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groundwater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3초

Active Exchange of Water and Nutrients between Seawater and Shallow Pore Water in Intertidal Sandflats

  • Hwang, Dong-Woon;Kim, Gue-Buem;Yang, Han-Soeb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4호
    • /
    • pp.223-232
    • /
    • 2008
  • In order to determin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nutrient profiles in the shallow pore water columns (upper 30 cm depth) of intertidal sandflats, we measured th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and seawater at various coastal environment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the intertidal zon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 water showed marked vertical changes with depth, owing to the active exchange between the pore water and overlying seawater, while they are temporally more stable and vertically constant in the sublittoral zone. In some cases, the advective flow of fresh groundwater caused strong vertical gradients of salinity and nutrients in the upper 10 cm depth of surface sediments, indicating the active mixing of the fresher groundwater with overlying seawater. Such upper pore water column profiles clearly signified the temporal fluctuation of lower-salinity and higher-Si seawater intrusion into pore water in an intertidal sandflat near the mouth of an estuary. We also observed a semimonthly fluctuation of pore water nutrients due to spring-neap tide associated recirculation of seawater through the upper sediments. Our study shows that the exchange of water and nutrients between shallow pore water and overlying seawater is most active in the upper 20 cm layer of intertidal sandflats, due to physical forces such as tides, wave set-up, and density-thermal gradient.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준설매립공법에 관한 연구 (Dredging and Reclamation Technology for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 신은철;오영인;이학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창립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1-45
    • /
    • 2000
  • Geotube is made of permeable but soil-tight geotextile, hydraulically filled with soil include dredged sand and mud, which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hydraulic and coastal engineering projects. Ceotube method is getting popular and being used a lot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because of the simplicity of the placement and construction, cost effectiveness and minimum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enable to store & isolate contaminated materials as obtained by harbor dredging. Laboratory tests and field construction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design methodology and construction procedures. From the results of laboratory and field construction, the retention ratio of solid particle is a minimum 86%. The minimum permeability and the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are $\alpha$ x 10$^{-4}$ cm/sec and 20t/m, respectively Also, based on the environmental test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method does meet the Korean EPA standards.

  • PDF

토양에 유출된 유류의 오염도 조사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Oil Spills in Soil; Oil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Soil)

  • 박규홍;박준범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39
    • /
    • 1997
  • Between 40,000 and 60,000 liters of light oil were spilled when an underground pipe broke at a newly constructed landfill site in coastal area, Korea. Methods were presented to examine the subsurface distribution of the contaminants in hydrocarbon-contaminated soil. As results, large quantities of oil and grease were found to have migrated horizontally at the site. Oil and grease plume at concentrations of 38-88 mg/kg was formed horizontally through silty sand with gravel fill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taminants was thought to be limited to groundwater level between 2 and 4 m corresponding to sea water level. Right after finding the leakage area, the early action of excavation and pumping out the mixture of groundwater and oil was taken and it was proved to be very effective for preventing further contamination. Two months after the leakage, oil and grease in sea water sample near contaminated area was not detectable.

  • PDF

조석, 파랑의 침투와 지하수 거동 (Tide, swash infiltration and groundwater behavior)

  • ;;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3-162
    • /
    • 1997
  • 시간평균된 해안의 지하수위는 내륙쪽에 강우가 없는 경우에도 평균해수면 (Mean Sea Level)보다 1내지 2미터 정도 높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러한 해안의 지하수위상승현상은 주로 파랑과 조석의 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상승에 미치는 조석 및 파랑의 효과를 현장관측결과를 통해 정량적으로 보여주었으며, 또한 이들 각각의 작용에 기인한 지하수위상승에 대한 해석해 및 최근 이론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최근 지하수의 수리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에서 파랑의 침투 (wave runup infiltration)효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는 바, 본 연구를 통해 종래에 보고된 바 없는 swash zone (shoreline과 runup limit사이)에서의 파랑의 침투속도(분포)를 지하수위관측자료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산정함으로써 해안의 지하수위예측모델링을 보다 정확히 수행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제주 서부 지역 해수침투 방지를 위한 적정 양수량 산정기법 (Optimal Groundwater Development Estimation to Prevent Saltwater Intrusion in Western Jeju Island)

  • 김민규;장선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527-535
    • /
    • 2018
  • 제주 서부 지역은 해수침투로 인해 농업 활동이 지장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서부 유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의 발생 원인을 밝히고 이에 따른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3차원 밀도기반 지하수 유동 모델인 SEAWAT을 사용하여 정밀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담염수 경계면이 내륙방향으로 이동한 것은 몇십미터 수준이었으나 해수 쐐기에 의한 계절별 관정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밝혀내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부 지역에서 대표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는 고산 지역을 대상으로 해수 쐐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적정 양수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적정 양수량은 제주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뭄 대응 기준수위 정책과 연계한 방식이기 때문에 향후 연구를 통해 실제 사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부산시 해안 인근 지역에서의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거동 영향 평가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of ground-water by impacts of tunneling at coastal urban region in Busan)

  • 김형수;이주현;안주희;정의진;김준모;윤운상;정상용;이진무;우상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7-464
    • /
    • 2005
  • In the case of tunneling, the equilibrium state of hydro-geologic environments destroy and change abruptly in some section of whole works. Specially, it's very possible for seawater to intrude toward the site of tunnel if the field is nearly located in a costal region.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mechanism related between groundwater flow and seawater intrusion that by impacts of tunneling. Various hydro-geological field tests have performed for getting four representative hydrogeologic properties of geologic formations such as transmissivity (T), storativity(S), longitudial dispersity(${\alpha}_L$), and effective porosity($n_e$). For the effect of tunneling, the numerical model was first simulated based on the governing equation of groundwater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drawdown was 17.2m and the total inflow into the tunnel had the range from 0.48 to $3.63m^3/day/m$. Secondly, the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analyzed to investigate a characteristic of seawater intrusion based on the previous simulated results of groundwater flow. The results showed the seawater moved as the range of $200{\sim}220m$ from the initial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groundwater toward the tunnel.

  • PDF

역삼투 담수화 시설의 생산단가 절감을 위한 저 염도 지하 기수 개발 (Development of minimum-salinity feedwater for reduction of unit production cost of reverse-osmosis desalination plants)

  • 박남식;장치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5호
    • /
    • pp.431-438
    • /
    • 2016
  • 역삼투 해수 담수화 공법의 주요 단점으로 여겨지고 있는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해안선을 통하여 바다로 유출되는 담수 지하수를 활용하여 낮은 염도의 원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 염도 지하 염수는 담수화 비용 뿐 아니라 표류 해수 취수의 알려진 단점을 극복하는 데도 유리하다. 지하 염수의 염도는 해안선을 통하여 바다로 유출되는 담수 지하수량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화 시설에 필요한 수량을 최저 염도로 충족시킬 수 있는 지하 염수 관정의 위치 및 양수량 분포를 산정할 수 있는 최적 전산설계모델을 개발하였다. 해안 지역에서 지하 염수를 개발하면 대수층으로 해수가 추가 침투하여 다른 사용자의 지하수 관정을 오염시킬 수 있다. 본 모델은 지하 염수 관정의 최적 설계 시에 기존 지하수 관정을 해수 침투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지하수 수질 관측에 의한 제주도 대정수역의 지하수계 및 오염특성 분석 (Interpretation of Groundwater System and Contamination by Water-Quality Monitoring in the Daejung Watershed, Jeju Island)

  • 우남칠;김형돈;이광식;박원배;고기원;문영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5호
    • /
    • pp.485-498
    • /
    • 2001
  • 본 연구는 제주도 남서부의 대정수역 30개의 우물에 대하여 지하수 수질의 주기적 관측을 통하여 이 지역의 지하수 수질과 오염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수질 분석은 주 양.음이온 및 산소-수소-질소 등위 원소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은 Na(Mg)-HCO3 유형이 우세하며, 국지적으로는 Ca-HCO$_3$, NaCl 유형 등도 나타난다. 지하수 시료의 주 이온함량 린 EC 값의 변화, 질산성질소와 염소이온과의 상관관계 등으로 부터 지하수 수질의 시공간적 변화는 국지적으로 발달된 지하수 유동경로의 변화, 강우의 함양과 이에 따른 지표오염 물질의 유입, 해안지역에서의 해수침투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질산성질소에 의한 오염도의 변화는 강우의 함양사건에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질간성질소의 월별 농도를 보면, 정도의 타이는 있으나 강우 후 2~8배의 농도 증가를 보이고 있다. 지하수의 산소 . 수소 동위원소비는 시기별로 채취된 피하수가 서로 다른 강우로부터 기인하였음을 지시한다. 질소 동위원소 자료를 사용하여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원을 정성적으로 추분하고, 공간적인 오염 영향범위를 평가하였다. 축산폐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되는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NO$_3$-N농도가 높고 $\delta$$^{15}$ N의 값도 5$\textperthousand$ 이상으로 나타난다. 동남부의 농작지역에서는 NO$_3$-N 농도는 논으나 $\delta$$^{15}$ N의 값은 5$\textperthousand$ 이하로 나타난다. 지하수의 지속적인 수질관측 자초는 지하수 함양과 이에 따른 지표오염물직의 유입에 의한 지하수 오염현상을 시 .공간적으로 평가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Geotechnical challenges at waste landfill sites in Japan

  • Katsumi, Takeshi;Inui, Toru;Kamon, Masashi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72-185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case histories and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geotechnical challenges at waste landfill sites in Japan. Due to the limitation of inland space available to waste disposal, coastal landfills and the associated containment systems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particularly for metropolitan areas. Experimental works on heavy metals mobility using a large column to simulate the redox potential at the coastal landfill sites are introduced. After the closure of landfill sites, the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new land space, since new space is difficult to find in urban area. In the redevelopment of such closed landfill sites, there are possibilities of environmental risks, such as generation of toxic gas and leachate, differential settlement of the waste layer, damage to the lining system. Whether the pile installation through the clay layer acting as a landfill bottom barrier is environmentally acceptable or not has been a great concern in the redevelopment of closed waste landfill sites in particular coastal landfill sites. An analytical study to evaluate the cost-effective remedial option for a dumped waste site located along a landslide area, where cut-off wall keyed into the aquitard might elevate groundwater level and thus may not be employed, is presented.

  • PDF

해수침투지역에서 1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의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One-dimensional Electrical Resistivity Sounding Data in Saline Water Intrusion Areas)

  • 송성호;이규상;김진성;성백욱;박남식;홍성훈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8-37
    • /
    • 2005
  • Although experimental analysis for groundwater sample at wells located systematically are very effective to delineate seawater intrusion region at coastal area, this method is restricted in few wells and time. We have conducted electrical resistivity sou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