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gulation pretreatment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7초

차아염소산과 철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탈수효과 (The Effect of the Use of Sodium Hypochlorite and Iron Salts on Sewage Sludge Dewaterability)

  • 성일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8-63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improvement to sludge dewaterability and coagulation for sewage treatment plant sludge by us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NaOCl), ferric sulfate [$Fe_2(SO_4)_3$] and zeolite. The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SRF), chloride, pH and turbidity were used to evaluate the sludge dewatering behavior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By varying the amount of NaOCl added the optimum result in terms of enhancement for pretreatment occurred when 34 mg/l of NaOCl was injected. When the total solids concentration of the sludge was 10,000 mg/l, the optimum ferric sulfate dosage for the sludge dewaterability was 150 mg/l and the corresponding SRF was $1.7{\times}10^7sec^2/g$. It was observed that injecting zeolite into sludg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waterability of sludge.

용담호소 내 Chlorophyl-a와 유기물 저감을 위한 부상기법 적용 연구 (A Study for Application of DAF Technology to Remove Chrolophyl-a and Dissolved Organic Compound in Yongdam Reservoir)

  • 독고석;이형집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03-309
    • /
    • 2006
  • Yongdam reservoir located in Jeoliabuk-do has had a lot of concerns for its algal blooming since it has started to fill water. Many water utilities near Yongdam area use reservoirs even though they have some problems with certain algae that cause tastes and odors and clog filters. In this research, dissolved air flotation (DAF) technology was examined for feasibility for removal of algae. OAF can save the capital cost for its compactness, because its hydraulic loadings (overflow rates) are 10 times higher than sedimentation, and hydraulic detention times are much shorter, typically 5 to 15 minut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PAC is effective rather than Alum to DAF for pretreatment. Higher DOC plays an important role to change zetapotential negatively to inhibit destabilization of particle to coagulation. The length of pipeline to carry pressurized water into reactor does not affect reaction.

Treatment of surface water using cold plasma for domestic water supply

  • Nguyen, Dung Van;Ho, Phong Quoc;Pham, Toan Van;Nguyen, Tuyen Van;Kim, Lavan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412-417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using cold plasma to treat surface water for domestic use purpos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old plasma was an effective method for destroying bacteria in water. After treatment with cold plasma, concentration of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dramatically reduced. Besides, cold plasma significantly removed water odor, increased dissolved oxygen and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oxygen demand. However, cold plasma significantly raised the concentration of nitrite and nitrate. Other disadvantages of treating with cold plasma were conductivity increase and pH reduction. Pretreatment steps of coagulation, flocculation, sedimentation and sand filtration followed by disinfection with cold plasma exhibited a high efficiency in surface water treatment. All parameters of surface water after treatment by using the prototype satisfied with the allowance standard of domestic water quality.

세라믹 정밀여과막 공정을 위한 최적 약품세척 방안 (Optimum Chemical Cleaning Conditions for Ceramic Microfiltration Membrane Process)

  • 임재림;이경혁;이영주;박종율
    • 멤브레인
    • /
    • 제22권6호
    • /
    • pp.461-469
    • /
    • 2012
  • 본 연구는 Y 정수장의 세라믹 정밀여과막 공정을 위한 최적의 약품세척 조건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세라믹 막 공정의 전처리로 오존과 응집공정이 있는 A계열의 경우 응집공정만 있는 B계열에 비해 9배 정도 잦은 약품세척(CIP)를 실시하였다. 이는 전처리 공정의 차이로 인하여 A와 B계열의 막오염현상이 다르게 나타난 근본적인 원인 이외에 막제조업체가 제시한 CIP 방법이 부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CIP 회복률이 보정여과유속이 아니라 보정차압을 기준으로 계산되어 과대평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구연산이 철산화물에 의한 파울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1단계 산세척 약품종류를 달리하여 CIP 효율을 평가한 결과 황산(0.1 N)과 구연산(1%)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회복률이 가장 높았고, 황산(0.1 N)만을 사용한 경우 회복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황산의 농도를 0.3 N로 높인 결과 산세척 효율은 증가하였으나 알칼리세척 회복률이 낮아져 총회복률은 0.1 N 황산을 사용한 것과 유사하였다. 산과 알칼리세척 순서를 바꿔서 CIP를 수행한 결과 산세척을 먼저 수행시 CIP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장 전처리 및 금속 정밀여과 공정을 이용한 하수처리 (Sewage Treatment Using Electric Field Pretreatment and Metal Membrane Microfiltration Process)

  • 정종태;김종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15-2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금속 정밀여과 시스템에 전기장 처리 공정을 적용할 경우 막오염 저감, 미생물 불활성 그리고 응집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전기장 처리공정을 적용할 경우의 누적투과량은 전기장 처리공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수리학적체류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누적투과량 증가뿐만 아니라 총저항 값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장 강도를 증가시킬 경우 $100{\mu}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입도분포량이 증가했고 미생물 생존 개체수는 감소했다. 이는 입자들의 쪼개짐 현상과 미생물 불활성에 의한 세포 파괴현상 때문이다. 전기장 강도 10kV/cm에서 95%의 탁도 제거율을 비교한 결과 전기장 처리 공정을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공정보다 약 75%의 응집제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한 반순환여과양식시스템의 배출수 내 고형물 응집 효율 및 입도 분포 (Flocculation Efficiency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Total Suspended Solids in the Effluent from Semi-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Treated with Polymers)

  • 서준혁;운성천;김지수;박정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0-16
    • /
    • 2022
  • Interest in effluent treatment is currently increasing and the use of polymetric coagulants is considered as a pretreatment of physical filtration prior to effluent discharge to increase solids recovery. A jar test evaluated effluent treatment efficiency of polymeric coagulants for semi-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The particle coagulation efficiency and distribution were evaluated at different polymer dosages in freshwater and seawater effluents. The polymer was added at 0.005-0.08 mL/g of total suspended solids (TSS) in the effluents. TSS in the supernatant after coagul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polymer dose in the freshwater, while showing no corresponding changes with dose in the seawater. However, in all treatments for both effluents, the removal efficiency was above 90%, regardless of the dose in the tested range. Both the De Brouckere Mean Diameter (DBMD) and volumetric median diameter (VMD) were all above 100 ㎛ in the freshwater effluent. In the seawater effluent, the particle size appeared to be larger than that in freshwater, ranging from 400-1,000 ㎛ for both DBMD and VMD. Considering that the typical pore size of physical filtration in aquaculture is between 60 and 200 ㎛, the use of polymers is expected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physical filtration for efficient treatment.

Compa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two UF pilot plants at the Alto da Boa Vista WTP (São Paulo, Brazil)

  • Oliveira, T.F.;Mierzwa, J.C.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2권3호
    • /
    • pp.175-185
    • /
    • 2011
  • Ultrafiltration is an emerging technology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because it produces better water quality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systems. More recently, the combination of UF technology with other processes in order to improve its performance has been observed. These associations aim to maximize the contaminants removal and reduce membrane foul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contaminants removal and water production of two UF pilot plants was compared. The first plant (Guarapiranga) was fed with raw water and the second plant (ABV) with pre-treated water by the coagulation,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processes at Alto da Boa Vista WTP (Sao Paulo, Brazil). Both units operated continuously for approximately 2,500 hours, from September/2009 to January/20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BV UF pilot plant was able to operate at higher specific fluxes (6.2 $L.d^{-1}.m^{-2}.kPa^{-1}$ @ $25^{\circ}C$) than Guarapiranga (3.1 $L.d^{-1}.m^{-2}.kPa^{-1}$ @ $25^{\circ}C$). However, the number of chemical cleanings conducted in both pilot units during the considered operation period was the same (4 chemical cleanings for each plant), which shows that the pre-treatment reduced the membrane fouling. The water quality at ABV for all the variables analyzed was better, but the feed water quality was also better due to pretreatment. The rejection values for the different contaminants were higher at Guarapiranga mainly because of a pollution load reduction after pre-treatment at ABV. Even with the better performance of the ABV UF pilot plan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mplexity of the complete treatment system, and also the cost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full-scale treatment unit.

낙동강 하류의 정수처리 공정에서 pH, 오존 및 응집이 트리할로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Control, Ozonation and Coagulation on THMs Formation in Dringking Water Treatment Process of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이정규;손희종;김상구;황영도;류동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05-111
    • /
    • 2017
  • 본 연구는 낙동강 하류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장에서 전염소 처리시 pH 조절, 오존처리, 응집이 THMs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원수의 pH를 낮추면 전염소 처리에 의해 THMs 생성이 저감되었다. pH를 9.5에서 9.0로 낮추면 THMs 생성이 18.3%, 9.0에서 8.0으로 낮추면 14%, 8.0에서 7.0으로 낮추면 7%, 9.5에서 8.0으로 낮추면 29% 감소되었다. 염소처리 전에 저농도의 오존($0.11{\sim}0.48mg{\cdot}O_3/DOC$)을 주입하면 오존을 주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THMs 생성을 6~24% 정도 저감시킬 수 있었다. 전오존 1.0 mg/L을 주입한 원수에 염소 2.5 mg/L를 주입하고 alum 40 mg/L, 황산 6 mg/L를 주입한 경우 THMs 생성농도가 염소만 처리한 경우에 비해 42% 감소하였다. 정수처리공정에서 전오존 처리 후에 염소를 투입하고 응집이나, pH 조절을 하면 취수구에서 pH만 낮추는 경우에 비해 THMs 제어에 더 효과적이다. 염소 2.5 mg/L를 주입한 후 alume 40 mg/L 주입하여 응집실험을 한 결과, THMs 생성농도가 염소만 투입한 경우에 비해 pH 저하로 인해 19%, 천연 유기물질(NOM)의 제거로 18% 정도 저감되었다. 응집은 pH 저하와 유기물 제거를 동시에 유발하기 때문에 pH를 낮추는 경우에 비해 THMs 생성농도 저감에 효과적이었다.

혐기성 소화액의 막분리를 위한 전기응집 전처리 연구 (Application of electro-coagulation for the pretreatment of membrane separation of anaerobic digestion effluents)

  • 김신영;장인성;김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665-467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혐기성소화액을 분리막으로 고/액 분리할 때 발생하는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응집을 전처리 공정으로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전기응집 공정의 전극면적, 전류밀도 및 접촉시간에 따른 막오염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극 침지 면적이 작은 경우 전계의 세기가 높아져 미생물 플록 및 셀의 파괴 현상으로 인한 용존 COD의 증가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전극 침지 면적이 큰 경우에 용존 COD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T-P는 전극에서 용출된 알루미늄 이온과 침전하여 전기응집 후 크게 감소하였다.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막 투과 플럭스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막오염 저항값 (Rc+Rf)은 감소하였다. 혐기성 소화액의 입자 크기는 전기응집 후에 약간 증가하였으나 입자크기 증가가 막오염 저감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응집으로 발생한 $AlPO_4$와 같은 무기성 부유 물질이 분리막 표면에서 dynamic membrane으로 작용하여 막오염을 저감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폐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응집제의 주입방법 결정 (Determination of the Coagulant Injection Methods for Efficient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 박세진;정병길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70-575
    • /
    • 2018
  • 폐수수탁처리업에 반입되는 산업폐수의 원수 성상이 매일 달라짐에 따라 전처리 공정인 응집침전공정의 효율적 운전이 어려운 실정이며, 이로 인해 후처리공정인 증발농축 및 대체 공정인 membrane 공정의 부하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폐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응집제 주입 방법별(단독주입, 동시주입, 순차주입, 역주입) 응집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NaOH 주입 전 후 폐수 원수를 채수하여 실험하였다. 응집실험은 Jar-tester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응집제주입방법별 TDS 제거효율은 순차주입(2.8 %) < 단독주입(3.9 %) < 동시주입(8.1 %) < 역주입(9.6 %) 순으로, TOC 제거효율은 단독주입(84.3 %) < 역주입(86.2 %) < 순차주입(88.6 %) < 동시주입(89.1 %) 순으로, 탁도 제거효율은 단독주입(99.7 %) < 순차주입(99.8 %) ${\fallingdotseq}$ 역주입(99.8 %) < 동시주입(99.9 %) 순으로 각각 나타내어,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 결과 순차주입방법(무기응집제${\rightarrow}$고분자응집제)보다 무기응집제 및 고분자응집제를 동시에 주입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