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s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1초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산림형 분류와 생태적 특성 (Forest Type Classific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Areas of Cheonwangbong, Songnisan)

  • 정상훈;황광모;성주한;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75-382
    • /
    • 2015
  •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식생 단위별 생태적 시업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산림형을 구분하고 각 산림형별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사분각법을 적용하여 250개의 표본점을 추출하였고, 각 표본점 마다 층위별 식생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산림형을 구분하기 위해 다양한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산림형별 식생의 안정성과 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해 종다양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2~10개의 Cluster로 산림형을 분류하였고, 지표종분석으로 적절한 Cluster의 수를 5개로 추정하였으며, 다중판별분석으로 추정된 Cluster 수가 적절했음을 검증하였다. 5개의 산림형별로 수종구성을 분석한 결과, 계곡부에서는 졸참나무림과 중생혼합림, 능선부에서는 신갈나무림, 주능선에서 뻗어 나온 보조능선부에서는 소나무림, 보조능선과 계곡부 사이에서는 굴참나무-소나무림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참나무류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층의 수종 구성이 단조로운 소나무림의 종다양성지수가 가장 낮았던 반면, 식생 구성이 다양한 중생혼합림의 경우 종다양성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식생구성이 다양할수록 종다양성지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Detection of forest Free - South Slope Features from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Mongolia

  • Bayarsaikhan, Uudus;Boldgiv, Bazartseren;Kim, Kyung-Ryul;Park, Kyung-Ae;Lee, Don-K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4-359
    • /
    • 2009
  • Land cover types of Hustai National Park (HNP) in Mongolia, a hotspot area with rare species, were classified and their temporal changes were evaluated using Landsat MSS TM/ETM data between 1994 and 2000.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analysis showed an overall accuracy of 88.0% and 85.0% for the 1994 and 2000 images, respectively. Kappa coefficients associated with the classification were resulted to 0.85 for 1994 and 0.82 for 2000 image. Land cover types revealed significant temporal changes in the classification maps between 1994 and 2000. The area has increased considerably by $166.5km^2$ for mountain steppe. By contrast, agricultural areas and degraded areas affected by human being activity were decreased by $46.1km^2$ and $194.8km^2$ over the six year span, respectively. These areas were replaced by mountain steppe area. Specifically, forest area was noticeably fragmented, accompanied by the decrease of $\sim400$ ha. The forest area revealed a pattern with systematic gain and loss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phenomenon called as forest free-south slope. We discussed the potential environmental conditions responsible for the systematic pattern and addressed other biological impacts by outbreaks of forest pests and ungulates.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난대림 식생 분류와 관리 시스템 (Classification of Warm Temperate Vegetation Using Satellite Data and Management System)

  • 조성민;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1-23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1991년 위성 데이터와 2002년의 위성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전남 완도의 난대림 식생 변화추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1년 Landsat TM영상과 2002년 Landsat ETM 영상이 이용되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은 ENVI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한 난대림 관리 시스템 개발은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영상 데이터의 촬영시기 차이와 TM 영상의 해상도(Resolution)가 정밀하지 못해 복잡한 지형특성을 지닌 곳에서는 정확한 변화추이를 파악하기는 불가능하였으나, 2002년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된 완도의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약 2,027ha로 산출되었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11년 전에 비해 소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낙엽활엽수림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식생분류를 위한 기준은 상록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 기타로 구분하였으며 감독분류기법을 통해 식생이 분류되었다. 완도의 공간 데이터는 녹지자연도, 현존식생도, 산림토양도, 훼손유형도, 지형도, 토지소유현황도로 분류되었고, 이에 대한 속성 데이터 베이스는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데이터를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색인 분석하는 사용자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分類法과 傾度分析에 의한 無等山 蒜林植生 分析 (Classification Analysis and Gradient Analysi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Mudung)

  • Kim, Chang-Hwan;Kang, Seon-Hee;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71-484
    • /
    • 1994
  • The forest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Mt. $Mud\v{u}ng$ were investigated by classification method and ordination method. The forest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by ristic composition table: Quercus monogolic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acutissima community, Q.variabilis community, Q.dent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Frainus mandshurica community. Considering the moisture gradient, two kinds of distributuin pattern were shown as follows; F. mandshurica, Q. acturissima, Platycarya strobilacea and Staphylea bumalda were distribute at moist habitats, while Q. monogolica, P. densiflora and Q.variabilis at dry habitats. In continuum analysis, each population occupied different distribution area but it was continuously overlapped. On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it is postulated that Q. mongolica species might dominate the altitudinal zone over 700m.

  • PDF

비오톱유형에 의한 농촌생태마을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환경부지정 생태마을 중 전남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Analyzing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otope Types in Rural Eco-Villages - Focusing on Eco-Villages of Chonnam Region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

  • 김근호;조동범;김미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63-77
    • /
    • 2006
  • The research aim is to classify biotope types of rural eco-villages desig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analyz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m. This information would provide information on eco-villages' potential and specific needs to improve landscape ecological structure of eco-villages. Two eco-village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Yoocheon-ri and Sanduk-ri were selected and the landscape ecological metrics used in this study were Area, Shannon diversity index, Shape index, Distance ind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five biotope types in large-scale classification, 13 biotope types m Sanduk-ri and 9 biotope types in Yoocheon-ri in middle-scale classification, 31 biotope types in Sanduk-ri and 24 biotope types in Yoocheon-ri in small-scale classification. 2) In the case of area, artificial biotope types, such as artificial forest,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wet paddy, dry paddy and residential area, covered more than 80% of total area. However, natural biotope types, such as natural forest, river, reservoir, covered just more than 10% of total area. In details, an orchard (26.69%) was the dominant biotope type, followed by artificial forest (19.10%) in Sanduk-ri and the first most abundant biotope type was artificial forest (49.71%), followed by wet paddy (15.95%) in Yoocheon-ri. 3) The result of Shannon diversity index indicated that Sanduk-ri (2.158) had more heterogeneity landscape, rather than Yoocheon-ri (2.051). 4) In the case of shape index, road (13.09) had more complex and irregular shape than either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3.35) or artificial forest (2.46) in Sanduk-ri. Road (6.52) was also the most irregular biotope shape, followed by river (5.70) and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4.78) in Yoocheon-ri. 5) Mean Nearest-neighbour Distance (MND) was smallest in wet paddy and dry paddy biotope types in the two study area, suggesting that these biotope types were concentrated within these study areas. From the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information to protect and improve biotopes of eco-villages in the landscape ecological terms. To achieve this improvement plan, there should be strong support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ocal governments.

북한 산림황폐지의 질감특성을 고려한 분할영상 기반 토지피복분류 (Segment-base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Texture Information in Degraded Forest land of North Korea)

  • 김은숙;이승호;조현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77-487
    • /
    • 2010
  • 북한의 산림은 1970년대부터 산지개간과 땔나무 채취, 벌목 등에 의해 대규모로 황폐화되었으며, 이러한 산림황폐지는 경제적, 환경적, 재해발생 측면에서 반드시 복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황폐지가 대규모로 발견되고 있는 북한 혜산 지역에 대해 산림복구사업 (A/R CDM 사업)을 계획할 수 있는 잠재적 대상지를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입목지와 산림황폐지(무립목지, 개간산지, 산간나지)를 보다 정확하게 분류하지 위한 고해상도 영상 기반의 영상분류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북한의 산림황폐지 유형은 분광특성뿐 아니라 질감특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5m SPOT Pan-Sharpened 영상을 이용해 분할영상을 제작하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질감(texture) 정보를 산림피복 분류 시 분광정보와 함께 활용했다. 분할영상의 제작 시 Scale factor 40/Shape Factor 0.3을 적용하였을 떼 각 산림피복 항목을 분리할 수 있는 적절한 규모의 분할조각이 생성되었다. 또한 산림 피복을 가장 잘 분류해내는 최적밴드를 선정한 결과 기존의 분광밴드 1/2/3 에 질감밴드인 GLCM_dissimilarity (밴드2), GLCM homogeneity (밴드2), GLCM_standard deviation (밴드3)를 추가 하였을 때 산림황폐지 유형간 분리도가 가장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감특성을 이용한 분할영상기반 분류결과기법에 따른 분류결과(80.4%)는 분광정보만을 이용하는 방법의 분류결과(70.3%) 보다 정확도가 높았으며, 특히 입목지와 무립목지의 분리에 있어서 약 23~25%의 정확도 향상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접 현지조사를 하기 어려운 북한지역에 대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효과적인 산림피복분류의 근거를 제공했으며 영상의 분류 시 질감특성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상세한 산림피복 분류에 있어서 정확도 향상에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데이터 수집방법에 따른 딥러닝 기반 산림수종 자동분류 정확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Classification of Forest Plants: A Comparison of Data Collection Methods)

  • 김보미;우희성;박주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23-30
    • /
    • 2020
  • 최근 급변하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을 통해 컴퓨터 비전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물인식 기법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연구 사례를 보면 주로 대면적 산림을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 학습 및 객체인식 기법이 사용되는 반면 개체목 단위의 수종 분류 및 특징을 학습하는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침엽수 5종을 대상으로 이미지 학습을 통한 자동분류 연구의 가능성을 분석해 보았다. 데이터 형태에 따른 분류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림전문가가 직접 촬영한 영상(D1)과 웹크롤링을 이용한 영상(D2)을 사용하여 수종 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D1과 D2의 분류 정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1은 D2보다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또한, D2의 분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열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추가 데이터 필터링 기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수정된 IEA 기반의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이용한 임상분류 (Spectral Mixture Analysis Using Modified IEA Algorithm for Forest Classification)

  • 송아람;한유경;김용현;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9-226
    • /
    • 2014
  • 분광혼합분석 결과로 얻어지는 각 물체의 점유비율을 활용하면 보다 세밀한 분류가 가능하다. 이는 복잡한 도심지역의 피복분류 뿐만 아니라 혼효림이 많은 한반도 임상분류에 적합한 분류기법이 될 수 있다. 효과적인 임상분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절한 endmember의 추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기하학적 방법(geometric endmember selection)은 분광특성이 유사한 산림지역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서 직접 순수한 화소를 추출하는 기법 중의 하나인 IEA(Iterative Error Analysis)와 침엽수와 활엽수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실험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각각의 endmember를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CASI(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 영상의 두 지역에 대하여 분광혼합분석을 이용한 분류를 수행한 결과, 분류 정확도는 각각 86%와 90%로, 제안한 기법이 실험대상지역을 대표하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endmember를 적절하게 추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분류를 위해서 분류항목 외 기타물질을 endmember로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오서산 산림식생의 상관우점종, 종조성 및 종간연관에 의한 군집유형 분류 (Classification of Community Type by Physiognomy Dominant Species, Floristic Composition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Oseosan)

  • 변성엽;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169-185
    • /
    • 2017
  • 산림식생은 분류방법에 따라 식생유형의 결과가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 종류의 식생분류 방법론을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충남 오서산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16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80개소의 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상관우점종에 의한 군락유형분류, 종조성에 따른 군락유형분류, 종간연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우점종에 의한 군락유형분류를 실시한 결과,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 백합나무군락의 총 10개의 군락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종조성에 따른 유형분류를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식생단위와 8개의 종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종조성 체계의 최상위 수준에서 비목나무군락군으로 대표되어졌으며, 비목나무군락군은 진달래군락(진달래전형군, 쪽동백나무군), 느티나무군락(일본잎갈나무군, 큰개별꽃군)으로 분류되어, 1개 군락군 2개 군락 2개 군의 분류체계를 나타냈다. 종간연관 분석 결과는 크게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종조성에 의한 군락유형과 종간연관에 의한 유형은 지형적인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지의 산림식생은 상관우점종에 의해 10개의 군락유형, 종조성에 의해 8개의 종군단위와 4개의 식생단위, 종간연관에 의해 2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상관우점종, 종조성(종군유형${\rightarrow}$식생단위), 종간연관 순으로 식생단위가 단순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산림식생은 분류방법론에 따라 다양한 식생유형이 분류되었고 또한 많은 환경요인들의 영향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in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 Chung, Sang Hoon;Lee, Sang 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269-279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the forest cover types of the Baekdudaegan inhabiting the number of native tree spec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ekdudaegan, a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ajor 20 mountains of the Baekdudaegan.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959 sample points by the point-centered quarter method. Each mountain was classified into 4-7 forests by using various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luster analysis, indicator species analysis,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and species composition analysis. The forests were classified mainly according to the relative abundance of Quercus mongolica. There was a total of 111 classified forests and these forests were integrated into the following nine forest cover types using the percentage similarity index and by clustering according to vegetation type: 1) Mongolian oak, 2) Mongolian oak and other deciduous, 3) Oaks (Mixed Quercus spp.), 4) Korean red pine, 5) Korean red pine and oaks, 6) ash, 7) mixed mesophytic, 8) subalpine zone coniferous, and 9) miscellaneous forest. Forests grouped within the subalpine zone coniferous and miscellaneous classifications were characterized by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ose forests that did not fit in any other categor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