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bing

검색결과 622건 처리시간 0.032초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를 운행하는 트램의 주행안전성 향상 기술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running safety of a tram operating on the concrete embedded track)

  • 서승일;문형석;김선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717-724
    • /
    • 2017
  •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를 운행하는 트램의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핵심 구성품인 대차를 개발하고 제작하여 시험 차체와 조립한 후, 단거리 급곡선 급경사 궤도를 건설하고 시험운행을 실시하였다. 대차의 급곡선 주행 중 차륜 플랜지와 매립형 궤도의 간섭을 검토할 수 있는 산식을 제시하였고, 산식 결과에 따라 궤도를 설계하였다. 간략화된 계산식을 도출하여 곡선에서 탈선계수와 윤중감소율을 추정하였다. 단거리 급경사 급곡선 매립형 궤도에서 대차와 차체가 주행할 때에 차체의 가속도를 계측하였고, 영상 시스템을 통해 차륜과 궤도의 인터페이스 상태를 점검하였다. 계산 추정 결과에 따르면 차륜의 탈선계수와 윤중감소율은 안전기준 이하였는데, 실제 주행 시험 중에도 탈선은 발생하지 않았고, 가속도 계측 결과도 주행 안전기준을 만족하였다. 또한, 차륜과 궤도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았고, 영상 모니터링 결과도 차륜의 올라타기 등 탈선조짐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앙의 피니언과 랙이 원활히 접촉하면서 양호한 주행안전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외부 소음 계측을 통해서 소음 기준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장교 케이블의 잔설 제거용 점검 로봇 개발 (Development of Inspection Robot for Removing Snow on Stays of Cable-Stayed Bridge)

  • 김재환;서동우;정규산;박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46-252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케이블지지 교량에서 케이블의 착설 및 잔설 등이 낙설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낙설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등 추가적인 2차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안전성과 실용성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 중 능동적인 잔설 제거 방법 중 하나인 케이블 로봇을 활용하고자 하였고, 잔설 제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로봇의 등반 능력을 높이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었다. 교량 케이블의 다양한 직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로봇의 가용 범위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케이블 잔설 제거 로봇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케이블의 표면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고해상도 카메라를 설치하고, 장력 측정을 위하여 3축 가속도계와 장력 변환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잔설제거 뿐만 아니라 겨울철 이외에도 케이블 점검 로봇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성능 검증을 위하여 실내 및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고, 향후 점검 로봇에 대한 개선사항에서 대해서도 제안 하였다.

DEVELOPMENT OF A PERSIMMON HARVESTING SYSTEM

  • Kim, S. M.;Park, S. J.;Kim, C. S.;Kim, M. H.;Lee, C. H.;J. Y. Rhee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
    • /
    • pp.472-479
    • /
    • 2000
  • A persimmon harvesting vehicle that can be operated in hilly orchards as well as a manipulator that can be used to harvest persimmons located in remote positions in the tree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The vehicle could be operated with keeping balanced position in an inclined field and its working platform could be moved up and down easy to approach fruits in a remote region with the aids of a hydraulic and a electrical and electronics systems. The weight of the vehicle was 927 kg and the center of gravity was located at 427 mm to the inner side from the center of a right driving caterpillar, 607 mm to a rear axle from the center of a front axle, and 562 mm to upward from ground. The automatic level control sensor for leveling the working platform was activated within 14.5 ∼ 16.5 degrees of slope variation. The total length of the manipulator was 1.39 m and weight is 975 g. It was powered by a 12 V geared motor to detach persimmon fruits with a rotational force. The gripper was made of plastic and rubber to increase a frictional force. In a performance evaluation test, static tipping angle, dynamic tipping angle toward front side when the vehicle was moving downward, climbing angl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were measured or calculated. In persimmon harvesting tests 24.9% of yield was increased by hand picking with the aid of the vehicle and additional 7% of yield were increased when the manipulator was used. Therefore, 99010 of total possible yield was achievable when both of the vehicle and the manipulator were used for the manual persimmon harvesting. Increase in 22.5% of total yield was achieved with the manipulator only.

  • PDF

Xanthomonas hortorum pv. hederae에 의한 헤데라 세균성점무의병 (Bacterial Leaf Spot of English Ivy Caused by Xanthomonas hortorum pv. hederae)

  • 이승돈;이정희;한경숙;서상태;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65
    • /
    • 2007
  • 2005년 용인의 헤데라 재배 온실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아래 잎에서 수침상 점무의가 형성되고 점점 커져 주위로 노란색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갈색의 반점을 형성하다가 잎 전체가 검게 말라 죽어 떨어진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한 후 헤데라의 잎에 주사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 및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리세균 SL4821과 SL4822를 X. hortorum pv. hederae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헤데라의 세균성점무의병으로 명명하였다.

착생에 따른 담쟁이덩굴 흡착근의 부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hesive Disks in Parthenocissus tricuspidata during Attachment)

  • 이명희;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2호
    • /
    • pp.139-145
    • /
    • 2011
  •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은 줄기에 형성된 흡착근으로 접촉 물체표면에 부착하여 식물체를 여러 방향으로 자라게 한다. 이들 흡착근은 접촉면에 일단 착생하면 잘 떨어지지 않는 부착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적벽돌 벽면에 담쟁이덩굴 부착 시 수반되는 흡착근과 벽면 간의 구조적 변화와 함유하는 성분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어 주사전자현미경과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분석법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담쟁이덩굴의 흡착근은 적벽돌 표면에 강력 착생하여 벽면을 피복하며 거의 모든 방향으로 생장한다. 이들이 벽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 흡착근 배축면 내부조직에서 분비하는 점액성 물질에 의해 흡착근-접촉면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접촉면 상에 있는 거친 표면이나 간극 또는 미세한 틈 사이로 침적된 분비물질들에 의해 흡착근과 접촉면은 빈틈없이 밀착된다. 강력 착생한 흡착근조직 내 세포들은 이미 사멸되고, 접촉면에 분비된 물질과 뒤엉키며 수축되어 벽면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강력한 착생구조체로 변형된다. 접촉면에 착생하였던 흡착근을 분리하여 하피 표면부위에 함유된 원소를 분석한 결과, 이들 흡착근조직의 표면부위에서 적벽돌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들이 거의 검출되었다. 이는 착생 전 후 흡착근- 접촉면 사이에서 진행된 물리적인 밀착 및 부착이 구조적 변형과 성분간의 상호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삼이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ON MICE EXPOSED TO VARIOUS STRESSES)

  • Saito Hiroshi;Bao Tiantong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97-105
    • /
    • 1984
  • 홍삼 추출물이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1. 줄타기 테스트와 같은 강제적 운동 2. 매달리기와 같은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쥐의 기억력의 감퇴 및 직장 체온의 변화 3. 매달리기와 같은 만성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쥐의 성행동능과 학습행동능 4. 매달리기와 같은 만성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성숙한 암컷쥐의 성주기 변화 5. $40{\%}$의 알콜을 투여한 후 rotar-rod및 step-through테스트를 통한 운동자율능과 수동성 시도 기피반응 홍삼의 투여는 경구투여 방법을 택하였다. 1. 강제적 운동을 시키기 전에 인삼을 투여하면, 강제적 운동수행능이 증가되었다. 2주동안 하루에 1회 강제적 운동을 시킨 후 바로 인삼을 투여하면. 생쥐의 강제적 운동수행능의 감소가 억제되었다. 2. 4일동안 하루에 1회 스트레스에 노출시킨 후 인삼을 경구 투여하면 step-through와 step-down 테스트에 대한 수동성 기피반응의 쇠퇴를 지연시켰으며, 직장온도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3 인삼투여는 성능력의 감퇴와 수동성 기피반응 수행능의 감퇴를 개선하였고. 수동성 기피반응의 쇠퇴를 지연시켰다. 인삼의 투여는 스트레스에 노출된 후 하루에 한번씩 2주동안 투여하였다. 4. 인삼투여로 스트레스에 의한 성주기의 파괴와 직장온도가 감소되는 것이 방지되었다. 5. 인삼투여로 알콜유발성 운동실조와 기억의 습득 및 회복의 저해가 보호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ostume of The Korean-Chinese Women in Yanbian, China - Focusing on 1990′s -

  • Zhang, Shun-Ai;Kim, Jin-Goo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4권1호
    • /
    • pp.25-33
    • /
    • 2001
  •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Chinese women's Costume in Yabian with factors such as reform opening-up, economic growth, change of social values, development of technology, more education opportunities and influence of mass media. It divides the 1990's into two halves. Photos, interview, observation and relevant literature were used for this study. Even though economy grew rapidly, they needed to purchase daily goods other than clothes. In a way that they preferred practicality, it showed somewhat it was still developing. The trend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was characterized : first, Synthetic or artificial fibers and ready-made suits were popular ; second, there still remained the men's style ; third, they wore Tanrikoo(彈力袴), Tisingkoo(體型袴), Jiaotakoo(脚袴) because of its properties of activeness and comfort ; fourth, shoulders looked ore prominent with pads as they were used in Chungsanfoo(中山服) ; fifth, clothes in grey and dark blue was in fashion ; sixth, they wore hand-made knit vests and sweaters and often mountain-climbing gears for its light and warm quality ; seventh, along with opening-up, various materials and colorful clothes were in style, which satisfied women's desire for beauty. They decorated Hanbok(韓服), using sleeves with colors, golden ornaments, flower patterns embroidery, materials of different color in collar and tie and dyes of sleeves and skirts.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when the opening-up was beginning, there were diverse styles and colors in fashion, yet not close to good quality. As the economy grew,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was characterized by good palate, individuality, favouritism on foreign goods, rapid change of fashion. For instance, fur coat and woolen fabric were favored. Economic growth led to abundance of cloth, dyes and decorative materials. In addition, people possessed more clothing and it was possible for them to wear both Hanbok and wedding dress in wedding ceremony. People placed their standards on competency and financial ability rather than ideology. Worship disappeared and individuality arose. Therefore, apparel functioned not only as protection but as suits with aesthetic purpose. This resulted in introduction of bold style, imitation of western countries and extension of use of Hanbok. With the help of mass media, transportation, telecommunication, contact with Korean company and civilians, Korean and western cultures, through Korea, were accepted. Change in structure of economic status caused excessive spending and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enabled people to accept foreign culture quickly. Values moved onto new, beautiful and better characteristics. it was possible to have suits ready-made due to improvement of mass production and cotten, wool, linen, silk became popular owing to technology. New technology, the bases of mass consumption, increased possession of clothing and accelerated change of fashion. In summary, women's Costume in Yanbian were affected by the factors in economy, politics, culture contact as well as change of society and technology.

  • PDF

벽방산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Research of Forest Vegetation on Mt. Byeokbang)

  • 최병기;허만규;김성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6-655
    • /
    • 2015
  • 벽방산의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벽방산은 3개 상관형의 9개 단위식생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단위식생은 상록침엽수림의 해송-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자금우군락, 하록활엽수림의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신갈나무-우산나물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 비목-물참대군락, 인공조림식생의 사방오리나무식재림 등으로 구분되었다. 벽방산은 지역 최고봉임에도 불구하고 산지 전역이 숲 가꾸기사업, 등산객, 조림 및 육림 등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인위적 간섭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내 식생형 가운데 상대적으로 자연성이 높은 단위식생은 산지대 사면 중부에서 출현하는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전석지에서 확인된 비목-물참대군락 등이며, 산지능선부의 암석노출지를 중심으로 위극상의 천이계열에 해당하는 특산식물군락인 소사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CCA분석 결과, 각 단위식생의 발달은 해발고도, 인간간섭, 낙엽부식층, 암석노출율, 경사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위식생의 종조성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로부터 벽방산 산림식생은 인위식생, 이차식생, 근자연식생으로 구분되며, 식생의 발달정도, 토지적 특성, 인위적 식재 및 관리 유무 등에 의해 삼림이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행시 신발, 속도, 그리고 경사도에 따른 정규 저크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the Normalized Jerk According to Shoes, Velocity and Slope During Walking)

  • 한영민;최진승;김형식;임영태;이정한;탁계래;이경옥;박승범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ormalized jerk according to shoes, slope, and velocity during walking. Eleven different test subjects used three different types of shoes (running shoes, mountain climbing boots, and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at various walking speeds(1.19, 1.25, 1.33, 1.56, 1.78, 1.9, 2, 2.11, 2.33m/sec) and gradients(0, 3, 6, 10 degrees) on a treadmill. Since there were concerns about using the elevated forefoot shoes on an incline, these shoes were not used on a gradient. Motion Analysis (Motion Analysis Corp. Santa Rosa, CA USA) was conducted with four Falcon high speed digital motion capture cameras. Utilizing the maximum smoothness theor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jerk according to shoe type, velocity, and slope. Furthermore, it was assumed that running shoes would have the lowest values for normalized jerk because subjects were most accustomed to wearing these sho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had lowest value for normalized jerk at heel. In contrast,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had greater normalized jerk at the center of mass at most walking speeds. For most gradients and walking speeds, hiking boots had smaller medio-lateral directional normalized jerk at ankle than running shoes. These results alluded to an inverse ratio for jerk at the heel and at the COM for all types of shoes. Furthermore, as velocity increased, medio-lateral jerk was reduced for all gradients in both hiking boots and running shoes. Due to the fragility of the ankle joint,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could be recommended for walking on flat surfaces because they minimize instability at the heel. Although the elevated forefoot walking shoes have the highest levels of jerk at the COM, the structure of the pelvis and spine allows for greater compensatory movement than the ankle. This movement at the COM might even have a beneficial effect of activating the muscles in the back and abdomen more than other shoes. On inclines hiking boots would be recommended over running shoes because hiking boots demonstrated more medio-lateral stability on a gradient than running shoes. These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normalized jerk theory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hoes, walking velocity, and movement up a slope.

제 2형 당뇨 마우스의 운동 형태가 ẞ-Amyloid, BDNF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Type on ẞ-Amyloid, BDNF and Cognitive Function in Type 2 Diabetic Mice)

  • 김도연;우진희;신기옥;노희태;이율효;윤병곤;박찬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09-417
    • /
    • 2020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운동유형이 당뇨처치 그룹의 베타 아밀로이드, BDNF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4마리의 C57BL/6 쥐를 당뇨처치를 하지 않은 그룹 6마리(통제그룹: 6)와 당뇨처치 그룹 18마리로 무작위 할당하여, 이를 다시 당뇨처치 그룹의 경우 통제그룹 6마리, 유산소 운동그룹 6마리, 저항운동 그룹 6마리로 나누었고 운동그룹은 8주간 주 5회 저강도로 각각 트레드밀 운동과 사다리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베타아밀로이드는 8주 후 당뇨처치 그룹의 통제그룹(DM.G.)이 나머지 세 그룹에 비하여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DNF의 경우는 당뇨통제그룹이 나머지 세 그룹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Y-미로 검사에서도 당뇨통제 그룹이 나머지 세그룹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