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m 비율

검색결과 1,330건 처리시간 0.03초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볼낙(Sebastes inerm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ebastes inermi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8-175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볼낙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볼낙은 거의 대부분이 $1\~9\;cm$의 체장 범위였다. 볼낙은 잘피밭에서 주로 단각류(옆새우류와 카프렐라류)와 요각류를 먹었으며, 그 외 새우류, 게류, 복족류, 어류 등을 소량씩 먹었다. 볼낙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변하였다 크게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었는데, 작은 크기 (2cm SL 이하)에서는 요각류를 가장 많이 먹었다.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크게 낮아진 반면, 단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중간 크기 ($2\~9\;cm\;SL$)에서는 단각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그러다가 일정 크기 (10 cm SL) 이상이 되면 잘피밭을 떠나 인근 바위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단각류 대신 새우류나 어류로 먹이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각류를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먹었으며, $2\~3\;cm$ 소형 볼낙이 많이 유입된 봄에는 요각류를 비교적 많이 먹었다.

  • PDF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달고기($Zeus$ $fab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 안영수;박주면;예상진;정재묵;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0-26
    • /
    • 2012
  • 거문도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달고기($Zeus$ $faber$) 462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달고기의 표준체장(SL)은 7.8~40.2 cm 범위였다. 달고기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달고기는 갈치 ($Trichiurus$ $lepturus$),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노랑벤자리($Callanthias$ $japonicu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갈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두족류 (Cephalopoda), 새우류 (Macrura),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 15 cm 이하의 개체에서는 어류와 두족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두족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5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북동 태평양 심해저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조성 (The faunal composition of meiobenthic community in the deep-sea sediment, northeastern Pacific Ocean)

  • 김동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42-47
    • /
    • 1997
  • 북동 태평양 심해저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조성 및 분포양상을 보기 위하여, 다중 주상 시료 채취기(Multiple corer) 및 상자형 시료 채취기(Box corer)를 사용하여 10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집하였다. 전 정점에서 18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각 군집의 비율을 보면 Sarcomastigophora가 가장 우점하여 35.8%, 그 다음 Nematoda가 30.8%, Crustacea의 Naup1ius larvae가 그 다음으로 11.9%의 조성비율을 보였다. 또, benthic Harpacticoida, Ciliophora가 주요 생물군으로 이 5개의 주요 동물군이 전 정점의 중형저서동물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총 개체 수는 정점 4(수섬 4960 m)에서 가장 높은 196 inds./10 $cm^2$을 보였고 정점 1(수심 4969 m)에서 가장 낮은 85 inds./10 $cm^2$을 보였다. 각 정점의 평균 개체 수는 $1.34{\times}10^5\;inds./m^2$ 이였다. 수평분포는 수심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직분포는 표층 0~1 cm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퇴적물내의 심도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통영 연안에 출현하는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corpion Fish, Sebastiscus marmorat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 백근욱;여영미;정재묵;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8-134
    • /
    • 2011
  • 경남 통영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 324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쏨뱅이의 표준체장(SL)은 9.8~30.1 cm 범위였다. 쏨뱅이의 위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쏨뱅이는 멸치(Engraulis japonicus), 청어(Clupea pallasii), 망둑어류(Gobiidae)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멸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새우류(Macrura)와 게류(Brachyura)를 섭식하였으며, 그 외에 집게류(Anomura), 갯지렁이류(Polychaete), 이매패류(Bivalvi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이 16 cm 이하의 개체는 새우류와 게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새우류와 게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점점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9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 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쏨뱅이의 위 내용물을 계절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였다. 어류는 여름, 가을, 겨울에 중요한 먹이생물인 반면 게류와 새우류는 봄에 주로 섭식되었다.

거리측정의 오차비율 오프셋을 적용한 보정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the Compensation Algorithm based on Error Rate Offset of Distance Measurement)

  • 최창용;이동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14-919
    • /
    • 2010
  • CSS(Chirp Spread Spectrum)기반에서 SDS-TWR(Symmetric Double Side-Two-Way Ranging)의 거리측정 정확도는 실험에 의하면 전파환경 간섭으로 인해 일부 레인징 구간에서 매우 큰 오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인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측정거리의 오차비율 오프셋을 적용한 SDS-TWR의 보정 알고리즘($CA_d$)을 제안하였다. $CA_d$는 두 노드를 LOS(Line Of Sight)환경에서 1~25m까지 1m 간격으로 SDS-TWR으로 거리 값을 측정하여, 거리보정에 필요한 각 파라미터의 값을 계산한 후 이를 사용하여 거리값을 보정한다. 제안한 보정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결과, $CA_d$는 SDS-TWR에 비해 오차가 평균 95cm, 최대 오차가 526cm 감소하였고, 는 25m에서 약 60cm의 오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제안한 $CA_d$는 LOS 환경에서 SDS-TWR에 비해 매우 정밀한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3 Spot DR를 이용한 척추 전장 촬영 시 모형 왜곡도 비교를 통한 유용성 연구 (The Study of Effectiveness of 3 Spot DR for the Whole Spine Radiography with Comparison of Phantom Distortions)

  • 김상현;이미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345-3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평면 모형의 가로, 세로 비율과 가상 cobb의 각도를 측정하는 등의 화상의 왜곡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3 spot DR 척추 전장 촬영 방법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팬텀은 $H(40cm){\times}V(116cm){\times}D(2.3cm)$ 크기로 납판이 삽입 된 격자형 아크릴로 만들었다. 제작 모형을 사용하여 각 장비에 각각 3회, OFD를 변경하여 총 9회 촬영하였고 납 격자의 가로, 세로 길이와 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모형에서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여 Cobb 각도를 측정하였다. 가로 세로 비율은 CR은 0.98~1.01, scan DR은 0.96~0.97, 3 spot DR은 0.99~1.01로 측정되었다. Cobb 각도는 각각 $52.5{\sim}53.3^{\circ}$, $52.1{\sim}54.3^{\circ}$, $52.8{\sim}53.2^{\circ}$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에 의해 평면 모형을 이용한 본 연구에서 척추 전장 촬영을 위한 3 spot DR 촬영 방식의 영상은 왜곡이 없는 정확한 방법이다.

Characterization of Cu(In1-x,Gax)Se2 Thin film Solar Cell by Changing Absorber Layer

  • 김살롬;김기림;김민영;김종완;손경태;임동건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4.2-314.2
    • /
    • 2013
  • CIGS 박막의 물성은 조성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특히 박막 내 Cu/(In+Ga) 비는 매우 중요한 변수로서 태양전지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Cu(In1-xGax)Se2 박막의 전하농도 및 반도체로의 성격을 가장 명확하게 결정하는 조성비는 Cu/(In+Ga) 비이다. 태양전지와 같은 소자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Cu/(In+Ga) 비가 1보다 작아야 한다. 고효율의 태양전지는 Cu/(In+Ga)조성이 0.85~0.95로 slightly Cu-poor가 되어야 만들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Cu조성에 따른 CIGS 박막의 구조적, 전기적 특성과 CIGS 태양전지 효율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세구조 분석결과 Cu 조성이 증가함에 따라 큰 결정립을 가지며 결정립의 성장이 고르게 되어 접합 형성을 좋게 하는 경향을 보였다. X선 회절 분석결과, Cu 함유량 비율이 증가하면서 <112>의 우선배향성에서 <220/204>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Cu/(In+Ga) 비율이 1이상이 첨가됨에 따라 우선배향은 다시 <112>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EDX 분석결과 Ga/(In+Ga) 0.31, Cu/(In+Ga) 0.86의 비율일 때, Carrier density $1.49{\times}1016$ cm-3을 나타내었다. CIGS의 태양전지의 효율 측정결과 Voc=596mV, Jsc=37.84mA/cm2, FF=72.96%로 ${\eta}$=16.47%를 달성하였다.

  • PDF

단판 함수율이 지방산·글리세롤·pMDI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I) - 상태접착력 - (Effect of Veneer Moisture Content on Bonding Strength of Plywood Bonded with Fatty Acid-Glycerol-pMDI Adhesive(I) - Dry Bonding Strength -)

  • 최진림;이택준;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29-35
    • /
    • 2006
  • 본 연구는 단판 함수율을 0%, 3%, 5%, 8%, 15%, 30%로, 지방산: 글리세롤: MDI의 당량비율을 1:1:2, 1:1:3, 1:1:4, 1:1:5, 1:1:6 으로 달리하여 상태 (비내수)접착력을 조사하였다. 함수율 0%, 3%, 5%, 8%, 15%에서는 지방산 : 글리세롤 : MDI 당량비 1:1:2 일때, KS F 3101(보통합판) 기준 접착력 $7.0kgf/cm^2$를 상회하였으며, 함수율이 커질수록 접착력이 점차 감소하여 각각 $13.7kgf/cm^2$, $1.6kgf/cm^2$, $11.2kgf/cm^2$, $9.8kgf/cm^2$, $7.4kgf/cm^2$ 순으로 나타났다. 함수율 30% 에서는 지방산 : 글리세롤 : MDI 당량비 1:1:6 일 때, 강도 $8.1kgf/cm^2$로 KS 규격 접착력을 만족하였다. KS 규격 접착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단판의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MDI 비율을 높여야 한다.

양식 1년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전장 및 성별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수준 및 혈액학적 성상 (Serum Steroid Hormone Level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One-year Cultured eels, Anguilla japonica Based on Total Length and Sex)

  • 전민지;한경민;배준영;유진형;이계안;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7-272
    • /
    • 2003
  • 양식산 뱀장어의 어체 크기에 따른 성비와 혈액학적 성상 및 성호르몬 함량을 조사하였다. 전장 40∼50 cm 사이의 뱀장어에서는 수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50 cm 이상의 뱀장어에서는 암컷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암$.$수 모두 생식소 발달 초기 단계였다. 수컷과 암컷의 혈액학적 성상에 있어서 헤마토크리트 값은 40∼50 cm 그룹의 수컷이 크기가 큰 암컷 그룹의 결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헤모글로빈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수컷의 혈중 GOT 결과는 전장 40∼45 cm 그룹에서 157$\pm$3.46 IU/L로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으며, 암컷은 가장 큰 그룹인 55∼60 cm의 뱀장어 집단이 148$\pm$3.46 IU/L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 0.05). GPT의 결과는 암$.$수 모두 55∼60 cm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혈중 성호르몬의 함량은 암$.$수 모두 매우 낮은 값을 보였으나, 수컷에 비해 암컷의 T, E$_2$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농장 사육 타조 알의 난질 조사 (Investigation on the Egg Quality of the Ostrich Farming in Korea)

  • 송광택;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44-54
    • /
    • 2002
  • 이 실험은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타조(African ostrich) 신선란의 내 외부적인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타조의 난형은 장경 15.1~16.1cm, 단경 12.1~13.6cm로, 난형지수는 평균 81.0의 값을 나타내었고, 난각색은 계란보다 광택이 좋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계산식에 의한 난각강도와 난표면적 은 각각 $41.155kg/cm^3$$804.7cm^2$이었다. 타조 난의 난각두께는 난각막을 포함하여 1.89mm로, 각 부위별 난각두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난각막 두께는 0.10mm로, 적도부가 두껍고 둔단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각 기공수는 19.77개/$cm^2$으로, 첨단부의 기공수가 대체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 알의 총기공수는 약 15241개 정도로 측정되었다. 타조 알의 각 부위의 난중에 대한 비율은 난황 25.1%, 난백 58.2% 그리고 난각은 16.7%이었고, 난백에 대한 난황의 비율(Y/W)은 0.43을 나타내었다. 타조의 알에 대한 난백과 난황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난액에 있어 직경과 높이는 각각 19.7cm 와 13.2mm로 난백지수는 0.07 이며, H.U는 -69.7, pH는 8.3이었으며, 난황에 있어서는 직경이 14.4 cm, 높이 29.4 mm로 난황지수는 0.20으로 나타났고, pH는 6.6 이었다. 또한 난황색은 두터운 난황막으로 인하여 계란보다는 엽은 황색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