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case

검색결과 9,812건 처리시간 0.045초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메치실린 내성균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박인철;김광수;박명진;이승훈;홍석일;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60-464
    • /
    • 1999
  • Methicillin-resistant Staphlococcus aureus(MRSA)는 다양한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며 제 3세대 cephalosporin계가 보급된 1980년대 이후 원내 감염의 중요 원인균으로 대두되고있다. 그러나 MRSA 동정의 오류나 실수로 인한 부적절한 치료에 문제가 있으며 항생제의 오용으로 인한 다제약제 내성획득이 임상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거 있다. 따라서 MRSA 감염의 적절한 치료는 이 원인 균의 신속하고 믿을 수 있는 동정을 필요로 한다.본 연구에서는 분자 생물학적인 동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항생제의 내성 기구인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 2‘(PBP2')를 암호화하는 mec A 유전자를 PCR 방법으로 증폭하여 MIC test 결과와 비교하여 MRSA를 동정하는데 PCR법이 유용한지를 판명하였다.각 환자의 다종 검체로부터 S. aureus 120균주를 분리하여 oxcillin으로 MIC test를 한 결과 MRSA의 비율로는 농에서는 MRSA가 61.9%로 가장 높게 판명되었다. 120균주 중 MRSA 40균주, MSSA 40균주를 성별하여 PCR 방법으로 동정하여 MIC test와 비교 한 결과, MRSA 1균주(2.5%), MSSA는 2균주(5%)의 차이만이 MIC test와 상이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PCR법으로 MRSA를 동정하는 것은 유용하며 일상검사 업무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모설의 치료 ($CO_2$ Laser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the Hairy Tongue)

  • 정다운;조은애;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3
  • 모설(hairy tongue)은 혀의 사상유두(filiform papillae)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혀의 배면후방 1/3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혀의 측면과 첨부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섭취하는 음식물과 색소유발 박테리아 등에 따라 백색에서 갈색,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의 착색을 보인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환자들은 주로 심미적인 문제로 병원을 찾으며, 드물게 오심, 구취, 미각이상, 불쾌한 느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강위생 관리 소홀, 구강 내 세균총의 변화, 감염, 방사선치료, 항생제, 면역 억제제 등의 사용, 과도한 음주, 흡연, 타액분비 감소 등이 소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상 소견이 매우 전형적이므로 육안으로도 진단이 충분히 가능하며, 생검은 필요하지 않다. 모설의 치료는 기본적인 유발요인들을 찾아서 제거해 주며, tongue cleaner 등을 이용해 혀를 부드럽게 닦아주도록 교육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keratolytic agent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설 치료에 외과적 술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발 요인 제거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호전이 없는 모설 환자에서,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디지털구내방사선사진의 구리당량화상에 대한 평가 (An Assessment on Cu-Equivalent Image of Digital Intraoral Radiography)

  • 김재덕
    • 치과방사선
    • /
    • 제29권1호
    • /
    • pp.33-42
    • /
    • 1999
  • Geometrically standardized dental radiographs were taken. We prepared Digital Cu-Equivalent Image Analyzing System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mandible bone. Images of radiographs were digitized by means of Quick scanner and personal Mcquintosh computer. NIH image as software was used for analyzing images. A stepwedge composed of 10 steps of 0.1mm copper foil in thickness was used for reference material.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tep numbers of copper wedge adopted for calculating equation. kVp and exposure time on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²)of the equation for conversion to Cu-equivalent image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Cu-Eq value(mm) measured at each copper step and alveolar bone of the mandi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r²) of 10 conversion equations ranged from 0.9996 to 0.9973(mean=0.9988) under 70kVp and 0.16 sec. exposure. The equation showed the highest r was Y=4.75614612-0.06300524x +0.00032367x² -0.00000060x³. 2. The value of r² became lower when the equ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copper stepwedge including 1.0mm step. In case of including 0mm step for calculation. the value of r showed variability. 3.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howed 0.11, 0.20 respectively at each copper step of 0.2, 0.1mm in thickness. Those of the other steps to 0.9 mm ranged from 0.06 to 0.09 in mean value. 4. The mean Cu-Eq value of alveolar bone was 0.14±0.02mm under optimal exposure. The values were lower than the mean under the exposures over 0.20sec. in 60kVp and over 0.16sec. in 70kVp. 5. Under the exposure condition of 60kVp 0.16sec..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howed 0.03. 0.05 respectively at each copper-step of 0.3, 0.2mm in thickness. The value of r² showed over 0.9991 from both 9 and 10 steps of copper. The Cu-Eq value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0.14±0.01mm and 0.07 at alveolar bone respectively. In summary. A clinical application of this system seemed to be useful for assessment of quantitative assessment of alveolar provided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obtained by the modified adoption of copper step numbers and the low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range of Cu-Equivalent value of alveolar bone from optimal kVp and exposure time for each x-ray machine.

  • PDF

Transbuccal versus transoral approach for manage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 prospective,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 Khandeparker, Purva Vijay Sinai;Dhupar, Vikas;Khandeparker, Rakshit Vijay Sinai;Jain, Hunny;Savant, Kiran;Berwal, Vikas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3호
    • /
    • pp.144-150
    • /
    • 2016
  • Objectives: We compared the transbuccal and transoral approaches in the manage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ith mandibular angle fractur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A, transoral approach; group B, transbuccal approach) who received fracture reduction using a single 2.5 mm 4 holed miniplate with a bar using either of the two approaches. Intraoperatively, the surgical time and the ease of surgical assess for fixation were noted. Patients were followed at 1 week, 3 months,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and evaluated clinically for post-surgical complications like scarring, infection, postoperative occlusal discrepancy, malunion, and non-union. Radiographically, the interpretation of fracture reduction was also performed by studying the fracture gap following reduction using orthopantomogram tracing. The data was tabulated and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A P -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between the two groups for variables like surgical time and ease of fixation. Radiographic interpretation of fracture reduction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group B from points B to D as compared to group A. No cases of malunion/non-union were noted. A single case of hypertrophic scar formation was noted in group B at 6 months postsurgery. Infection was noted in 2 patients in group B compared to 6 patients in group A.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occlusal discrepancy in group A compared to group B at 1 week postoperatively, but no long standing discrepancy was noted in either group at the 6 months follow-up. Conclusion: The transbuccal approach was superior to the transoral approach with regard to radiographic reduction of the fracture gap, inconspicuous external scarring, and few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 preferred the transbuccal approach due to ease of use, minimal requirement for plate bending, and facilitation of plate placement in the neutral mid-point area of the mandible.

Distribution of the lingual foramina in mandibular cortical bone in Koreans

  • Kim, Dae Hyun;Kim, Moon Yong;Kim, Chul-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6호
    • /
    • pp.263-268
    • /
    • 2013
  • Objectives: The interforminal region, between the mandibular foramen, is known as a relatively safe area that is free of anatomic structures, such as inferior alveolar nerve, submandibular fossa, and lingual side of the mandible is occasionally neglected for its low clinical importance. Even in the case of a severely constricted alveolus, perforation of the lingual cortical bone had been intended. However, anterior extension of the inferior alveolar canal, important anatomic structure, such as concavity of lingual bone, lingual foramina, and lingual canal,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rough various studies, and untypical bleeding by perforation of the lingual plate on implantation has also been repor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performed radiographic and statistical analysis on distribution and appearance frequencies of the lingual foramina that causes perforation of the mandibular lingual cortical bone to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untypical bleeding, during surgical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horizontal length from a midline of the mandible to the lingual foramina, as well as the horizontal length from the alveolar crest to the lingual foramina and from the lingual foramina to the mandibular border by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of 187 patients, who visited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various reasons from January 1, 2008 to August 31, 2012. Results: From a total of 187 human mandibles, 110 (58.8%) mandibles had lingual foramina; 39 (20.9%) had bilateral lingual foramen; 34 (18.2%) had the only left lingual foramen; and 37 (19.8%) had the only right lingual foramen. Conclusion: When there is consistent bleeding during a surgical procedure, clinicians must consider damages on the branches of the sublingual artery, which penetrate the lingual foramina. Also, when there is a lingual foramina larger than 1 mm in diameter on a pre-implantation computed tomography, clinicians must beware of vessel damage. In order to prevent these complications and progress with a safe surgical procedure, a thorough radiographic examination before the surgery is indispensable. Further, clinicians should retract lingual flap definitely to confirm the shape of the lingual bone and existence of the lingual foramina.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자에 관한 증례보고 (CLEIDOCRANIAL DYSPLASIA : REPORT OF A CASE)

  • 이연호;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03-708
    • /
    • 2005
  • 쇄골두개 이형성증은 구강내에서 치아의 맹출 지연과 함께. 두개골 쇄골 및 안면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증후군이다. 이 증후군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쇄골이 양측성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불완전한 구조로 존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두개골 성장에 있어서 전두골, 후두골판은 다른 골과는 다르게 크기가 증가하여 비정상적 인 형태의 머리모양을 보인다. 두개골의 어떤 부위에는 충분한 골성장이 결여되어 봉합선이 매우 넓어져 있으며 방사선 사진상에서 봉합이 열려있는 상태로 관찰된다. 코는 대개 편평하고 넓으며, 일반적으로 상악의 성장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하악이 커 보인다. 구강내 소견으로는, 유치의 흡수가 늦어지며, 그 결과 영구치도 정상인보다 늦게 맹출되는 양상이 관찰된다. 20세 이상의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자의 구강내에서 유치를 흔히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과잉치가 존재하는데, 이는 구강내 전체에 걸쳐 존재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자는, 영구치 맹출 장애가 일어날 때까지 자신의 치과적 문제점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지나서 치과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소아환자를 치료하는 치과의사는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자의 치열 발육에 관한 지식을 숙지하여, 이러한 환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PDF

외상 후 근관내로의 치조골 함입 (INVASION OF ALVEOLAR BONE INTO ROOT CANAL AFTER TRAUMATIC INJURY)

  • 임예진;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9-406
    • /
    • 2011
  • 영구치의 외상성 손상은 전체 외상 환자 중 높은 빈도로 발생하며 사고의 대부분은 치근이 미완성되어 있는 시기에 발생하여 치수, 치주인대, 치조골, Hertwig 상피 근초(HERS)에 다양한 영향을 주게 된다. 손상 정도에 따라 치수의 완전한 재혈관화, 근관 석회화, 근관내 치조골 함입 등의 다양한 치유 양상을 나타내며, 치근단의 성장 정지 및 치수 괴사로 인한 염증성 치근 흡수 등의 합병증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미성숙 영구치 치근단을 가진 세 환아에서 외상에 의한 Hertwig 상피 근초의 손상으로 발치와 기저부에 존재하는 치근막 세포와 골세포의 치수강내로의 증식으로 인해 치근 발육 정지 및 근관내로의 치조골 함입을 나타내어 보고하고자 한다. 외상 후 Hertwig 상피 근초의 손상에 의한 근관내로의 치조골 함입 치유 양상은 치수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유착 등의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감별 진단이 요구되며, 외상 받은 치아의 치료시 Hertwig 상피 근초에 대한 부가적인 외상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소아에서의 Garre 골수염 (GARRE'S OSTEOMYELITIS IN CHILDREN)

  • 우세은;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13-420
    • /
    • 2011
  • Garre 골수염은 혈류 순환 및 영양 공급의 장애로 골이 괴사되거나, 세균 감염이 증가되면 발생한다. Garre 골수염은 치수나 치주 감염에서 시작된 치성계 감염과 이의 진행에 따른 골막 하 농양이 주요 원인이 되며, 외상으로 인한 악골의 복합 골절시 2차 감염, 국소적인 치은의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상악에서보다 하악에서 많이 발생되며 호발 부위는 하악 제1대구치이다. 임상증상으로 이환 부위의 하악골은 팽창되어 있으나 구강점막은 정상적 색조를 가지며 안면 불균형을 나타낸다. 방사선사진 상 심한 우식증을 가진 치아의 치근단 병소를 관찰할 수 있으며, 자극을 받는 골조직 부위의 치밀골 증가로 골수강은 좁아지거나 폐쇄되며 외양이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의 투여, 원인치의 발치 또는 근관치료, 절개 및 배농술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15세 이하의 소아환자에서 악골 골수염이 발생한 경우, 장기적인 항생제 투여나 항생제 투여 및 근관 치료를 병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이다. 소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증상이 경미하므로 주의 깊은 병력 청취와 임상 검사를 통한 진단이 요구되며, 증상이 사라진 경우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추적 검사가 요구된다.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의 의도적 재식술 치험례 (INTENTIONAL REPLANTATION OF THE CROWN-ROOT FRACTURED TOOTH: A CASE REPORT)

  • 김수경;안승태;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1-386
    • /
    • 2010
  • 수직적으로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에서 파절은 치근을 따라 다양한 부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그 깊이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파절선이 치관부에 근접한 경우 치은 판막을 형성하여 파절 부위를 노출시키거나 교정적 또는 외과적으로 치아를 정출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파절선의 위치가 깊은 경우 그 예후는 불량하며 치근의 1/3 이상을 넘어선 경우에는 발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 중절치의 발치는 심미적 문제, 치조골 흡수, 발음 문제 등 여러 합병증을 초래하게 되므로 성장기 동안 치아를 보존하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한다. 그러므로 수직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 치아의 치료 시 발치 대신 복합레진으로 파절선을 수복한 후 재식하는 의도적 재식술을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파절이 치근 1/2 정도로 깊게 발생한 혼합치열기 환아에서 해당치아를 의도적으로 발치하고 복합레진으로 파절 부위를 수복한 후 재식하였다.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결과 특이한 임상적 증상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심미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술식에 민감하며 장기적 예후에 대한 보고는 부족하지만,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Survival Rate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of Short Implants)

  • 명태수;정승현;김태영;김유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12
  • 짧은 임플란트는 상악동이나 하치조신경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있거나 심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제한적인 치조제 높이를 가지는 부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센터에서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137명의 환자, 227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위치, 골이식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를 조사하였다. 변연골 흡수량은 Emago advanced v5.6(Oral diagnostic systems, Amsterdam, The Netherland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27개의 임플란트 중 8개가 실패하여, 전체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6.5 %로 나타났다. 골이식 부위와 상악에 식립된 경우 더 높은 실패율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임플란트의 길이와 직경은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 요인을 조사하였을 때, 상악의 불량한 골질과 골이식 유무가 임플란트의 더 높은 실패율에 영향을 미쳤다. 10 mm 이하 임플란트에서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과 보철물의 연결 고정은 임플란트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