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plai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무기질 혼화재가 염수침지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Mineral Admixtures on the Chloride Diffusion of the Concrete Immersed in Chloride Solution)

  • 김동석;유재강;박상준;원철;김영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679-686
    • /
    • 2005
  • 해양에 건설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외부의 염화물 확산에 의한 철근부식이 구조물의 내구성과 관련하여 가장 큰 성능저하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종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장기염수침지시험에 의해 혼화재 종류, 치환율 및 양생기간이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무기질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깊이와 염화물 확산계수는 혼화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어, 무기질 혼화재는 염화물 침투저항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화물 확산계수 저감에는 W/B의 저감보다는 사용 혼화재의 종류 및 치환율의 선정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화물 구속능은 MK>Plain>SF>BS>FA의 순으로, Meta-Kaolin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배합에서 염화물 확산은 양생기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재령으로 갈수록 그 영향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염해 측면에서 양생재령 7알 이후의 거푸집 탈형 시기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Post LGM Fluvial Environment and Palynological Changes of South Korea

  • Kim, Ju-Yong;Yang, Dong-Yoon;Bong, Pil-Yoon;Nahm, Wook-Hyun;Lee, Heon-Jong;Lee, Yung-Jo;Hong, Sei-Sun;Lee, Jin-Young;Kim, Jin-Wkan;Oh, Keun-Chang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23
    • /
    • 2003
  • In Korea terrestrial fluvial sequences can be used as ped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markers indicating a millenium-scale environmental and climatic changes imprinted in fluvial sub-environments, which in turn are represented by the cyclicity of fluvial sands, backswamp organic muds, and flooding muds intercalations of frostcracked or dessicated brown paleosols. Post LGM and Holocene fluvial and alluvial sedimentary sequences of Korea are formed in such landscapes of coastal, floodplain, backswamp and hillslope areas. Among them, the most outstanding depositional sequences are fluvial gravels, sands and organic mud deposits in coastal, fluvial, or alluvial wetlan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edimentary sequences and palynofloral zones since the last 15,000years, on the basis of organic muds layers intercalated in fluvial sand deposits. Jangheung-ri site of Nam river, Soro-ri site of Miho river, Youngsan rivermouth site in Muan, Oksan-ri site of Hampyeong and Sanggap-ri site of Gochang are illustrated to interpret their sedimentary facies, radiocarbon datings, and palynofloral zonation. Up to the Middle to Late Last Glacial(up to 30-35Ka), old river-bed, flooding, and backswamp sequences contain such arboreal pollens as Pinus, Abies, and Picea, and rich in non-arboreal pollens like Cyperaceae, Gramineae, Ranunculaceae, and Compositae. During the LGM and post-LGM periods until Younger Dryas, vegetation has changes from the sub-alpine conifer forest(up to about 17-11Ka), through the conifer and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r mixed forest (formed during 16,680-13,010yrB.P), to the deciduous and broad-leaved forest (older than 9,500yrB.P). In the Earliest Holocene flooding deposits, fragments of plant roots are abundant and subjected to intensive pedogenic processes. During Holocene, three arboreal pollen zones are identified in the ascending order of strata; Pinus-Colyus zone(mixed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bout up to 10Ka), Alnus-Quercus forest (the cool 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bout 10Ka-2Ka), and Pinus forest (the conifer forest, about after 2Ka), as examplified in Soro-ri site of Cheonwon county. The palynological zonations of Soro-ri, Oksan-ri, Sanggap-ri, Youngsan estuary, and Gimhae fluvial plain have been recognized as a provisional correlation tool, and zonations based on fluvial backswamp and flooding deposits shows a similar result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ers.

  • PDF

韓半島 第四紀 地層의 層序的 考察 (Stratigraphical Research of the Quaternary Deposits in the Korean Peninsula)

  • 이동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20
    • /
    • 1987
  • 韓半島에 분포하는 第四紀 地層들에 대한 기존의 지질학적 연구는 극히 미소한 편이였으며 계곡이나 평야등지에 분포하는 沖積層들이 第四紀 동안의 유일한 地層으로 대표되어 왔다. 따라서 韓半島의 第四紀 地質時代는 그 대부분이 堆積보다는 浸蝕이 우세하였던 시대로 認識되었으며 기존의 지질도들에 의하면 沖積層의 형성시기를 제외한 第四紀는 不整合으로 표시되었다. 이는 韓半島의 지질과 지형이 第四紀 地層이 형성되어 현재까지 殘存해 있을 수 있는 커다란 堆積盆地를 이루지 못한데 있다. 이와 반면에 現 地形의 산록이나 해안주변등에서는 서로 堆積 환경과 時代를 달리하는 第四紀 地層들이 소규모적이나 수직적으로는 良好한 분포를 보이는 지역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동해안의 3개지역(북평, 울진, 포항)과 서해안의 고창지역에서는 砂礫이나 砂質粘土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第四紀 地層들이 발달하여 있다. 本 地層들의 분포위치, 堆積相 및 古地磁氣 연구로서 地質時代를 규명하였으며 堆積構造와 粘土광물 분석등을 통하여 이들의 古環境을 해석하여 第四紀 동안 韓半島의 地質史를 규명하였다.

  • PDF

남중국해 남서부 지역에서의 지구조 분석 및 순차층서학적 연구 (Structure and Sequence Stratigraphy in the Southwestern Area of the South China Sea)

  • 이응규;이기화
    • 지구물리
    • /
    • 제2권3호
    • /
    • pp.179-190
    • /
    • 1999
  • 남중국해 남서부 남콘손분지 지역에서 광역적인 2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지역의 지구조적 분석을 시도하고,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한 지역에 대해 3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탄성파층서 분석을 통한 퇴적층서, 퇴적환경 및 구조적 진화 과정을 규명하였다. 3차원 탄성파 자료 및 2개 시추정자료를 활용하여 제3기 마이오세층에 대한 8개의 연계층을 해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도, 층후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각 연계층 및 연계층 경계면에 대한 탄성파상(seismic facies) 분석을 시도하였다. 3차원 탄성파지역의 특성은 연계층내 해침환경하의 퇴적층에서 석탄층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연계층 경계부 위에 하도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이오세 초기층은 석탄층 및 두꺼운 셰일층으로 대변되는 습지환경의 육해성 점이지대 퇴적층이 주로 분포하다가, 중기 및 후기 마이오세에 이르면서 본격적인 침강 및 해침 작용으로 천해성 대륙붕 환경하의 쇄설성 퇴적물이 두껍게 쌓인 것으로 해석된다. 연계층에 대한 층후도 및 구조적 발달 상태로부터 퇴적물은 서에서 동으로 혹은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다단계 수문과정을 고려하여 보정된 SWAT모형의 적용성 검토 (Assessing Applicability of SWAT Calibrated at Multiple Spatial Scales from Field to Stream)

  • 조재필;허용구;보쉬 데이비드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3호
    • /
    • pp.21-39
    • /
    • 2015
  • 유역 내부의 수문과정에 대한 관측치를 이용한 모형의 보정은 분산형 수문수질 모형의 적용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권장되지만, 관측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적용사례가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지에서 유역의 출구까지 여러 단계의 수문과정을 고려하여 분산형 수문수질모형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보정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미국 조지아의 South Atlantic Coastal Plain에 있는 한 농업유역의 수문과정을 모의하였다. 또한, 유사와 영양물질의 구체적인 하천운송과정을 모의하기 위해 SWAT모형의 QUAL2E 모듈을 이용하였다. 모형보정은 유역의 유출량 및 유사와 영양물질의 양 뿐만 아니라 경지에서 관측된 바이오매스, 토양 침식량 및 영양물질 발생량, 수변지역 (riparian buffer)에서 발생하는 유사와 영양물질 감소, 하천운송과정 등을 고려하여 수행되었다. 모형의 보정 및 검증기간은 자료기간과 토양보전농법의 시행기간을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보정된 모형의 적용성은 복수의 통계치 (NSE, RE, RSR 등)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보정된 모형은 유역의 출구에서 하천유량과 총질소량을 각각 NSE 0.93 및 0.59의 정확도로 모의하였다. 그러나 유사 (NSE: 0.40)와 총인량 (NSE: 0.45)모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SWAT의 QUAL2E 모듈을 이용하여 하천에서의 유사 및 영양물질 운송과정을 고려하는 것은 총인과 총질소 모의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다단계 수문과정을 고려하여 보정된 SWAT모형은 유역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문과정을 모의하는데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계측방법 및 계측된 자료의 분석방법의 변화에 따른 오차와 토지이용의 시공간적 변화를 모의에서 고려하지 못해서 발생한 오차를 감안하더라도, 보정된 모형은 유역출구에서 관측되는 유사와 영양물질 양을 정확하게 모의하는데 실패 (NSE < 0.5)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SWAT 모형의 보정에서 다단계 또는 유역내부의 수문과정을 고려하는 것이 유역출구에서 높은 모의 정확도를 얻는데 기여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벼의 숙기와 논의 인접환경이 쥐의 종류구성과 벼의 피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ice Ripening Time and Neighboring Habitat on Rodent Species Composition and Crop Damage)

  • 신영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5-139
    • /
    • 1974
  • 1973.9.7-10.11까지 우리나라에 있어서 농작물의 피해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쥐의 종류와 주요 서식처를 밝히고자 강원도와 경기도 일환을 대상으로 10개소의 논에 대하여 피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체적으로는 1971년도 벼의 평균피경률 조생종 $14.2\%$ 중만생종 $14.2\%$ 보다 월등히 남은 조생종 $063\%$ 및 중만생종 $0.26\%$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피해는 농가로부터 50m(간혹 l100m)이내에서 심하게 나타났고 피해의 원인이 되는 주요 쥐종류는 시궁쥐 (Rattus norvegicus Caraco)와 등줄쥐 (Apodemus agrarius)이었다. 1974. 4. 9-4.18까지 전국대표적인 지역을 순회하면서 농민과 농촌지도원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여론을 수집한 바 우리나라에 있어서 쥐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는 농촌부락에서 서식월동하는 쥐의 개체군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VHF DSC에 의한 동해권 어업 VMS의 통신운용 설계 (A Design on Radio-Communications Operation of the Fishery VMS by VHF DSC in the East Sea Area)

  • 최조천;정영철;김정욱;최명수;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4호
    • /
    • pp.371-377
    • /
    • 2013
  • 5톤 이상의 어선에는 VHF(Very High Frequency) 대역의 DSC(Digital Selective Calling)가 어선법과 선박안전법에 의무화되어 있다. 어선의 무선설비 관련 규정에는 안전운항을 확보하고 해양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선박의 소유자는 국토해양부장관의 고시에 따라 어선위치 자동발신 장치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어업정보통신국은 2012년 동해를 시작으로 남해와 서해에 연차적으로 VHF 해안국을 설치하고, 웹기반으로 리모트 콘트롤 및 모니터링에 의하여 DSC를 원격으로 운용하는 연안 VMS(Vessel Monitoring System) 구축사업이 추진중에 있다. 모든 어선의 VHF DSC는 GPS와 연동되며 DSC의 호출에 의하여 자동으로 위치정보를 중계소에 전송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해권의 VHF DSC 해안국을 대상으로 통신해역 설정과 운용 그리고 등록선박의 항해에 따른 권역별 로밍서비스를 실현하는 항적추적과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기법을 병행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The heavy Minerals of the Recent Sediments of North Carolina Sounds and Estuaries In U.S.A

  • Park, Byong-Kwon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73
    • /
    • 1972
  • The heavy minerals of a barred estuarine and lagoonal sediments along the North Carolina coast have been studied with more than one hundred samples. Currents, salinity, and pH exhibit well-developed gradients from the upstream parts of the estuaries on the west toward the open ocean on the east. Twenty- four heavy minerals were identified in sediments of the study area. However, less than half of these occur frequently and the remainder exist only in minor quantities or trace amounts. Heavy minerals usually comprise less than 1% of the sample but vary from sample to sample. The maximum amount of heavy minerals in sediments of sounds and estuaries is 2.4% and in sediments of Outer Banks is 16.7%. Opaque minerals range from 10 to 85% of the total heavy mineral assemblage. Garnet and sillimanite are relatively more abundant in the eastern part than the western part in the area. Garnet more abundant in the northern part than the southern part, whereas sillimanite is more abundant in the southern part than the northern part, because the garnet source is in the northern part and one of the sillimanite source is in the southern part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heavy mineral study indicate that the source of sediments is the Blue Ridge and Piedmont crystalline complex, and Coastal Plain formations. Some portions of sediments are transported from the Atlantic Ocean by the landward currents. They further indicate that the sediments of the Atlantic coast in the study area are transported mainly from the northern part to southern part by longshore littoral currents, and some portions of sediments are transported from the southern part to the northern part by the Gulf Stream.

  • PDF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업공동시설 입지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Plan of Common Farming Facility Using Space Syntax)

  • 임창수;오윤경;권순찬;윤지은;김은자;박미정
    • 농촌계획
    • /
    • 제21권3호
    • /
    • pp.131-144
    • /
    • 2015
  • With a view to creating beautiful farm villages, this study aims to exploit space syntax and thereby establish a systematic plan for refurbishing common farming facilities in farm villages by expanding a remodeling plan that has so far been focused on farm houses to cover different villages as well as in spatial scope. For this purpose, the study has extracted a system of categories for common ownership facilities in farm villages and applicable elements needed for collaboration in the space of joint production by perform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distribution of common farming facilities. Based on such categorization of applicable elements, the study conducted a field survey of the four types of farm villages such as suburban area (Hwaseong), inland farming-centered area (Jeungpyeong), coastal & plain area (Goheung), and mid-mountain area (Gangneung), through group discussions by participating researchers and field pilot surveys. Also, space analysis has come up with measurements based on the five criteria of integration, local integration, control, connectivity, and spatial depth. And a plan for type-specific remodelling of common farming facilities has been drawn up through standardization based on the values in integration for different villages and spatial depth for common farming facilities.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tudy consists in identifying how the location of common farming facilities influence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illages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and then drawing up guidelines for planning their placement.

MONNTORING AIR QUALITY AND ACIDDEPOSITION IN SOUTHERN U.S.

  • Allen, Eric R.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1997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 /
    • pp.1.1-32
    • /
    • 1997
  • Atmospheric monitoring capabilities were established in 1988 by the University of Florida at Duke forest, near Durham. NC: Cary forest, near Gainesville, FL: and Austin forest, near Nacogdoches, TX. Continuous (hourly averaged) measurements of air quality (ozone, nitrogen oxides and sulfur dioxide)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were made at these three low elevation (< 200 meters), rural locations in the southeastern U.S. for more than three years. During the same period at these sites wet and dry acid deposition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an event and weekly basis, respectively The monitoring locations were selected to determine actual atmospheric exposure indices for southern pine species in support of on-site surrogate exposure chamber studies conducted by Southern Commercial Forest Research Cooperative (SCFRC) investigators. Daily and quarterly averaged ozone maxima were higher (55 ppb) at the northernmost site in the network (Duke forest) in the second and third quarters (spring and summer seasons) and lower (35 ppb) in the first and fourth quarters (winter and fall seasons), when compared to ozone levels at the two southernmost sites (Cary and Austin forests). Seasonal ozone levels at the latter two sites were similar Nitrogen oxieds and sulfur dioxide levels were insignificant (< 5 ppb) most of the time at all sites, although soil emissions of NO at two sites were found to influence nighttime ozone concentrations. Typical maximum quarterly and annual aggregate ozone exposure indi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Duke forest (92.5/259 ppm-hr) than those values observed at the two southern sites (65.6/210 ppm-hr). Acid deposition (wet and dry) components concentrations and deposition fluxes observed at the Duke forest, NC piedmont site, were generally greater, dependent on site and season, than corresponding variables measured at either of the two southern coastal plain sites (Cary and Austin forests). Acid deposition variables observed at the latter two sites were remarkably similar,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lthough the sites were located 1300 km apart. A comparison of deposition fluxes of elemental nitrogen (NO3, NH4') and sulfur (5042-, SO3) components in wet and dry forms indicated that wet deposition accounts for approximately 70% of the total nitrogen and 73% of the total sulfur input on an annual equivalent basis at all si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