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ic acid production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7초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in Reducing Escherichia coli on the Radish Seeds Used for Sprout Production

  • Lim, Jeong-Ho;Jeong, Jin-Woong;Kim, Jee-Hye;Park, Kee-Ja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878-882
    • /
    • 2008
  • The efficacy of citric acid-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treatment of radish seeds artificially contaminated with Escherichia coli was studied. Radish seeds were inoculated with E. coli. Following inoculation, samples were stored at $4^{\circ}C$ and soaked in citric acid or aqueous $ClO_2$ for 10 min. The treatment of radish seeds using 200 ppm aqueous $ClO_2$ solution caused a 1.5 log CFU/g reduction in the population of E. coli. Compared to the aqueous $ClO_2$ treatment, soaking radish seeds in 2.0% citric acid solution for 10 min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E. coli populations on radish seeds. The efficacy of spray application of chlorine (100 ppm) or 0.5% citric acid to eliminate E. coli during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radish was investigated. Radish seed inoculated with E. coli was treated for the duration of the growth period. Although it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E. coli population, the spray application of 100 ppm chlorine during the growth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contrast, the combined treatment of seeds using 200 ppm aqueous $ClO_2$ and treatment of sprouts with 0.5% citric acid solution during sprout growth was hardly effective in eliminating E. coli.

고정화효모를 사용한 시트르산 생성에 있어서의 $CaCl_2$ 함유배지에 의한 활성화 효과 (Citric Acid Production Using Immobilized Yeast Activated with $CaCl_2$ - containing Medium)

  • 임동준;최차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5-291
    • /
    • 1986
  • 효모Candida lipolytica 세포를 calcium alginate gel로 포괄 고정화시켜서. 유동층 반응기에서 반응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정화 효모 세포를 활성화 용액에서 회분식 유동층 반응기 방식과 연속식 유동층 반응기 방식으로 활성화시켰을 때, 세포는 고정화된 상태로 증식하였으며, 또한 세포당 시트르산 생성활성 이 증가하여서, 활성화되지 않은 bead보다 최대 시트르산 생성활성이 약 10배정도 증가되었다. 2 연속식 유동층 반응기 방식으로 활성화시킬 때가 회분식 유동층 반응기 방식으로 활성화시킬 때보다 늦은 시간에 최대의 시트르산 생성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연속식으로 활성화시킬 때는 bead가 계속 새로운 환경에 놓이게 되어 bead내의 세포에 필요한 효소 및 보효소가 bead밖으로 계속 유출됨으로 인하여 bead내의 효소와 보효소의 축적에 많은 시간이 걸린데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3. 회분식 유동층 반응기내에서 세포수를 동일하게 하여 반응을 수행할 때, 고정화 bead의 크기가 작을수록 시트르산의 생산성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bead의 크기가 작을수록 부피에 비해 높은 표면적을 가지므로 세포의 많은 수가 반응에 참여하게 되며 bead내로의 화산저항이 작아서 물질전달이 잘되어 시트르산이 많이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정화 Aspergillus niger 세포를 이용한 우유공장 폐수로부터 구연산 생산의 최적 조건 (Optimal Condition for Citric Acid Production from Milk Factory Waste Water by Using the Immobilized Cells of Aspergillus niger)

  • 이용희;서명교;노호석;이동환;정경태;정영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4-157
    • /
    • 2004
  • 고정화된 Aspenillus niger 세포가 우유공장폐수에서 발효로 구연산을 생산하는데 이용되었다. 구연산 생산균주로서 A. niger ATCC 9142가 3일간 전배양되었으며, 약 2.5∼3.5 mm Ca-alginate beads 로 포획되었다. 최적의 pH와 온도는 각각 3.0과 $30^{\circ}C$였다. 발효에 대한 최적 희석률은 $0.025h^{-1}$ 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구연산의 최대 생산량은 최적화된 발효조건과 함께 4.5 g/$\ell$에서 얻어졌다. 고정화된 Aspergillus niger ATCC 9142에 의해 생산된 구연산의 수율은 70.3%였다. Shake-flask배양실험에 비해 연속식 배양실험 결과가 고정화 세포에 의해 20%증가되었다. 따라서 우유공장폐수는 구연산 발효기질로서의 이용가치가 있다고 볼 수가 있겠다.

Lipid and Citric Acid Production by Wild Yeasts Grown in Glycerol

  • Souza, Karla Silva Teixeira;Schwan, Rosane Freitas;Dias, Disney Ribeir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4호
    • /
    • pp.497-506
    • /
    • 2014
  • In this study, crude glycerol was used as a carbon source in the cultivation of wild yeasts, aiming at the production of microbial lipids and citric acid. Forty yeasts of different sources were tested concerning their growth in crude and commercial glycerol. Four yeasts (Lindnera saturnus UFLA CES-Y677, Yarrowia lipolytica UFLA CM-Y9.4, Rhodotorula glutinis NCYC 2439, and Cryptococcus curvatus NCYC 476) were then selected owing to their ability to grow in pure ($OD_{600}$ 2.133, 1.633, 2.055, and 2.049, respectively) and crude ($OD_{600}$ 2.354, 1.753, 2.316, and 2.281, respectively) glycerol (10%, 20%, and 30%). Y. lipolytica UFLA CM-Y9.4 was selected for its ability to maintain cell viability in concentrations of 30% of crude glycerol, and high glycerol intake (18.907 g/l). This yeast was submitted to lipid production in 30 g/l of crude glycerol, and therefore obtained 63.4% of microbial lipids. In the fatty acid profile, there was a predominance of stearic (C18:0) and palmitic (C16:0) acids in the concentrations of 87.64% and 74.67%, respectively. We also performed optimization of the parameters for the production of citric acid, which yielded a production of 0.19 g/l of citric acid in optimum conditions (38.4 g/l of crude glycerol, agitation of 184 rpm, and temperature of $30^{\circ}C$). Yarrowia lipolytica UFLA CM-Y9.4 presented good lipid production when in the concentration of 30 g/l of glycerol. These data may be used for production in large quantities for the application of industrial biodiesel.

평판형 막 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구연산의 생산 (Production of Citric Acid in a Flat-type Membrane Bioreactor)

  • 심상준;장호남
    • KSBB Journal
    • /
    • 제7권4호
    • /
    • pp.252-257
    • /
    • 1992
  • 호기성 미생물 고정화를 위해 새로 개발한 평판형막 생물 반응기(FMBR)을 개발하여Aspergillus niger (KCTC 1232)로부터의 구연산 생산을 연구하였다. 반응기는 삼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산소 공급을 위한 공기흐름이 있고 주층부에는 미생물이 고정화되어 있으며 하층부에는 배지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배지의 초기 pH는 구연산 생성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pH가 낮을수록 구연산 생산수율이 높았다. 산소원으로 공기와 순수산소를 이용하여 생산성은 각각0.20, 0.40h/Lh에 달하였다. EH한 배지의 공급속도가 높을수록 생산성이 어느 정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spergillus niger 고정화 캡슐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 특성 (Citric Acid Production Using Encapsulated Aspergillus niger)

  • 정수환;이태종박중곤장호남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78-88
    • /
    • 1995
  • 구연산을 생산하고자 캡슐 내부에 A. niger를 고 정화하여 배양하는 경우 곰팡이가 뻗어나와 캡슐 벽 면위에서 성장하게 된다. 배지중의 탄소원이나 산소 가 부족하면 캡슐벽 밖에 나온 균사가 느슨하게 자라게 되며 탄소원과 산소가 충분하면 캡슐벽 밖의 균사는 단단하게 뭉쳐지며 생산성과 생산수율이 매 우 높아진다. 즉 배지의 단위 부피당 적절한 캡슐수 가 존재한다. 배양중에 캡슐막이 팽창하는 현상은 배지중에 $CaCl_2$를 첨가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배 지중에 $CaCl_2$를 첨가하는 시기에 따라 생산성은 영향을 받으며, 배양초기에 $CaCl_2$를 첨가하는 경우보 다 배양 7일째에 $CaCl_2$를 첨가하는 경우가 생산수율 이 약 40% 정도 증가하였다. 고정화 캡슐을 이용하 여 플라스크 배양으로 구연산을 생산하는 경우 생산 수율은 산소공급에 큰 영향을 받는다. Parafilm으로 밀봉된 플라스크 대신 산소공급이 원활한 T -flask를 사용하면 생산량은 11배 생산수율(${\Delta}p/{\Delta}s$)은 3.8배 증가하였다. A. niger를 캡슐에 고정화 배양하여 구 연산을 생산하는 경우는 bead에 고정화 배양하여 생산하는 경우보다 6일째부터 13일째 사이에 평균 30 % 이상의 구연산 생산량 증가가 있었다.

  • PDF

사탕수수당밀의 전처리법과 Candida zeylanoides에 의한 시트르산의 생산 (Pretreatment of Sugarcane Molasses and Citric Acid Production by Candida zeylanoides)

  • 김기혁;이호영;이찬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4-168
    • /
    • 2015
  • 효모의 액침배양법에 의한 구연산을 발효생산하였다. 여덟 가지 구연산 발효균주의 생산성을 비교하여 가장 생산성이 높은 Candida zeylanoides를 선발하였다. 발효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glucose와 fructose 혼합당 배지에서 C/N 비, 인산염의 농도, Fe2+ 이온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였다. 삼각 플라스크 실험결과 C/N 비는 40/1이 가장 좋았으며, 최적화된 인삼염과 Fe2+ 농도에서 구연산 91.4 g/l와 이소-구연산 19.8 g/l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TCPH 전처리 당밀 배지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인삼염 농도 1.0 g/l, Fe2+ 이온 50 mg/l 이하의 농도에서 구연산 91 g/l와 이소-구연산 18.5 g/l를 생성하였다. 5 L-Jar 발효조를 사용한 실험에서의 구연산 수율(Yp/s, g/g)은 0.51이었다.

Tapioca주정증류 폐기물에서 Aspergillus niger 균주의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ffection of Citric Acid Production from Tapioca Alcoholic Distillery Waste by Using the Cell of Aspergillus niger)

  • 이용희;이동환;정경태;서명교;노종수;이국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7-343
    • /
    • 2005
  • 주정공장에서 배출되는 타피오카 주정증류 폐기물을 발효기질로 하여 플라스크 진탕배양기에서 A. niger균주를 이용하여 폐기물 처리 및 구연산을 생산하는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 niger ATCC 9142균주를 사용하여 배양온도를 $25^{\circ}C\;30^{\circ}C$35^{\circ}C$로 변화하여 발효하였을 때 구연산 농도는 $30^{\circ}C$에서 6.09g/1로 최대가 되었으며, 플라스크 진탕배양기의 배양온도를 $30^{\circ}C$로 유지하면서 초기 pH를 조절하여 발효를 행한 결과, pH 4.3인 원폐수에서 구연산 생성량이 6.37g/l로 가장 높았다. 질소원, 인산원 및 금속이온이 구연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NH_4NO_3,\;KH_2PO_4$$Mn^{2+}$를 첨가한 결과 이들 첨가물들이 구연산 생산을 감소시켰고,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및 n-propanol의 첨가가 구연산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methanol과 ethanol의 첨가가 구연산 생성을 촉진시켰다.

Acetobacter xylinum에 의한 미생물 셀룰로오스의 생산을 위한 배지 최적조성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Microbial Cellulose by Acetobacter xylinum)

  • 이희찬;조하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50-556
    • /
    • 1996
  • Acetobacter xylinum A TCC 23769에 의한 미생물 생룰로오스의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가 개발되었다. 미생물생룰로오스의 생산을 위한 각 영양성분의 최 척농도는 리터당 10 g peptone, 20 g yeast extract, 5g glucose, 1.56 g $Na_2HPO_4$, 1.8 g$KH_2PO_4$, 0.05 g $MaSO_4$, 0.002g $FeCl_3$, 5 g citric acid 그리고 10 mL ethanol로 결정되었다. 개발된 배지에서 수득한 생룰로오스의 생산성은 구연산과 에탄융의 상승효과 로 정치배양시 보고된 결과보다 매우 높은 포도당 단위그람당 0.446 그람이었다. 개발된 배지에서 정치배양시 세포성장 빛 셀룰로오스의 생산 또한 조사 되었다.

  • PDF

Candida magnoliae에 의한 erythritol 생산을 위한 유가식 공정의 개발

  • 박창열;서진호;유연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56
    • /
    • 2000
  • 효모를 이용하여 높은 생산성으로 고농도의 erythritol을 생산하기 위하여 ‘세포 성장단계’와 ‘erythritol 생성단계’로 나누어 2 단계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세포 성장 단계에서는 pH-stat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여 3.62 g/L-H의 생산성으로 76 g/L의 균체 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pH-stat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여 고농도의 균체 농도를 얻은 후에 멸균되지 않은 분말형태의 glucose를 발효조에 400 g/L가 되도록 공급하여 세포에 osmotic stress를 가해준 결과 41%의 수율로 187 g/L의 erythritol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이때의 생산성은 2.79 g/L-h로서 기존에 보고된 어느 결과보다도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Production phase에서 erythritol 생산에 대한 삼투압의 영향을 알아 본 결과 glucose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생성되는 erythritol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세포 농도에 따른 erythritol 생산 수율은 큰 차이는 없었으나 세포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erythritol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Erythritol 생산에서 용존 산소량에 관계없이 butyric acid가 생성되었으며 40%의 DO 미만에서는 citric acid가 생성되고, 40% 이상의 DO에서는 gluconic acid가 생성되어 용존 산소량에 의하여 metabolic shift가 유도되었다. 고 농도의 glucose 첨가 후 용존 산소량을 20%로 조절하면서 pH를 3.0으로 낮춘 결과 citrate synthetase의 활성이 억제되어 citric acid가 생성되지 않았으며 gluconic acid 농도는 $KH_2PO_4$에 의하여 증가하고 $MgSO_4{\cdot}7H_2O$ 또는 $(NH_4)_2SO_4$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Butyric acid 농도는 $KH_2PO_4$ 또는 $(NH_4)_2SO_4$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synergic effect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