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thianidin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인삼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Pseudococcidae, Hemiptera]의 환경친화적 방제를 위한 친환경유기농자재 선발 (Selec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Control Agents for Controlling the Comstock Mealybug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Pseudococcidae, Hemiptera])

  • 서미자;신효섭;조신혁;곽창순;권혜리;박민우;김세희;조대휘;유용만;윤영남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79-484
    • /
    • 2011
  • 경기도 양평 인삼재배지에 발생한 가루깍지벌레는 7월 중순에서 8월 초까지 가루깍지벌레의 개체군 밀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인삼을 수확하기 시작하는 9월말까지도 주당 평균 8마리 이상이 발생하면서 지하부에 있는 인삼 뿌리까지 이동하여 피해를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내에서의 생물검정을 통해 고삼추출물과 파라핀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친환경유기농자재인 노버그와 깍삼이, GB-1, GB-2, GB-3, GB-5 등 6종을 선발하였다. 이들 6종의 친환경유기농자재는 화학합성 살충제인 clothianidin이나 thiamethoxam과 거의 비슷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선발된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인삼재배지에서 처리하여 방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고삼추출물과 파라핀유, 키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2종이 살충제 2종과 동일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배추나비고치벌 (Cotesia glomerata)에 대한 저독성 약제 및 잔류독성 (Selection of Low Toxic Pesticides and Residual Toxicity to Cotesia glomerata)

  • 최병렬;이시우;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51-259
    • /
    • 2007
  • 고랭지배추 재배지에 발생하는 나방류 해충의 방제에 생물적방제와 화학적방제의 조화로운 이용을 위하여, 배추 재배 시 사용되는 약제 중 배추좀나방의 천적인 배추나비고치별 (Cotesia glomerata) 에 대해 저독성을 보이는 약제를 선발하고 잔류독성을 평가하였다. 배추나비고치벌에 대한 저독성 약제선발 방법으로 먹이처리법 (Diet treatment method), 잎침지처리법 (Leaf dipping method) 및 충제침지처리법(Body dipping method) 을 확립하였다. 배추에 등록되어 있는 주요 살충제 31 종을 추천농도로 희석한 후 배추나비고치별 성충을 충체침지처리한 결과 22종이 저독성 약제로 선발되었으며, 배추에 등록된 살균제 및 제초제 15 종은 배추나비고치별 성충에 모두 독성이 낮았다. 배추에 13 종의 살충제를 처리하여 일수별로 배추나비고치벌 성충에 대한 잔류독성을 평가한 결과, 약제처리 l일후에 방사해도 안전한 약제는 thiacloprid, acephate, chlorfenapyr, clothianidin의 4 종이었으며, 3 일후에 방사가 가능한 약제는 imidacloprid, deltamethrin, thiamethoxam, dimethylvinphos, emamectin benzoate이었다.

11종의 살비제를 이용한 5개지역 닭진드기의 감수성 평가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of Red Poultry Mite, Dermanyssus gallinae (Acari: Dermanyssidae) in Five Regions to 11 Acaricides)

  • 이승주;윤종웅;박근호;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7-434
    • /
    • 2017
  • 5개 지역 양계장에서 채집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 성충에 대한 11종 살비제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Bifenthrin과 formic acid + pyridaben은 100배의 희석배수로 처리한 결과, bifenthrin은 5가지 지역에서 모두 100%의 살비율을 보였으나 formic acid + pyridaben 합제는 연천과 안성을 제외한 나머지 3지역(경주, 칠곡, 금산)에서 20% 이하의 낮은 살비율을 보였다. 카바메이트계 약제인 carbaryl은 경주(45.0%)를 제외한 4지역에서 100%의 살비효과를 보였다. 유기인계 약제인 dichlorvos는 연천을 제외한 4지역 모두 100%의 살비효과를 보였지만 연천은 66.7%의 살비율을 보였다. 연천과 안성지역의 양계장이 살비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3지역(경주, 칠곡, 금산)의 경우에는 약제에 따라 활성의 차이를 보였다. Clothianidin, thiamethoxam, fenitrothion, formic acid + pyridaben은 지역에 따라 살비활성의 효과에 차이를 보여 사용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나, carbaryl과 cartap hydrochloride, dichlorvos, bifenthrin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지역에서 활성이 높아 모든 지역에서 사용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양계장별 살비제 활성이 차이를 보이는바 효과적인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서는 살비제의 활성평가와 더불어 약제의 교호살포와 무분별한 사용을 지양해야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가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충북지역 한지형 마늘 재배지에서 파총채벌레와 파좀나방의 발생양상 및 몇 가지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 (Occurrence and Susceptibility to Several Insecticides of Thrips tabaci and Acrolepiopsis sapporensis on Northern-type Garlic Fields in Chungbuk Province)

  • 박영욱;이재선;정재현;민지현;장후봉;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51-258
    • /
    • 2019
  • 충북의 한지형 마늘 재배지에서 파총채벌레와 파좀나방의 발생양상과 약제검정을 수행하였다. 파총채벌레 발생양상은 3월 중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중하순경 부터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파좀나방은 3월 중하순에 발생이 시작되어 수확기인 6월 중순까지 2화기 발생하였다. 9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파총채벌레와 파좀나방의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실내 검정 결과 파총채벌레에 대하여 clothianidin SC, chlorfenapyr EC, dimethoate EC, imidacloprid WP, cyantraniliprole + thiamethoxam WG가 100%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파좀나방에 대해서는 cyantraniliprole EC, pyridalyl EW, spinetoram SG, abamectin + chlorantraniliprole SC가 100%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2종 해충에 대하여 실내검정에서 살충효과가 높았던 약제 각각 5, 4종을 대상으로 포장검정을 수행한 결과 모든 약제에서 처리 3일차에서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구기자 세척기의 세척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 세척방법 구명 (Optimized Washing Metho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Washing Machine for Boxthorn Berries)

  • 김웅;이승기;조희제;한재웅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7-19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optimal boxthorn berries washing method for developing the boxthorn berries cleaner. We analyzed the rate of removal of residual pesticides according to washing methods; 1st - habitual washing method, 2nd - drum rotation washing method, 3th - drum rotation and air bubble washing method, 4th - drum rotation and nozzle spray washing method, 5th - drum rotation and air bubble and nozzle spray washing method. A rate of removal of residual pesticides of 88% was detected in the drum rotation and air bubble and nozzle spray washing method, and a rate of 82% was detected in the habitual washing method. The drum rotation and air bubble and nozzle spray washing method appeared to be the best good washing effect compared to the habitual washing method(about 6% compared to 82.0% higher). Clothianidin Triadimefon, Triforine ingredients, the drum rotation and air bubble and nozzle spray washing method efficiency was lower compared to the habitual washing method removal efficiency.

Inspection of the Fragmentation Pathway for Thiamethoxam

  • Son, Sunwoong;Kim, Byungjoo;Ahn, Soenghee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8권3호
    • /
    • pp.65-68
    • /
    • 2017
  • Thiamethoxam is one of the main suspect in honeybee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Due to this reason, thiamethoxam including imidacloprid and clothianidin has been banned for two years in some Europe countries. The CCD phenomenon has also been reported in Korea. Regarding this issue and needs, a new project has started to develop the method for the quatitation of thiamethoxam using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IDMS). In the process of optimization for the IDMS method with thiamethoxam and $thiamethoxam-d_3$, we observed that the fragment peaks did not correspond to the fragmentation pathway as published elsewhere. Here, we proposed a candidate fragmentation pathway. To validate the proposed fragmentation pathway, another isotope analogue, $thiamethoxam-d_4$, was introduced and the MS/MS spectra of both isotope analogues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MS/MS/MS spectra of thiamethoxam were inspected for more evidence of the candidate pathway. Those spectra indicated that the proposed fragmentation pathway could be used to assign the fragment peaks of thiamethoxam.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of Different Groups of Pesticides to Honey Bee Workers(Apis Mellifera L.)

  • Ulziibayar, Delgermaa;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5-313
    • /
    • 2019
  • Honey bees (Apis mellifera) forage in agricultural areas, and are exposed to diverse pesticide poisoning. Toxic effects on Apis mellifera of different groups of pesticides were tested in the laboratory; fungicide (Metconazole), herbicide (Glyphosate), acaricide (Amitraz), organophosphate insecticide(Fenitrothion) and neonicotinoid insecticides(Thiacloprid, Thiamethoxam, Imidacloprid, Acetamiprid, Dinotefuran and Clothianidin). Commercial formulations were serially diluted from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RC) to 10-6 times to carry out feeding and contact tests. Toxicity was transformed into lethal dose (LD50) and hazard question (HQ). The acute toxicity of pesticides showed similar patterns between feeding and contact tests. But feeding tests showed greater toxic to honey bee than contact test. The organophosphate and nitro-neonicotinoid insecticides were highly toxic with HQ values ranging greater than 1. However, cyano-neonicotinoids of Thiacloprid and Acetamiprid showed low toxicity. Even at the RC, 24 hr mortalities were 18 and 30%. The acaricide (Amitraz) showed intermediate level of toxicity at RC but negligible at the concentration lower than 10-1 times. A fungicide(Metconazole) and herbicide(Glyphosate) showed minimal impacts. The results imply that the selective use of pesticides could help conservation of pollinators in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s.

몇 가지 살충제의 썩덩나무노린재와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독성 (Toxicity of Several Insecticides Against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and Gymnosoma rotundatum (Diptera: Tachinidae))

  • 정부근;임유진;이흥수;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57-460
    • /
    • 2014
  • 몇 가지 살충제에 대한 독성을 썩덩나무노린재를 대상으로 단감원에서 잔효독성으로 검증하였고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뚱보기생파리 성충을 대상으로 직접분무처리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흑색유아등으로 채집하였고 뚱보기생파리 성충은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methyl-(E,E,Z)-2,4,6-decatrienoate을 사용해서 끈끈이트랩으로 포획하였다. 비펜트린수화제, 뷰프로페진 디노테퓨란수화제, 클로티아니딘액상수화제, 디노테퓨란수화제, 티아메톡삼입상수화제 등 5종의 살충제 중에서 비펜트린수화제가 72시간 케이지 내 잔효독성 검정결과 썩덩나무노린재에 대해 93.1%의 사충율을 나타내었고 여타 살충제들은 다양한 사충율을 보였다.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사충율은 55.3~74.3%이었다.

뽕나무깍지벌레 1세대 부화 약충의 발생과 살충제 감수성 (Insecticidal Susceptibility and Emergence of First Instar Larvae of Pseudaulacaspis pentagona)

  • 이선영;이성찬;양창열;서미혜;최병렬;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35-339
    • /
    • 2019
  • 뽕나무깍지벌레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의 주요 해충이다. 뽕나무깍지벌레의 산란 및 부화특성과 복숭아 및 매실의 깍지벌레 방제용으로 등록된 살충제 10종(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벤퓨라카브 입상수화제. 피리플루퀴나존 입상수화제, 클로티아니딘 입상수용제, 뷰프로페진 수화제, 뷰프로페진+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입상수화제, 뷰프로페진+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벤퓨라카브+뷰프로페진 유제)의 살충제 감수성을 조사였다. 뽕나무깍지벌레의 1세대 부화시기와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5월 초에 가장 많이 발생해서 약 14일 정도 연속적으로 부화하였다. 부화율은 77.7% 였으며, 월동 암컷 성충 1개체의 평균 총 산란수는 58.7개, 평균 부화약충수는 45.7마리였다. 시험에 사용한 살충제 10종 모두에서 100%의 부화 약충 살충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약충 부화시기에 맞추어 약제를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방제가 가능한 것을 시사한다.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생태 특성 및 약제 살충 효과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orma delicatula and the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 박지두;김민영;이상길;신상철;김준헌;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3-57
    • /
    • 2009
  • 꽃매미의 형태, 생태적 특성 및 살충제의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백색으로 부화한 1령 약충은 흑색으로 변하며 흰 반점으로 덮여 있다. 4령 약충 이후에는 붉은색 등에 검은 반점을 띠고, 두 측면에는 날개딱지가 나타난다. 성충의 앞날개는 혁질로 2/3는 옅은 갈색을 띠며 20여개의 검은 반점이 외연부와 시맥에 고루 분포되어있다. 뒷날개의 1/2은 붉은색 바탕에 7-10개의 검은 반점과 흑갈색을 띠며, 날개의 맥은 흰색의 그물모양을 띤다. 성충은 1년에 1회 발생하였다. 꽃매미 2-3령 약충에 대해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텔타메스린, 클로치아니딘액상수화제가 처리 2시간 후 100% 살충율을 보여 약효가 신속하였다. 페니트로치온유제와 이미다크로프리드액제도 약제살포 24시간 후 100%의 살충율을 보였으나 치아크로프리드액상수화제는 다른 공시약종에 비해 살충율이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