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vil consciousnes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7초

GSIS를 이용한 도시종합 정보체계의 응용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model in UIS using GSIS -A case of changwon city-)

  • 박정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9-108
    • /
    • 1996
  • 최근 급속한 도시확장과 지방자치제 실시 및 사회 전반의 민주화 추세로 국민 의식과 가치관이 다양한 방면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변화 추세에 기존 수동적인 자료관리 체계만으로는 기대에 부흥하기 어려우므로 현행시설물 관리에만 주로 활용된 지형공간체계를 이용하여 관련정보를 유관기관과 연계하는 도시 종합관리체계를 구축 하므로서 방대한 도시민원업무와 도시의 효과적인 개발 및 유지 관리를 기대학 수 있다. 톤 연i'에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각종 도시 시설물 관리체계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단계와 각종 도시 시설물 관리를 종합한 유관기관의 통합도시 정보 체계를 구축하는 단계와 표출하는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지를 통한 도시 종합관리시스템의 한 모형을 제시하는 단계까지만 다루고자 한다.

  • PDF

도시정비사업의 기부채납 공공시설 이용실태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Level of Public Facilities Obtained through Contributed Acceptance on Urban Regeneration Planning)

  • 민비라;인명노;유신호;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D호
    • /
    • pp.397-406
    • /
    • 2012
  • 기부채납은 본래의 공익과 사익의 합리적인 조정수단으로써 운영되는 것과 달리 효용성 및 사후관리의 문제 등의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기부채납이 된 공공시설의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주민들의 의식조사를 통해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부채납 공공시설 현황분석 및 이용자 의식조사분석에 따른 문제점은 자투리땅에 조성되는 위치 및 입지여건의 문제, 단지 내 시설로 인식 및 이용되는 문제, 거주자들의 이용 및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가로시설물 조성 및 사후관리의 문제, 주변지역현황을 고려하지 않은 효용성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각 문제점에 따른 기부채납 공공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이용률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부채납 공공시설의 위치 및 입지여건을 고려한 계획이 수립되어야하며 둘째, 기부채납 공공시설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각 지자체별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의 시설이라는 인지를 위한 표지 및 안내판 등의 기부채납 공공시설 인지의 의무화를 시행하며, 넷째, 효율적인 사후관리를 위한 공공시설의 운영을 주민, SH LH공사 등에게 위임하는 방안과, 마지막으로 해당 지역에 필요한 공공시설을 파악할 수 있는 공공시설서비스 지도를 작성하여 기부채납 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교통문화지수와 교통사고 발생의 영향관계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rify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Culture Index and Traffic Accid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박웅원;주성갑;임준범;이수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571-1579
    • /
    • 2014
  • 도로교통사고 발생원인의 93%는 운전자에 의해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OECD회원국 중 1위를 차지하여 국가경제력 위상에 걸맞지 않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국가에서는 매년 전국 시 군 구를 대상으로 교통문화지수를 측정하여 교통안전정책 개선과 안전의식 함양을 도모하고 있으나 교통문화지수와 실제 교통사고와의 영향관계는 가정에 그치고 있으며 검증은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문화지수가 실제로 교통문화수준을 대변하여 교통사고와의 영향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보고서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교통사고건수와 교통사고 사망자수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영향관계 분석은 시 군 구별 교통문화지수와 교통 사고건수 및 사망자수의 관계분석(연구1)과 교통문화지수 증감과 교통사고건수 및 사망자수의 증감의 영향관계 분석(연구2)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1의 경우 모형의 적합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연구2의 경우 교통문화지수가 증가하면 사고건수 및 사망자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통문화지수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인삼 재배 작업의 재해 위험 요인과 안전 대책 - 인삼 재배 농업인 대상 안전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Risk Factors and Safety Measures for Ginseng Cultivation Work - An Examination Study to Develop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for Ginseng Farmers)

  • 공용구;이인석;이경숙;최경희;강다영;이주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5-557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risk factors in cultivating ginseng based on risk assessments and suggest safety measures for main risks. Background: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is one of the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s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and injuries. In agricultural sector, there are few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Especially, farm work has different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rops, so it needs special education materials for each crop. Among the various types of crops, ginseng contains various risk factors due to its long cultivating period and unique environment. Therefore, safety education material specified for ginseng is necessary to improve ginseng farmers' safety. Method: Risk assessment for cultivating tasks of ginseng was carried out through data obtained from various methods (site survey, interview, literature survey). To improve objectivity, the risk assessment was applied with 3-criteria (researcher estimate, interview, previous research results). Finally, the three high-risk tasks were selected and safety measures for those tasks were provided. Results: Three tasks, such as 'Mounting, maintenance and removing supports', 'Pest control' and 'Harvest', were selected as risky tasks among total tasks. (1) In 'Mounting' and maintenance and removing supports', the farmers found to be exposed to the risk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accidents related to operating the tablet machine. (2) In 'Pest control', agrichemical poison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yperthermia were main risks. Finally, (3) In 'Harvest', the farmers are mainly exposed to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of agricultural machines and risk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Thus, it needs to apply appropriate safety measures to those risky tasks, such as safety guidelines, convenience equipment, protective kit, and so o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gricultural safety and expected that it would be useful for further stud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be produced in the form of animation, which will enhance the safety consciousness for aged farmers.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developing safety education materials for ginseng farmers which is essential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and injuries among ginseng farmers.

고속도로 선형 동질구간 기반의 안전성능함수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Performance Function Based on Expressway Alignment Homogeneous Section)

  • 서임기;강동윤;박제진;박신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97-405
    • /
    • 2015
  • 과거 고속도로는 이동성 중심의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으나, 삶의 질 향상과 의식 수준의 향상에 따라 '빠른 고속도로'에서 '안전한 고속도로'로 고속도로 기능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2012년 기준 3,550건이 발생하였으며, 371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었고, 치사율은 일반국도의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주요 6개 노선을 대상으로 교통사고건수와 교통량 기반의 사고예측모형(안전성능함수)을 개발하였다. 안전성능함수는 각 노선별로 도로의 선형 및 규모 등이 달라 정확하게 각 노선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6개 노선의 통합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각 노선별로 교통사고를 보정할 수 있는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노선별 교통안전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고속도로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각 노선별 특성에 따른 그룹별 통합모형을 통한 노선별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신뢰성 있는 사고 예측값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HP기법을 활용한 승용차 운전자의 자발적인 교통행동변화 유도방안 연구 (A Study on a Way to Induce Drivers' Voluntary Traffic Behavior Change by Using AHP)

  • 하종주;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845-853
    • /
    • 2017
  • 도시교통문제의 주원인은 급격한 자가용 승용차 이용의 증가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혼잡통행료의 징수, 나홀로 차량 단속 등 강력한 교통수요관리정책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제는 공공기관과 승용차 이용자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용자 스스로가 교통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법으로 개개인의 의식변화를 통해 행동변화를 유도함으로서 합리적인 승용차 이용을 도모하는 모빌리티 매니지먼트(MM: mobility management)가 최근 해외에서 실시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자발적인 행동변화를 중시하는 MM의 국내도입이 현 시점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기법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승용차 이용자의 자발적인 교통행동변화 유도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교통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HP기법을 활용해 자발적인 교통행동변화 유도방안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교통행동을 변화해 줄 것을 적극적으로 호소하는 방안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통행동의 변화를 위한 회사대상 교육실시, 학교대상 교육실시, 지역단위의 소규모 워크숍 개최의 순으로 높은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다.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The Transform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its Motive in Korea)

  • 김은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87-114
    • /
    • 2006
  • 대안적 공론장의 현실화를 지칭하는 용어는 저항언론, 대항언론, 민중언론, 지하언론, 풀뿌리언론, 대안언론, 시민미디어 등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자의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언론구조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했던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한국의 대안적 공론장은 70년대의 저항언론 자유언론에서, 80년대의 대항언론 민중언론, 90년대의 대안언론, 2000년대의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확장과 사회운동 진영이다. 그리고 사회운동 주도세력의 성격에 따라 대안적 공론장의 내용성 역시 변화해 왔다. 80년대 민중운동이 한국의 사회운동을 이끌었을 때는 대안적 공론장도 당파성에 입각한 민중언론의 성격을 나타냈으며, 90년대 시민운동으로 그 주도권이 바뀌었을 때는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발현됐다. 또한, 사회운동과 대안적 공론장은 변증법적으로 변화 발전했다. 요컨대, 사회운동은 대안적 공론장을 통해 운동의 활성화와 역량을 축적하면서 사회변화를 이끌었고, 이러한 사회운동은 다시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국민연금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Facing Services of National Pens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민기채;이규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39-147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국민연금서비스는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으로 출발한다. 이를 위해 국내와 해외의 공공 및 민간 기관의 비대면 서비스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적으로 국민연금공단의 비대면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국민연금공단의 비대면 서비스 현황과 본인인증 방식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의 공적연금기관 및 민간기관의 비대면 공적연금서비스 현황 및 본인인증 방식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한 시사점으로 4차 산업혁명의 국민연금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미래전략 도출, 업무별 비대면 신고 신청 방법의 채널 확대, 비대면 본인인증방식으로서 핀테크 도입, 연금서비스를 포함한 생활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인터넷통합포털 구축을 통한 서비스 채널 단일화를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국민연금 비대면서비스의 장기적 과제로 정부민원 통합포털의 초연결성 확보, 인공지능로봇의 도입을 통한 지능화 및 자동화를 고려할 수 있다.

17세기 복식디자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Illustration of 17th Century)

  • 이순홍;황수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권2호
    • /
    • pp.395-413
    • /
    • 1994
  • Costume is mirror of diverse life styles and attitudes in human life. It has a meaning beyond "clothing" . Fashion illlustration is to express these costumes with a picture.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irror of costumes′ in historical s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fashion illustration of 17th century, which called its first one and to look into its characteristics and costumes of 17th century respotlighting fashion illustrators and painters related with fashion illustration in those days. This study is based on Western Europe by literatures. The fashion illustration in 17th century designed by painters and fashion illustrators. They are Wenceslaus Hollar, Abraham Bosse, Jacques Callot, Jean de st Jean, N. Bonar, A. Trouvain, A. Arnoult in France and so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in 17th century are as follows : 1. There was a quickening of modern civil consciousness in 17th century. As the subject of costume culture moved from noble class to the working class which began to have a free, the fashion illustration changed to the direction of informing their social class and job. 2. The fashion illustrations of 17th century showed storng realism which was a base of modern picture. 3. The most of them showed costume plates. It was not to transmit adding intended forecast but to describe sincerely in costumes′ record. However, the fashion illustration since the middle of 17th century was designed considering fashion. 4. It could be said that the fashion illustration of 17th century was the forest one of today. It was expressed by Wenceslaus Hollar′s ones. And it is found in his suggestion of popular costumes before and behind and delicate description like accessories. 5. They were transmitted by fashion magazines internationally. Le Mercure Galant, which printed mode plates in 1678, was the first modern fashion magazine aiming at general readers. The fashion illustration of 17th century can divide into ones for court, for working classes, costume plates. The fashion illustrations for court designed by court painters. There were court costumes of early time, spanish Mode and of lately time, French Court Culture. They had baroque elements with a bunddle of ribbons and race decoration. On the other hand, the fashion iooustrations for working class were under the influence on Netherlands styles. They were designed for the purpose of god function and much use. That′s why was under the influence of puritanical life creed. In this situation, the costume plates directed the fashion in those days. At that time, they were supplied widely and it amy be an attempt of popularization. The fashion illustrations of 17th century appeared that they had transmissible character and artistics expression. On the basis of them, we can look into the fashion illustrations of today.

  • PDF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민의식연구 (A Study of People's Consciousnes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오형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03-813
    • /
    • 2015
  • 본 연구는 수질오염 및 비점오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을 알아보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 등을 파악함으로써 비점오염 예방과 관리에 있어 일반인들의 참여를 이끌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Onpanel에 가입된 전국 20대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수질오염 인식현황, 비점오염 예방활동, 비점오염 예방을 위한 대책마련,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국민교육 필요성, 홍보 및 캠페인 참여의식,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조직 활성화 방안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의 수질오염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점오염 관심도는 연령,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더욱 높은 관심도를 보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홍보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점오염에 대한 관심도, 정보, 교육, 저감활동 관련 경험이 많을수록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육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점오염의 관리를 위해서는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비점오염 관련 정보, 교육, 저감활동에 대한 참여경험을 높이는 시민 활동 프로그램의 공급과 쉽고 전달력 강한 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