is designed. Student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over the network, and finally meet with each other and try to give a presentation as a product of their collaborative work. The files and scenes of their presentations are stored on the network and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Asia as well as models for the activities in the following years. We will report how to design international exchange education in this Internet age.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Exploring a Teacher's Argumentation-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dentified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Teaching Practice for Science Argumentation)

  • 김선아;이신영;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19-1030
    • /
    • 2015
  • 이 연구는 논변활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수업실행 변화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변특이적 PCK의 요소를 확인하고 이것이 수업 실행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과학교육 박사학위 소지자로 연구 당시 교육경력이 19년이었으며 연구에 참여하기 이전에 논변수업을 지도해 본 경험은 없었다. 논변활동 수업은 중학교 1학년 광합성 단원에 대한 9차시로 구성되었고 수업 이후 주 1회 약 30여분 총 5회에 걸쳐 연구자와 교사 간 협력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협력적 성찰은 녹화, 녹음되었으며, 교사의 사전사후 논변검사지, 수업전사본, 관찰일지, 협력적 성찰 전사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실행은 1~3차시에 해당하는 초반부에는 학생들에게 말하기, 논변 정의하기, 정당화하기 등을 촉진하는 발화가 주로 나타났으나 4차시 이후부터는 교사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상대방 이야기를 들어주기, 대안주장하기, 논변과정 반성해보기 등을 촉진시키는 발화도 함께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성찰과 논변 수업 실행으로부터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발달이 나타났으며, 논변특이적 PCK는 학생에 대한 이해, 논변의 본성에 대한 이해, 논변 과제전략에 대한 이해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참여 교사의 논변 특이적 PCK에 대한 이해는 협력적 성찰과 수업실행이 반복되면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교사는 논변수업에서 학생이 갖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으며, 논변에 대한 이해를 개인적 측면으로부터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것으로 발달시켰다. 또한 논변과제를 자발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과제전략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

전문간호실무를 위한 조직환경과 간호사의 근무의욕간의 관계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Nurses' Task Motivation)

  • 강소영;엄영란;한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3-36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a) describing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embedded in nursing care units and (b) examining its relationships to nurses' task motivation. Method: Using the Nursing Work Index Revised (NWI-R) and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WPI),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20 registered nurses on 26 nursing care units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Result: Mean scores were 12.9 on a 5-20 score range of an autonomous environment scale, 7.3 on a 3-12 score range of a collaborative environment, and 15.8 on a 7-28 score range of control over nursing practice. Nurses' age, educational level, job position, working period at the hospital and employment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The extent to which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accounted for task motivation was $19.5\%$. Conclusion: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professionalism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that nurses perceived within the nursing care units. When nurses care for patients, the degree of task motivation depends on the work environment supporting the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Effectiveness Research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 양옥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225-253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articles o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effectiveness to build a scientific and scholaristic image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The data for analysis were the articles published in 13 professional journals including Korean J. of Social Welfare in the period of 1979 to 1999. The appearance rate of effectiveness studies was 1.28% with only 18 articles. Experimental studies consisted only 4 out of 18, and there were only 10 Quasi-experimental studies. Statistical errors were observed in most studies, so it is too early to call that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s either effective or not effective. In order to see the comprehensive trends of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other clinical papers were also examined. The appearance rate was also as low as 8.75% (effectiveness studies included). While 18 articles were about the therapy model, other clinical papers were about generic practice models. However, those newly developed generic practice models had not yet been widely used nor tested for effectiveness. Thu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active research activities with solid methodology, team work with the field, theory and method development, education and re-education, and collaborative team work with other related fields. It was also pointed that the cross analysis of research papers by the publishing period, authors major and other background variables would be useful.

  • PDF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멘토의 어려움 분석 (An Analysis on Mentor Teacher's Difficulties during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 최소정;권정인;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638-648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 과정에서 멘토가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에 참가한 현직 중등과학교사 일곱 쌍(1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멘토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멘토의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멘토링 관련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 협의회 녹화본 및 전사본, 멘토 저널 등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는 멘티와 전공이나 학교 급이 다른 경우, 학교에서 맡은 과다한 업무로 인하여 멘토링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멘토링 초반 멘토로서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낮은 자신감을 나타냈으며, 일부 멘토는 멘티와 정서적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와 멘티의 멘토링에 대한 관점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멘토링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초임과학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 및 유형 변화 분석 (Analysis of Mentor Teachers' Mentoring Type and Type Changes in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 정도준;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6호
    • /
    • pp.441-452
    • /
    • 2018
  • 이 연구는 교수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멘토링 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멘토링에서 수집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교사는 관찰자, 비판적 동료, 지원자, 지시자, 역할 모델, 평가자, 상담자, 동반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멘토교사의 멘토링이 멘티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에는 멘티교사의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멘토교사는 멘토링을 실시하기 전 멘티교사와 함께 과학교수에 대한 신념, 멘토링 방법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멘토링 과정을 평가하는 데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플립러닝 적용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 김희영;김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5-27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nd implement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7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at D university in N city. The study included processes of instructional design, action/effects and refle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with the SPSS/WIN 23.0. Result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stage, the class consisted of 3 parts: outside class (pre-learning), inside class (assessment, collaborative practice, peer review, reflection), after-class (self-directed practice, feedback). In the action/effects stage, th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for 15 week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hen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were evalua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3.56,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fter the class (t=-3.72, p<.001). Finally, in the reflection stage, the researchers examined whether the four pillars of flipped learning occurred.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flipped learning applied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action research method was a useful way to foster professor's educational competency as well as to verify effects of a new nursing education method.

얼굴마비 환자의 의·한의 협진 의료이용 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 데이터를 이용 (A study on the facial palsy patients' use of Western-Korean collaborative treatment: Using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s Sample)

  • 박효성;엄태웅;김남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75-86
    • /
    • 2017
  • 본 연구는 의 한의 협진 진료의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인 얼굴마비에 대하여, 2014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 자료 (HIRA-NPS, 2014)를 이용해서 진료 에피소드 단위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건강보험 급여 청구현황에 근거한 진료 에피소드 단위 분석결과, 의 한의 협진 빈도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는 50세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마비 환자들에서 확인된 의료이용 패턴은 의과 단독 진료 군의 경우 진단 및 검사가 다 빈도로 확인되었으며, 한의과 단독 진료와 의 한의 협진 진료 군의 경우는 치료 항목들이 다 빈도로 나타났다. 치료 행태별 요양일수는 의 한의 협진, 한의과 단독 진료, 의과 단독진료 등의 순으로 다 빈도가 확인되었으며, 내원일당 요양급여 비용은 의과 단독 진료, 의 한의 협진, 한의과 단독 진료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의 한의 협진 의료이용 행태는 향후 본 질환의 임상진료지침 개발과 의료 정책의 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rognostic Model Built on Blood-based Biomarkers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 He, Wen-Zhuo;Jiang, Chang;Yin, Chen-Xi;Guo, Gui-Fang;Rong, Ru-Ming;Qiu, Hui-Juan;Chen, Xu-Xian;Zhang, Bei;Xia, Liang-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327-7331
    • /
    • 2014
  • Background: We had previously showed that the neutrophil lymphocyte ratio (NLR),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re prognostic factors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mCRC) patie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rognostic model based on these three indic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43 patients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as mCRC between 2005 and 2010 in the Sun Yat-sen University Cancer Center were studied. The endpoint was overall survival (OS). Results: NLR>3, elevated GGT and elevated CEA were confirm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which could predict poor prognosis. Patient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isk factors they had. Those with two or three were defined as the high risk group, individuals with one risk factor as the modest risk group and patients without risk factor as the low risk group. The OS values for these three groups were 16.2 months (2.80~68.8), 24.2 months (4.07~79.0), and 37.2 months (12.6~87.8),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s: We developed a simple but useful model based on NLR, GGT and CEA to provide prognostic information to clinical practice in highly selected mCRC patients. Further prospective and multi-center studies are warranted to test our model.

에이전트기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건설프로젝트 조직 내 협업과정의 이해 (Understanding Collaborative Working Processes within Construction Project Teams Using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 손정욱;신승우;이준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0-77
    • /
    • 2014
  • 건설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의사소통, 협력, 정보공유 등을 포함한 구성원들 간의 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프로젝트 조직 내의 협업과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적인 시도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게임이론 기반의 에이전트기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조직 내 협업과정을 보다 명시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구성원수준에서의 관계형성과 조직수준에서의 네트워크 발전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조직 내의 협업과정 분석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며, 향후 연구를 통해 조직 내 업무수행 프로세스, 생산작업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등의 부분과 결합하여 프로젝트 성과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