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II

검색결과 1,547건 처리시간 0.024초

Marginal adaptation of indirect composite resin systems in three different base materials

  • Choi, In-Bok;Park, Sung-H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71-571
    • /
    • 2003
  • Composite inlays are indicated for large cavities and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daptationof Class II restorations, including applying b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 vitro the marginal adaptation of class II(MOD) composite inlays(Tescera ATL system, Bisco) made with or without base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Extracted human lower mola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base was made from Aeliteflo(Bisco), Dyract AP(Bisco) or Fuji II LC improved(GC) respectively and the comtrol group has no base.(omitted)

  • PDF

보존된 동종동맥편 조직의 면역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Immunogenicity of Preserved Aortic Allograft)

  • 전예지;박영훈;강영선;최희숙;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173-1181
    • /
    • 1996
  • 동종동맥판의 보존기법이 발전하면서 상당한 정도의 생육성이 보존되며, 특히 면역반응의 주된 요인인 내피세포 생육성이 약 50%이상 보존되기 때문에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 내피세포의 면역능력을 평가하는것이 동종동맥판의 임상적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필요할 것이다. 실험은 200~250gm의 Sprague-Dawley Rat를 사용하였다. Rat로부터 적출한 동맥벽을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냉장보존법과 냉동보존법을 사용하여 2주일간 보존하였으며 보존처리전(No treat)과 멸균처리후(sterile),냉장 보존후 1(1day), 2(2day), 7(7day), 14일째(14day), 2주간의 냉동보존후(cryo)에 표본을 채취하여 보존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면역표현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혈관조직으로부터 내피세포를 분리한 뒤 면역조직화학검사(Immunohistochemical study)를 하였다. 혈관내피세포의 항원 표현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anti-MHC class I antibody(MRC OX-18)과 anti-MHC class II antibody(MRC OX-6), anti-ICAM antibody를 사용하였다. 처리된 내피세포를 Flow cytomwtry로 분석하여 항체가 부착된 내피세포의 비율을 알아냄으로써 내피세포의 항원성(antigenic expression)을 조사하였다. 또한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에 의한 생체내에서의 면역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보존처리전(No treat), 멸균처리 후 2일 보존후(2 day), 7일 보존후(7 day), 14일 보존 후(14 day), 냉동보존(cryo)된 동종동맥판을 Mouse에 이식한 후 일정기간(1, 2, 3, 4, 6, 8주)이 경과된 시점에서 혈중의 CD4$^{+}$, CD8$^{+}$ T cell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Mouse의 미정맥에서 채취한 혈액에 monoclonal antibody를 처리한 뒤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lymphocyte중의 CD4$^{+}$, CD8$^{+}$ T cell 비율을 측정하였다. 내피세포의 MHC Class I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23.95%였고, sterile에서 48.08%로 증가한 뒤 14day 까지 36.02%로, cryo에서도 35.53% 로 증가되어 있었다(p=0.0183). MHC Class II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9.72%, sterile에서 10.13%이였고 14day 에서 10.27%, cryo 에서 13.39% 였다(P=0.1599). ICAM-1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15.02%, sterile에서 19.85%였고, 14day에서 35.33%, cryo에서 34.67% 로 증가하였다(P=0.001). 정상 Mouse에서 CD4$^{+}$, CD8$^{+}$ T-cell분포는 각각 42.13%, 25.57% 였고 CD4$^{+}$/CD8$^{+}$ ratio는 1.64였다. 동종동맥을 이식받은 Mouse의 정맥혈중 CD4$^{+}$ T-cell분포는 No treat군에서 1주에서 8주사이에 49.23% 에서 36.8%사이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p=0.955), 2 day군에서는 30.36%로 감소하였고(p=0.0001), 7day군에서는 32.8%로 감소하였고(p=0.008), 14 day 군은 26.92%로 감소(p=0.0001), cryo군은 29.56%로 감소하였다(p=0.0018). CD8$^{+}$T-cell은 모든 군에서 1주에서 8주 사이에 42.32%에서 58.92%사이로 증가하였다(p=0.0001~0.0002). CD4$^{+}$/CD8$^{+}$ ratio는 모든 군에서 1주에 1.22 에서 2.28 사이에 있었으나 8주후에는 모든 군에서 0.47에서 0.95 사이로 감소하였다(p=0.0001). 즉,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의 내피세포는 보존처리과정의 초기에는 MHC class I과 II항원효과를 동시에 보이고, 보존기간이 길어지면서 MHC class II항원효과는 변함이 없으나 MHC class I 항원효과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CD4$^{+}$ T-cell은 보존처리 기간 중 소폭의 변환를 보임에 반하여 CD8$^{+}$ T-cell은 보존처리된 기간에 관계없이 이식된 후 8주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4$^{\circ}C$에 냉장보존한 군과 냉동보존한 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볼 때 동종동맥판을 체내에 이식할 경우 내피세포에 의한 MHC class I 항원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PDF

환자 분류체계를 이용한 응급실 방문 환아에 대한 고찰 (Review of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used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 문선영;김신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75-388
    • /
    • 200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help in explore new direction about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276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center of E University Hospital during 3 months period form March 1, to May 31, 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pediatric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class I(59.9%) topped followed by class II(23.9%), class III(14.1%), class IV(2.0%). Average score of pediatric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showed class I.00, class II .02, class III .05, class IV .07. and total mean score of items lowed averaged .01. 2. With the resepect to the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ediatric patients visiting emergency center, there were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iting time($x^2=27.839$, P=.023), experience of admission($x^2=11.365$, p=.010), disease classification($x^2=89.998$, p=.000), state of airway patency($x^2=18.781$, p=.000), consciousness level($x^2=59.774$, p=.000), period of symptom manifestation($x^2=34.112$, p=.000), pediatric patients protector's thinking about pediatric patients state($x^2=49.998$, p=.000), treatment outcome($x^2=72.278$, p=.000), duration of stay at emergency center($x^2=103.062$, p=.000).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ate of pediatric patients and Clinical Classification System(r=.530, p=.000).

  • PDF

Bentall 술식의 조기 성적 (Early Result of Bentall Operation)

  • 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13-117
    • /
    • 1998
  •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0월부터 1997년 4월 사이에 대동맥륜대동맥 확장환자에서 37례의 Bentall술식을 시행하였다. 환자군의 술전 호흡곤란 정도는 NYHA Class I이 4례, Class II가 10례, Class III가 20례, Class IV가 3례였다. 수술은 대동맥박리증이 동반된 경우 초저체온법(식도체온: 11.8$\pm$1.6!), 완전순환정지, 역행성 대뇌관류법을 시행하였다. 37례 모두 병변이 있는 대동맥벽을 대부분 제거하고 복합이식편이나 대동맥 인조혈관 및 인공판막을 이용하여 상행대동맥과 대동맥판막을 치환하였고, 관상동맥편을 인조혈관에 직접 연결하였다. 수술결과는 합병증은 7례 발생하였으며(18%), 수술사망은 없었으나 뇌혈관 발작으로 인한 1례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2.7%). 퇴원후 추적기간은 1개월에서 36개월까지였으며 평균 9.6개월였다. 결론적으로 대동맥륜대동맥 확장의 수술에 있어 Bentall술식은 안전하고 좋은 수술이라 할 수 있다.

  • PDF

준거집합 문제와 자격의 문제 (The Reference-Class Problem and the Qua-Problem)

  • 김한승
    • 논리연구
    • /
    • 제15권2호
    • /
    • pp.223-250
    • /
    • 2012
  • 일반적으로 준거집합 문제는 확률에 관한 빈도주의가 직면하게 되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 헤이젝은 확률의 본성에 관한 다른 주요 이론들 역시 이 문제를 피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조건부 확률을 원초적인 것으로 간주하면 이 문제는 해소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헤이젝의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준거집합 문제와 그 철학적 함축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헤이젝의 주장을 두 가지, 즉 (i) 확률이 준거집합에 상대적이라는 주장과 (ii) 조건부 확률에 대한 비율 견해는 옳지 않다는 주장으로 구분하고, 이 두 주장이, 헤이젝의 생각과는 달리, 서로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나아가 전자는 받아들이면서 후자는 거부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다. 또한 필자는 준거집합의 동일성 기준을 두 기준, 즉 외연적 기준과 비외연적 기준으로 구분하고, 준거집합의 동일성 기준은 후자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준거집합 문제가 자격의 문제의 한 사례임을 논증한다.

  • PDF

Age-related low skeletal muscle mass correlates with joint space narrowing in knee osteoarthritis in a South Korean population: a cross-sectional, case-control study

  • Kim, Hyun-Je;Hong, Young-H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4호
    • /
    • pp.285-293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low skeletal muscle mass index (SMI) and obesity on aging-related osteoarthritis (OA)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16,601 participants who underwent 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3,976 subjects with knee X-rays according to the modified Kellgren-Lawrence (KL) system were enrolled. Knees of ≥KL grade 2 were classified as radiologic OA. The severity of joint space narrowing (JSN) was classified by X-rays as normal, mild-to-moderate, and severe JSN in radiologic OA. The subjects were grouped as normal SMI (SMI of ≥-1 standard deviation [SD] of the mean), low SMI class I (SMI of ≥-2 SDs and <-1 SD), and low SMI class II (SMI of <-2 SDs). Obesity was defined as a body mass index (BMI) of ≥27.5 kg/m2. Results: The modified KL grade and JSN sever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MI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and age. The S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JSN sever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 SMI class compared to a normal SMI, which was more prominent in low SMI class II than class I. Obe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severe JSN, only for obesity with a low SMI class. Furthermore, patients with a low SMI class, regardless of obesity, were prone to having more severe JS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a low SMI class was associated with aging and that an age-related low SMI was more critically related to the severity of JSN in OA.

Quality Assess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Ankle Sprains Using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Assessment Tool

  • Jun-Yeong, Jang;Min-Gi, Jo;Min-Jung, Ko;Sang-Yeup, Chae;Seungeun, Lee;Dongmin, Lee;Jung-Hyun, Kim;Bonhyuk, Goo;Byung-Kwan, Seo;Yong-Hyeon, Baek;Sang-Soo, Nam;Yeon-Cheol, Par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9권4호
    • /
    • pp.249-257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PGs) for ankle sprains using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tool, using electronic databases (GIN, PubMed, EMBASE, NCKM, CNKI, CiNii, WanFang database, RISS, and SCOPUS), to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The search was performed on April 23, 2021 and 10 CPG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Three CPGs were recommended without modification (Class A scores), five were recommended with modification (Class B), and two were not recommended (Class C scores). The CPG domain that received the lowest score was "applicability." The traditional medicine CPGs scored higher [Class A (n = 1) and Class B (n = 1)] than the conventional Western medicine CPGs [Class A (n = 2), Class B (n = 4), and Class C (n = 2)] and were considered to be more methodical. In the future, more research into traditional medicine is required.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의 크기와 형태 (Size and form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 이성준;백승학;김상철;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치열궁간의 형태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I급 114명, II급 119명, III급 135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 모형의 교합면을 복사한 후 13개의 접촉점 중에서 가장 협측면으로 위치한 부분을 digitize 하였고 각 치아의 브라켓 위치에 해당하는 점을 하악치아의 두께에 의거하여 4개의 선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square ovoid tapered형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조사한 결과 Angle 분류와 남녀 성별에 따른 특별한 치열궁 형태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특정 치열궁 형태의 빈도는 Angle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열궁 크기의 계측항목에서는 대구치간 폭경에서만 남녀 성별 차이를 보였으며, 치열궁 크기에 있어서 I급과 III급. II급 부정교합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열궁 형태의 분포는 I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square ovoid, tapered 형태 순이었고. II급 부정교합군은 square, tapered ovoid 형태 순이었다 치열궁 형태의 빈도분포에 있어서는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다.

Class II 부정교합환자의 Trainer for Kids(T4K)를 이용한 조기치료 : 증례보고 (Early Treatment of a Class II Malocclusion with the Trainer for Kids (T4K): A Case Report)

  • 안소연;김아현;심연수;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101-110
    • /
    • 2013
  • T4K는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능성, 가철성 교정장치이다. 기능성 교정장치의 경우 치열과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구강안면부의 근육의 부조화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T4K에 포함된 lip bumper는 과도한 하순의 힘을 차단하여 주고, 하순 내측 전정을 자극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부적절한 혀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요소는 환자들이 장치를 장착하는 동안 부가적인 혀 운동을 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2급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 하악 열성장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장치는 상악 치아를 고정원으로 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극하여 부족한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가적으로 Labial bow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는 상악 치열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 T4K는 기성품으로 작은 부피와 부드러운 질감으로 어린 환자들의 장착 동의율을 높이는 데 장점을 가진다.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요약 1. T4K를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하여 안모의 개선을 얻었다. 2. 과도한 수직, 수평 피개교합이 개선되었다. 3. 하악 열성장 환자에서 T4K를 장착하여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얻었다. 4. 구호흡 등과 같은 구강악습관의 개선을 얻었다.

Genetic association of swine leukocyte antigen class II haplotypes and body weight in Microminipigs

  • Matsubara, Tatsuya;Takasu, Masaki;Imaeda, Noriaki;Nishii, Naohito;Takashima, Satoshi;Nishimura, Takashi;Nishimura, Toshiaki;Shiina, Takashi;Ando, Asako;Kitagawa, Hitos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163-166
    • /
    • 2018
  • Objective: Microminipigs are a novel animal model with extensive applications in laboratory studies owing, in part, to their extremely small body size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wine leukocyte antigen (SLA) class II haplotype and body weight was evaluated in the Microminipig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1,900 haplotypes, covering SLA class II haplotypes Lr-0.7, Lr-0.23, Lr-0.17, Lr-0.37, Lr-0.16, Lr-0.11, Lr-0.13, and Lr-0.18, were analyzed in 950 piglets. Birth weights and weights on postnatal day 50 were examined in piglets with eight different SLA class II haplotypes. Results: The mean birth weight of piglets with the Lr-0.23 haplotype (0.415 kg, n = 70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iglets with Lr-0.17 (0.445 kg, n = 328) and Lr-0.37 (0.438 kg, n = 383) haplotypes. At postnatal day 50, the mean body weight of piglets with the Lr-0.23 haplotype (3.14 k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iglets with the Lr-0.13 haplotype (3.46 kg,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gains (DGs) among the eight haplotypes. However, piglets with the Lr-0.11 and -0.18 haplotype combination or any heterozygous haplotype combinations containing Lr-0.23 had significantly lower DGs than those of piglets with the Lr-0.18, 0.37 haplotype combination. Conclusion: Piglets with the Lr-0.23 haplotype had relatively low body weights at birth and on postnatal day 50 and slightly lower DGs than those of piglets with other haplotypes. Therefore, the Lr-0.23 SLA class II haplotype may be a suitable marker for the selective breeding of Microminipigs with small body siz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