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skills training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자아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이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go 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s Basic Nursing Skills)

  • 박진아;홍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42-351
    • /
    • 2016
  • 기본간호학 교과목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을 하기 전에 간호실무를 경험하는 교과목으로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간호술기는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핵심적 간호술기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서 기본간호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입학동기, 전공만족도, 실습 흥미도에 따라 기본간호수행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자율실습 도움정도 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총 변량의 23.8%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의 활용과 자율실습을 활성화 하기 위한 교과목 운영 방법을 제언한다.

비행성향 청소년의 우울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with Delinquent Propensity)

  • 김정민;박준희;한경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4호
    • /
    • pp.31-41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with delinquent propensity and to examine its efficacy through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included cognitive restructuring, exposure training, social skills training and relaxation training. Juvenile Delinquency Scale, BDI, K-YSR, and BDHI were administered to 520 3rd grade middle-school female students to assess their levels of delinquency,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Initially 41 students who met all the following criteria were selected: 1) top 15% scores on Juvenile Delinquency Scale, 2) top 30% scores on BDI, K-YSR and BDHI respectively. Individuals currently receiving clinical treatment were excluded. Finally 39 studen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group(n=20) or a control group(n=19). Then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divided into 4 subgroups. The program consisted of 12 weekly sessions, approximately $1.5{\sim}2$ hours in duration. Pre- and post-tests administered to both groups included Juvenile Delinquency Scale, BDI, K-YSR, BDHI, and CLAB. Additionally, MESSY for teachers was added at pre- and post-test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2) Teachers repor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of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임상현장에서 간호사가 경험하는 의사와의 의사소통 : 포커스그룹 면담을 이용하여 (Communication with a Physician Experienced by a Nurse in a Clinical setting : Using Focus Group Interview)

  • 송미숙;윤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279-2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현장에서 간호사가 경험하는 의사와의 의사소통을 탐색하고 소통장애 해결 및 효과적인 소통을 위한 방안을 확인하기 위해 "간호사가 경험한 의사와의 의사소통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으로 포커스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는 각기 다른 임상경험을 가진 간호사 21명을 대상으로 면담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며, Downe-Wamboldt의 기준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원 자료로부터 의미 있는 구나 문장을 추출하여 4개의 주제모음과 12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부정적인 의사소통 결과 환자의 치료지연, 사직과 부서이동으로 이어졌으며,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당사자 간 갈등 해소, 조직적으로 대응, 형식화된 의사소통 방법으로는 인트라넷을 사용했다. 이에 의사와 간호사가 존중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각 부서에선 소통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 교육과정에서도 실제적이고 구체화된 의사소통 훈련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의사소통 기술의 훈련을 강화할 것을 제언한다.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호흡기감염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Nursing Student's of the Knowledge, Clinical Nursing Competency)

  • 허정;윤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35-4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질환 지식과 임상수행에 대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간호학과 4학년생 1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일부터 6월 15일까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전염성 호흡기계 환자 간호를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이다. 호흡기 감염병 교육 프로그램 '폐 감염병 지식', '손 씻기', '마스크 착용', '환자 및 간병인에게 마스크 착용 유도', '정맥주사' '3way 주사', '외과적 무균술', '소독 의료기기', '오염된 린넨 관리', '감염자 관리 매뉴얼' 등 10개 교육 과제 수행이며 강의, 기술 훈련,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으로 구성되었다.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호흡기 감염질환에 대한 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다양한 감염관리 실습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빈도, 수행자신감, 수행능력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A Study of Convergence on Frequency of Performance, Self-Confidenc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of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한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55-362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졸업학년 학생이 임상실습시 경험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빈도, 수행자신감, 수행능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27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15일부터 10월 28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임상 실습시 10회 이상 해보았다고 응답한 항목은 활력징후였으며 전혀 해보지 못했다고 응답한 항목은 수혈, 관장, 기관절개관 관리 순 이었다. 평가 전 수행자신감은 활력징후가 가장 높고 수혈이 가장 낮았으며 평가 후 수행자신감은 근육주사가 가장 낮았다. 수행능력은 산소요법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근육주사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수행빈도는 수행자신감(r=0.414, p<.001) 및 수행능력(r=0.322, p=.007)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수행자신감과 수행능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되었다(r=0.281, p=.003). 본 연구결과 임상실습이 비침습적이며 단순측정을 하는 위주로 되고 있으며 수행빈도가 적은 항목이 수행 자신감이 낮으므로 이들을 보완할 수 있는 융복합적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 확성, 의사소통만족도, 보고자신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BAR Report Education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Satisfaction, Reporting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정애화;김지영;문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29-114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 만족도,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며 2개 대학교에서 임상실습을 6주 이상 완료한 3학년을 편의 추출하였다. 대상자 수는 SBAR 보고교육을 받은 103명과 교육을 받지 않은 113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명확성과 의사소통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보고자신감은 의사소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3, p<.001)가 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보고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명확성(𝛽=.29, p<.001), 의사소통만족도(𝛽=.43, p<.001), 보고자신감(𝛽=.15, p=.009)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49.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실습 중 실무능력을 파악하여 보고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제도와 교수방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동영상 촬영과 피드백을 이용한 실습교육이 보건의료전공 대학생의 술기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Using Video Recording and Feedback on Skill Competency for Students of Majors in Health Care: A Meta-Analysis)

  • 신윤희;김선경;김현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0-133
    • /
    • 2018
  • Purpos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using video recording and feedback in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in clinical skills for health care majors. Methods: Six databases were searched and inclusion criteria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o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RTs) reporting level of skill competency using numerical measurements. Data analysis and synthesis were perform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and Revman program. Results: Of 1,568 records, 11 studies met inclusion criteri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using video recording and feedback was identified. A low risk of bias was detected among both RCTs and NRTs.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s had more effective improvements in skill competency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0.74; 95% CI: 0.33~1.16). Results of subgroup analysis showed higher effects when interventions dealt with one skill, used self-reflection with expert feedback, and included instruction from instructor in the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schools for health care majors should actively adopt video and feedback based skill training allowing educators to design effective programs. Potential is higher for students to achieve higher competency when they train with one skill at a time, use of instruction and receive feedback from experts.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에 관한 중요도 인식과 능력 차이분석 (Difference analysis of importance perception and ability of communic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 이선미;전미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1-50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 evidence for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necessary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required in the actual dental field.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27 members attending conservative education in 2020. Results: The following are mean scores of each area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importance: message conversion ability, 3.82 points; interpretation ability, 3.74 points; goal setting ability, 3.51 points; self-expression ability, 3.48 points;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3.46 points. The ability was interpreted in the following order: interpretation ability, 3.61 points; message conversion ability, 3.56 points; role performance ability, 3.43 points; self-expression ability, 3.32 points; and goal setting ability, 3.10 points. The highest score in terms of importance of awareness was 4.27 points, the highest among interpretive abilities, that is, to 'listen carefully to know what the other person intends to say.' When it comes to communication skills, the highest score was 4.12 points for 'a nod or a facial expression of understanding while listening to each other.' Conclusions: In devel oping a training program related to communication for dental hygienists at the clinical site, the curriculum reflecting seven items that needs improvement should be revised; an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skills will be improved.

시뮬레이션 융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신건강간호 교육요구도 조사 (Assessing educational needs in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training program on mental health nursing)

  • 김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25-432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건강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 특별히 시뮬레이션으로 융합 교육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140명의 간호대학생들에게 설문을 통한 조사가 2020년 3월~5월 사이에 이루어 졌다. 정신건강간호학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조현병 환자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각각 19문항과 15문항의 자가응답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추가적으로 3개의 서술형 질문을 통해 이전 시뮬레이션 경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 졌다. 조현병환자 간호에 대해 높은 교육요구도가 확인되었으며,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정신건강간호학과 조현병 환자간호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준화환자, 팀워크,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이 정신건강 간호학 시뮬레이션 교육의 긍정적 경험을 이끌어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의사소통기술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이 가장 우선시 할 필요가 있다. 잘 설계되고 실제와 같은 임상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융합교육이 최상의 학습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학습 효과 체계적 고찰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ic review)

  • 김정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45
    • /
    • 2021
  • Backgrou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ve difficulty acquiring motor skills through motor learning due to lack of motor planning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musculoskeletal dysfunction. Motor learning is the acquisition or modification of movements with the aim of developing skilled movements and behaviors. Cerebral palsy improve motor function through motor learning, and effective motor learning mainly depends on practice parameters such as learning feedback.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ry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Design: A systemic review. Methods: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from Jan, 2010 to Dec, 2020 and were searched using PubMed and Medline. The search terms are 'task specific training' OR 'motor learning' OR 'feedback(Mesh term)' OR 'goal activity' AND 'cerebral palsy(Mesh term)'. A total of eight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aper presented the quality level based on the research evidence, and also presented PEDro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ores to evaluate the quality of design studies in randomized clinical trial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otor learning coach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mproved motor function in post and follow up tests. Also, self-control feedback of motor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external control feedback. 100% external control feedback of motor learning is effective in the acquisition phase and 50% external feedback of motor learning is effective in the retain ph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ill be an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evidence on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arbitration method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develop clinical applicability and protoc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