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opathologic feature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위암 환자에 발생한 동시성과 이시성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ance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유영선;최은서;김성수;민영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256-261
    • /
    • 2009
  • 목적: 진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위암 환자에서 동시성과 이시성암이 발견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에서 발견된 동시성과 이시성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048명 위암 환자 중 38명(3.6%)에서 동시성과 이시성암이 있었다. 38명 중 16명(42.1%)은 동시성암이었고 22명(57.9%)은 이시성암이었다. 위암과 이차성 원발암 간의 평균 시간간격은 $27.08{\pm}31.25$개월이었다. 가장 흔한 중복암은 폐암(8/38, 21.1%)과 대장암(8/38, 21.1%)이었다. 27명의 환자가 위암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였으며 이 중 5명(18.5%)은 동시성암, 22명(81.5%)은 이시성암이었다. 평균 생존 기간은 49.8개월이었으며 동시성암의 경우는 24.6개월 이시성암의 경우는 68.1개월이었고 이들의 3년 생존율은 동시성암, 이시성암 각각 33.3%, 81.1%였다. 결론: 위암에서의 이차성 원발암 진단에 대한 진단에 있어 충분한 수술 전 검사를 통한 동시성암의 발견과 지속적인 추적검사를 통한 이시성암의 발견을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PDF

국내 보고된 특발성 폐쇄성세기관지염 기질화폐렴 24예와 문헌 고찰 (Twenty Four Cases of Idiopathic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Reported in Korea and a Review of Literatures)

  • 장중현;박사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5호
    • /
    • pp.709-717
    • /
    • 1999
  • 연구배경 및 방법 : BOOP는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일종으로 기질화폐렴의 특별한 한 형태로도 구분되는 아주 특별한 임상병리 소견을 가진 질환이다. 임상적으로는 내원 수주전부터 감기 유사증상을 앓다가 점차 악화되는 호흡곤란 증세로 내원하여 마치 폐렴양 소견을 보이며, 병리학적으로 폴립형의 육아 조직이 세기관지내에 충전되어 관강내 용종양 조직을 형성하고 폐포관에까지 침범된 기질화된 폐렴의 소견을 보인다. 최근, 저자등은 본원에서 경험한 다섯 증례와 국내의 학술지상에 증례 보고된 19예를 합하여 그 임상적 특성에 대해 분석해 보고 국외의 문헌보고 결과들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결 과 : 국내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54세이었으며 여성에서 약간 더 많이 발생하였다. 병원에 내원한 주증상은 호흡 곤란 및 기침이었으며 그 지속기간은 평균 41일이었다. 흉부진찰에서 흡기시 악설음이 흔히 관찰되었고 여러 혈액학적 검사소견은 저산소혈증외에는 비특이적이었으며 이들 소견만으로는 폐렴과 구분하기 어려웠다. 폐활량검사에서는 제한성 혹은 폐쇄성과의 혼재형 환기장애가 주소견이었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양측성, 반상의 비엽성 폐포침윤을 보였고 고해상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잘 확인되었다. 다른 간질성폐질환과는 달리 부신피질호르몬의 치료에 잘 반응하여 양호한 예후 및 경과를 보였다. 상기 국내의 결과는 국외 문헌보고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시에 대체적으로 유사 소견을 보였으나 국내는 여자에서 더 흔히 발생한 차이가 있었으며 엑스선 소견 및 임상경과 등에 대해서는 좀더 추적조사를 하여 비교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 폐렴양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임상양상이 비전형적이고 진행시에는 임상소견 및 방사선학적 소견 등을 BOOP의 관점에서 재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 질환은 부신피질호르몬제에 비교적 빠른 반응을 보이며 조기 진단으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성급한 치료종결시 재발이 잘 되며 급격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할 수도 있는 질환이므로 BOOP가 의심되고 치료에도 병이 진행성일 때 적기에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함이 중요하다.

  • PDF

Central, Extraventricular and Atypical Neurocytomas: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35 Cases from Pakistan Plus a Detailed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 Ahmad, Zubair;Din, Nasir Ud;Memon, Aisha;Tariq, Mohammad Usman;Idrees, Romana;Hasan, Shee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565-1570
    • /
    • 2016
  • Background: Central neurocytomas are rare neuronal neoplasms with a favorable prognosis. They are typically located in the lateral ventricles of the brain and mostly histologically correspond to WHO grade II with a Mib 1 labelling index of <2%. Similar tumors located in the cerebral hemispheres and spinal cord, for example, are called "extraventricular neurocytomas". A few tumors histologically show atypia, mitoses, vascular proliferation and/or necrosis and a Mib 1 index >2 % and are designated as "atypical neurocytomas. Aim: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scribe the common as well as unusual morphologic features and the role of various immunohistochemical stains in the diagnosis of these rar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ieved and reviewed 35 cases diagnosed between 2001 and 2015. Results: Sixty percent of patients were males, and the mean age was 26 years. 31 cases (88.6%) were intraventricular and 4(11.4%) were extraventricular. Histologically, 6 cases (17.1%) were compatible with "atypical neurocytomas". All cases showed the classic morphology comprising nests and sheets of uniform, round cells with uniform round to oval nuclei with finely speckled chromatin and perinuclear cytoplasmic clearing (halos). All cases also showed delicate, fibrillary, neuropil-like matrices. Other common histologic features included capillary-sized blood vessels in a branching pattern in 57.1%, foci of calcification in 34.3% and perivascular pseudorosettes in 20%. Rare findings included Homer-Wright or true rosettes in 8.6% and ganglioid cells in 2.9%. Synaptophysin was the most consistent and valuable marker, being positive in almost all cases. GFAP positivity in tumor cells was seen in 25.7% of cases. Follow up was available in 13 patients. Of these 9 had histologically typical and 4 had atypical tumors. Only 1 (with an atypical neurocytoma) died, probably due to complications of surgery within one month, while 12 (including 3 with atypical neurocytomas) remained alive. Recurrence developed in 1 of these 12 patients (histologically consistent with typical morphology) almost 9 years after surgery. Only 4 patients, including 2 with atypical tumors,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ll with surgery in 2010 or later. Overall, prognosis was excellent with prolonged, recurrence free survival and most patients, even without receiving radiation therapy, were alive and well for many years, even a decade or more after surgery, without developing any recurrence, indicating the benign nature of these neoplasms.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Liposclerosing myxofibrous tumor) - 1예 보고 - (Liposclerosing Myxofibrous Tumor - A case report -)

  • 유창영;정은선;박경신;이연수;지원희;강창석;이교영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6-130
    • /
    • 2006
  •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은 섬유골을 형성하는 양성 골질환으로 대퇴골 원위부의 전자간 부위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 질환은 지방종, 지방황색종, 점액종, 지방섬유종, 섬유형성이상 유사 병변, 낭의 형성, 지방괴사, 허혈성 골화 또는 연골 형성 등 다양한 조직학적 소견이 뒤섞여 있는 특징을 보인다. 비록 일부에서는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을 섬유형성이상이나 골내 지방종 또는 기타 다른 양성 병변의 한 변형으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을 하나의 독립된 질환으로 인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저자들은 48세 여자 환자의 대퇴골 전자간 부위에서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의 전형적인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는 증례를 경험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이 병변은 방사선 투과성 및 젖빛 유리와 같은 특성을 보였고 주변은 경화성 골조직으로 싸여 있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점액조직, 지방종 그리고 섬유형성이상 유사 조직이 주류를 이루었다.

  • PDF

Clinical implication of adjuvant chemotherapy according to mismatch repair status in patients with intermediate-risk stage II colon cancer: a retrospective study

  • Kang, Byung Woog;Baek, Dong Won;Chang, Eunhye;Kim, Hye Jin;Park, Su Yeon;Park, Jun Seok;Choi, Gyu Seog;Baek, Jin Ho;Kim, Jong Gwa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141-149
    • /
    • 2022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adjuvant chemotherapy according to the mismatch repair (MMR) status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patients with intermediate- and high-risk stage II colon cancer (CC).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5,77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C and underwent curative surgical resec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gok Hospital. The patients were enroll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1) 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primary CC; (2) stage II CC classified based on the 7th edition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system; (3) intermediate- and high-risk features; and (4) available test results for MMR status. A total of 286 patients met these criteria and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Among the 286 patients, 54 (18.9%) were identified as microsatellite instability-high (MSI-H) or deficient MMR (dMMR). Although all the patients identified as MSI-H/dMMR showed better survival outcomes, T4 tumors and adjuvant chemotherapy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For the intermediate-risk patients identified as MSI-low (MSI-L)/microsatellite stable (MSS) or proficient MMR (pMMR), adjuvant chemotherapy exhibited a significantly better disease-free survival (DFS) but had no impact on overall survival (OS). Oxaliplatin-containing regimens showed no association with DFS or OS. Adjuvant chemotherapy was not associated with DFS in intermediate-risk patients identified as MSI-H/dMMR.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the use of adjuvant chemotherapy was correlated with better DFS in MSI-L/MSS or pMMR intermediate-risk stage II CC patients.

Type 3 Gastric Neuroendocrine Neoplasm Clinical Features: A Multicenter Study in Korea

  • Kyong Joo Lee;Hee Man Kim;Sang Kil Lee;Ho Sun Choi;Jie-Hyun Kim;Seun Ja Park;Sung Chul Park;Byung Ik Jang;Jin Tae Jung;Tae Joo Jeon;Jong Hun Lee ;Jae Kyu Sung;Semi Park;Yoon Jae Kim;Jae Hee Cho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86-90
    • /
    • 2017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type 3 gastric neuroendocrine neoplasm (NEN) by treatment modality. Methods: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Cancer conducted the Korean Gastroentero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 Registry, a retrospective registry database of gastroentero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s from 16 hospitals in Korea. The normal serum gastrin level range was defined as <100 pg/mL, and gastric NEN patients with normal gastrin level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Among 358 patients with gastric NEN, 21 (5.9%) patients were classified with type 3 gastric NEN. The median age was 53 years (range 30-74). According to the WHO 2010 classification, 13 (61.9%) patients had grade 1, and 8 (38.1%) patients had grade 2 or 3. Endoscopic treatment was performed in 14 (66.7%) patients, and surgery was performed in 7 (33.3%) patients. The tumor size was smaller in the endoscopic treatment group than in the surgery group (0.6 cm vs 1.3 cm, p=0.006). After treatment, there was one recurrence in the surgery group. Conclusion: In small size Type 3 gastric NEN, endoscopic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a good prognosis, compared to surgery. Thus, endoscopic treatment can be used an alternative modality in selected cases of type 3 gastric NEN.

  • PDF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사구체신염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신 조직내에서 HBs Ag 과 HBe Ag의 발현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HBsAg and HBeAg Expressions in Hepatitis B Virus-associated Glomerulopathy)

  • 정수진;김영주;윤혜경;정우영;김영훈;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1호
    • /
    • pp.50-59
    • /
    • 1998
  • 목적 : HBV 감염과 연관된 신병증의임상 및 검사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고, HBeAg과 HBsAg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신생검조직에서 시행하여 이들 항원의 사구체내에서의 면역학적 발현을 관찰하므로써 이 질환의 발생 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하였다. 방법 : 1990년 4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사구체신염으로 신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부산백병원 해부병리과에 병리조직검사가 의뢰된 증례 중 혈청 HBsAg 양성인 28례를 대상으로 임상 및 검사소견을 조사하였고, 신조직의 광학현미경적, 면역형광학적, 전자현미경적 검사와 HBsAg과 HBeAg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연령 분포는 6세에서 73세였으며 소아 환자가 8명이었고 성인 환자는 20명 이었다. 평균 연령은 28세였고, 남녀 비는 3:1 이었다. 내원당시 67.9%에서 혈뇨, 75.0%에서 단백뇨를 보였고 57.2%에서 신증후군을 나타내었다. 전 예에서 혈청 HBsAg이 양성이었고, 혈청 HBeAg은 검사가 시행된 9례 중 6례 (66.6%)에서 양성이었다. 2. 간기능검사가 시행된 11례 중 7례 (63.6%)에서 AST와 ALT치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이중 간생검이 시행된 3례 모두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진단되었다. 3. 28례 중 막성 사구체 신염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MGN)이 10례 (35.7%)로 가장 많았으며, 메산지움중식성 사구체신염 (mesangi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MesGN)이 8례 (28.6%),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 (membranoproliferaive glomerulonephritis : MPGN)은 7례 (25.0%) 그리고 미세변화질환 (minimal change disease : MCD)가 3nl (10.7%)순이었다. 4. HBV와 연관된 MGN에서는 혈관간 세포의 증식 및 혈관간 기질의 확장이 자주 관찰되었으며, 사구체간질 내와 내피하 침윤도 동반되어 MPGN을 시사하는 소견이 함께 관찰되는 예가 많았고, HBV 항원 혈증에 동반된 MPGN에서는 내피하 침윤 뿐 아니라 기저막 내 및 상피세포하 침윤도 종종 관찰되었다. 5. 신조직의 면역조직화학검사상 HBsAg은 모두 음성이었으나 HBeAg은 28례 중 8례 (28.6%)에서 사구체 모세혈관벽을 따라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이 중 3례는 혈치 HBeAg 검사를 받았는데 모두 양성이었다. 결론 : HBV와 연관된 사구체신염은 다양한 병리학적 양상을 보여주며, 특히 MGN과 MPGN에서는 전자현미경소견상 두 질환의 특징이 중복되어 나타났고, 사구체내에서 HBeAg이 검출되어 HBV의 활동성 정도와 사구체신염의 발생이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더 많은 연구보고가 있어야 하겠다.

  • PDF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s)

  • 강태호;안지영;김용석;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4호
    • /
    • pp.270-276
    • /
    • 2006
  • 목적 : Borrmann 제4형 위암은 일반적으로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를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 분석하고, Borrmann 제4형 위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 받은 4,416명의 진행 위암 환자 중 Borrmann형 분류 및 생존여부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3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TNM 병기 및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위벽침윤도,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 모두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았고, 근치적 절제술 비율이 낮았다. 5년 생존율은 Borrmann 제4형이 20.7%로 다른 형의 5년 생존율 53.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동일 병기에서도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위벽침윤도,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치유도 그리고 Borrmann 제4형이 위암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였다. 결론: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시 임상병리학적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동일 병기에서도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어 이를 고려한 예후 판단과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PDF

위암에서 조직학적 특징에 따른 혈청 E-cadherin의 농도 (Concentration of E-cadherin Correlated with Pathologic Features in Gastric Cancer)

  • 허훈;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전해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3호
    • /
    • pp.156-163
    • /
    • 2004
  • Purpose: While E-cadherin in normal cells induces calciumdependent cell-cell adhesion, in malignant cell, it plays a role in invasion and metastasis with a reduction of adhesion. Serum soluble E-cadherin is a result of the reduction of the cellular E-cadherin molecule and is found in the circulation of normal individuals, but it is particularly known to be increased in patients with malignancies. Accordingly, through checking the level of serum soluble E-cadher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analyzing it in the view of clinicopathology, we investigated whether serum soluble E-cadherin could be translated into a clinicopathologic esult and used as a tumor marker. Materials and Methods: The investigation targeted 88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gastric cancer by the Department of Surgery, St. Mary's Hospital, from October 1, 2002, to July 30, 2003, and who had under gone performed surgery. We measured the level of preoperative serum E-cadherin in the 88 patients by unsing ELISA. Among them, we collected gastric cancer tissues from 54 patients and executed immunohistochemistry for E-cadherin. The samples were compared with normal tissues in terms of both serum E-cadherin level and immunohistochemistry level, as well as with other clinicopathologic factors. Result: The mean serum E-cadherin level of the 88 patients was 4368.7 ng/ml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in 12 normal control patients, 3335.5 ng/ml (P=0.016). In terms of clinicopathology, the serum level of E-cadher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ing age (P=0.0006) and was higher in positive venous invasion patients (P=0.0005). When the E-cadherin immunohistochemical stain was compared with the serum E-cadherin level in 54 patients, no significan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was obtained (P=0.2881). However, 4 patients with serum E-cadherin levels about 6000 ng/ml were classified into the lower expression group ($<80\%$ of E-cadherin immunohistochemicals stain. In the analysis for 36 patients who were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the serum E-cadherin level in lymph-node-metastatic patients was higher than it was in the other patients (P=0.0442). Conclusion: The serum E-cadherin level in gastric cancer patients was higher than the level in normal control patients. In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that the difference was increased. Also, since the E-cadherin level correlated with the serum E-cadherin level with venous invasion,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umor marker for gastric cancer. Particularly, in that the serum E-cadherin level cor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in early gastic cancer, it can be used when a therapeutic method for early gastric cancer is selected.

  • PDF

위에 발생한 위장관 간질성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치료성적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of the Stomach: Clinicopathologic Analysis and Outcome)

  • 류제석;이성렬;최새별;박성수;이주한;김승주;김종석;채양석;목영재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1호
    • /
    • pp.40-46
    • /
    • 2005
  • 배경: 위장관 간질성 종양(GISTs)은 위장관계에 발생하는 간엽성 종양이다. 위장관 간질성 종양은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 c-kit 단백 발현의 양성을 나타내며 그 임상적 경과는 매우 다양하다. 저자들은 위장관 간질성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예후 인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1996년부터 2003년까지 위장관 간질성 종양으로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종양의 크기와 핵분열 정도에 따라 저위험도 집단(23예), 고위험도 집단(17예)으로 분류하였으며 두 군간 임상병리학적 특성, 면역조직화학 검사 결과 및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1.3\pm11.1$세이었으며 남녀비는 1:1,1이었다. 임상병리학적 소견으로는 수술 전 임상 증상이 있었던 경우와 수술 전에 조직학적으로 진단이 되었던 경우,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핵분열이 많을수록, 종양의 성상이 궤양을 동반하거나 괴사를 보일 때, 고위험군에 포함되는 빈도가 높았다. 단변량 분석 결과, 종양의 크기, 핵분열 정도, 궤양 및 괴사 소견 그리고 내시경적 초음파 이상소견이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인자들로 나타났으며,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핵분열 정도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나타났다. 관찰 기간 중 8예에서 재발하였으며 STI-571(imatinib mesylate, $Gleeveo^{R}$)을 사용한 4예는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으며 사용하지 않은 4예 중 2예는 질환이 진행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2P는 사망하였다. 결론: 위에서 기원한 위장관 간질성 종양에서 종양의 크기, 궤양 및 괴사 소견은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임상병리학적 소견이며, 핵분열 정도는 유용한 예후 인자라고 할 수 있다. STI-571은 재발 혹은 전이 환자에 있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술후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예후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