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related emotion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성취감성이 자기주도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 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31-236
    • /
    • 2018
  • 최근 교육상황에서 감성과 관련된 연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자기손상전략을 예측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성취감성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A대학과 B대학 134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손상전략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성취감성의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시험감성이었다. 그러나 성취감성은 자기조절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대학 수업에서 자기손상전략을 낮추기 위해서는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시험감성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에서 감성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실제적 유용성을 제공할 것이다.

COVID-19으로 인한 보건계열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classes of health science students due to COVID-19 pandemic)

  • 윤해수;이현정;문수진;이경희;임제혁;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05-812
    • /
    • 2021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quality of classes,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achievement levels associated with the non-face-to-face classes of health scienc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class satisfaction. Methods: Using a questionnaire, 238 health science students were surveyed regarding the quality of classes,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achievement levels. Factors related to calss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Lecture types that the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were 'video lectures using PPT' and 'recorded lectures provided by LMS', while 'real-time video lectures' were scored the lowest (p=0.005). Factors affecting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were perceived achievement (β=0.425, p<0.001), learning content (β=0.265, p<0.001), learning emotion (β=0.171, p<0.001), and learning environment (β=0.137, p=0.012). The adjust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63.9%. Conclusion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health science students with non-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ncrease perceived achievement.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주택 모기지 금리에 대한 시민들의 감정예측 (Prediction of Citizens' Emotions on Home Mortgage Rate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김윤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1호
    • /
    • pp.65-8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택모기지 금리에 대한 시민들의 감정을 예측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련문헌을 검토한 다음 두개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Akman의 분류에 따라 감정을 분류 한 다음 여섯 가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기지 금리에 대한 시민들의 감정을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AdaBoost가 모든 평가범주에서 가장 우수한 분류기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Naive Bayes의 성능수준은 다른 분류기들의 성능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는 어느 분류기가 각 감정범주를 잘 예측해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AdaBoost가 모든 감정범주에서 주택모기지 금리에 대한 주민들의 감정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슬픔범주에서 여섯 가지 알고리즘의 성능수준은 다른 감정범주보다 훨씬 낮게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 전문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Online Classes Educational Quality and Learning Emotions on Learning Outcome - Focusing on H Technical College Students -)

  • 김보영;황혜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67-476
    • /
    • 2020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혀보는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3월 1일부터 2020년도 8월31일까지 수도권 소재 H 전문대학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수업의 질, 학습정서와 관련된 요인들이 학습성과에 주는 영향력과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해 성별, 학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학습성과 중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과 긍정적 정서로 나타났으며 학습성과 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 학습환경으로 타나났다. 결론적으로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전문대학생들의 학년,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전문대학 수업의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전문대학생들이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직업 현장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이끄는 학습 내용개발과 학년별, 단계별 접근이 허용되는 학습방법 개발, 학습자들이 안정적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이끄는 수업환경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대학생의 소비행복 실천 수기의 질적분석과 함의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Essays on Their Practices of Consumption Happiness and Implications)

  • 박미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25-842
    • /
    • 2014
  • This study is to analyze essays on the practices of consumption happiness which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consumption and happiness' wrote. To do this, 108 essays which the students submitted in both semesters in 2013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the 4 themes such as 'reflection on the life of consumption', 'practices', 'changes', 'recognized meanings of the class' were extracted. Firstly, some students were reflective on their acts of consumption in everyday life. They have consumed in an undisciplined, unthoughtful manner and have experienced various negative emotions in their consumption, and have the motive of change. Secondly, the study showed the consumption of clothes, eating, house, leisure, body, digital, wedding is variously included in their practices of consumption. In the category of common practices, 'sharing consumption giving a bigger happiness', 'sustainable consumption caring about the earth and the next generation', 'smart consumption through discipline', 'responsible consumption considering community and producer', 'field trips and consumption of experience as learning' are included, and 'meaningful feeling of happiness through practices' are extracted. Thirdly, they have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such as reduction in consumption desire and increased concern with mind, relationship and conscious consumption. Fourthly, students think of the class as a necessary, useful, practical subject, and have a precious opportunity to learn many aspects they don't think about before, and don't practice, and say that they persistently continue to practice. Therefore, to promote the happiness as a consumer and consumer citizen leader in the society, it's necessary to offer a related class in more universities.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놀이 관련 특성이 2세반 영아의 상상놀이에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ddler Temperament and Teacher's Play-Related Characteristics on Imaginative Play in Two-Year-Old Classrooms)

  • 유애형;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3-103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childcare teachers' attributes on the frequency and level of imaginative play in two-year-old classrooms. Methods: The study involved 191 toddlers, their mothers, and 32 teachers from childcare centers. Toddler characteristics encompassed temperament along with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Teacher' attributes related to play included playfulness, play-support belief, and interactions with toddl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HLM 8.2 software, employing basic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as toddlers' age increased, both the frequency and level of their imaginative play increased. Second, individual-level model analysis revealed a positive effect of toddlers' extroversion on the level of imaginative play. Third, the class-level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emotions had a negative effect, whereas their encour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the level of imaginative play. Conclusion/Im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utilization of a multilayered model analysis, which offers a more robust examination of variable influences by accounting for hierarchical data structures.

인과 네트워크로 본 요가 참여자의 변화체험 과정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experience in yoga participants through Causal Network)

  • 권오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5호
    • /
    • pp.233-2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요가수업 참여자가 요가수련을 통해 체험하는 변화와 정서를 추출하고, 이러한 변화와 정서 체험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을 인과 네트워크(causal network)로 구체화 하는데 있다. H대학교 교양 요가수업 참여자 77명을 대상으로 참여일지를 통해 전반적인 변화요인을 추출한 뒤, 이중 7명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에서는 요가를 통해 체험한 변화는 어떤 것인지, 이로 인해 유발되었던 정서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와 정서체험이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의 질문으로 구성된 반구조화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결과는 질문의 흐름에 따라 인과 네트워크(causal network)로 도식화하였다. 연구결과, 요가를 통한 변화는 신체기능적 변화, 정서적 변화, 인지적 변화, 생리적 변화의 4개 영역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각 변화요인과 변화에 따라 유발된 정서는 이후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가의 효과 및 참여행동의 다각적 접근 필요성, 그리고 이를 위한 방법으로서 인과 네트워크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트위터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한 코로나19 기간 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 고찰 (Exploring Opinions on University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Twitter Opinion Mining)

  • 김동훈;강정;주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22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학의 부분 또는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에 대해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인 트위터에서 이를 어떻게 생각하고 논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트위터에서 비대면 수업 관련 트윗을 수집한 후 감성분석 및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여론보다 부정적인 여론이 많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부정적인 여론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월별 감성점수분포를 통해 학기 중이 방학기간보다 감성점수 분포의 폭이 넓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학기 중일 때가 방학 때보다 비대면 수업에 대해 더 다양한 감정과 의견을 교환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긍정트윗과 부정트윗을 구분하여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트윗에서는 수업환경 및 장비, 긍정적인 감정 표현, 강의시청장소, 언어수업, 시험 및 과제와 같은 다섯 가지 주요한 주제가 나타났으며, 부정트윗에서는 시간(수업시간, 쉬는시간), 시험 및 과제, 부정적인 감정 표현, 수업환경 및 장비와 같은 네 가지 주요한 주제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주제별 대표 키워드들의 비율을 통해 시간에 따른 주제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에 대한 여론의 트렌드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비대면 수업 관련 연구들과는 달리 소셜 미디어 중 하나인 트위터를 활용하여 국내 대학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감성분석과 시계열 주제 분석을 활용하여 비대면 수업에 대한 긍부정 여론을 나누어 식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트렌드의 변화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함의를 지닌다. 또한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구성 및 개선방안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비대면 수업을 설계하는 대학 및 교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지닌다.

숲 체험 활동이 소외계층 아동의 정서, 생활만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Positiv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for Children from Economically Underprivileged Households on Their Emotional State,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 김민화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3-247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for children from economically underprivileged households in local children's centers and the effect of such activities on the protective factors of their development. One hundred and eighty fiv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Forest Activities Program, which conducted over a total 8 sessions. Pre-post test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DAS, multiple life satisfaction scale, ego-resilience scale were conducted and the children then made picture stories during the program itsel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pre-post tes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motions of participating children de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 school-satisfaction and self-satisfaction level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increased. Third the participating children's positive perceptions of 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increased through the forest activities.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change types of picture stories that children created while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se divergences were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se forest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upon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s of such forest activities qualitatively, greater support for the active involvement of children is required.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를 위한 플립러닝 수업 개발 및 적용 효과: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Korean Language Speaking Skills focused on Foreign College Students)

  • 심현애;김경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51-58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플립러닝으로 설계하여 적용하고,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험이 무엇인지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신입생 대상 '창의적 말하기' 과목을 플립러닝으로 재설계하여 한 학기 동안 운영하였다. 말하기 관련 정서 요인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6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효능감, 말하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신체 증상, 그리고 청중 의식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플립러닝 후 학생들의 말하기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플립러닝이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어로 말하기 연습을 하고, 한국인 동료와 같이 학습함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