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itizens' participation

Search Result 30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ustainable Park Management with Citizen Participation of the Awaji Island Regional Park

  • Mayumi Hayash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216-220
    • /
    • 2004
  •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large-scale green spaces. How to manage large-scale green spaces and their active uses, as well as how to build relationships with local communities have been important issues. For this research, I reviewed the actual status of management, use and citizen participation at large-scale regional parks in Hyogo Prefecture. In addition, I studied the sustainable management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of the Awaji Island Regional Park, where I have been involved for several years. I conducted various projects related to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park, and examined the direc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1) Through interviews about the park, I collected opinions, including good points, problems, and potential solutions through physical and programming measures. (2) I examined what kinds of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park in order to revitalize park use and stimulate the surrounding communities. (3) 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itizen participation while citizens carried out activities of their own planning. (4) I studied what is necessary to sustain park events and other activities. As a result,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Provision of information that is easy to access, including signs in the park, explanation of routes in large parks, and other techniques that help people become familiar with park facilities, is very important. (2) Local community events, and programs that draw out the willingness and capabilities of volunteers are effective. (3) Several different types of participation exist, including volunteers, guests, staff who work continuously for the project, coordinators, and professional specialists. (4) To sustain citizen involvement in the use and management of large-scale parks, a system that includes coordinators should be developed.

  • PDF

스마트도시서비스 공동창의자로서의 시민 역할 강화 방안 - 기능카드 기법 개발을 중심으로 - (A Plan to Strengthen the Role of Citizens as Co-Creators of Smart City Services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 Issue Card Technology -)

  • 지상태;박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
    • /
    • 2021
  • 최근 정부는 지역특화형 스마트도시서비스(이하 스마트서비스)의 구축과 시민 체감도 향상을 위해 스마트도시사업에 지역의 사용자인 시민들의 참여를 점차 확대해가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서비스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스마트서비스 구상 과정에서 시민들로부터 구체적인 수준의 의견을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스마트타운 챌린지 사업'으로 선정된 지자체 4곳의 보고서를 검토하여 리빙랩을 통해 스마트서비스에 대해 시민 의견의 구체화 수준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리빙랩과정에서 다양한 디자인사고기법을 활용하여 스마트서비스 계획수립에 참여하였지만, 시민이 스마트서비스의 구체적인 기능을 구상하는 단계에 이르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서비스의 정보수집, 가공, 제공 방법, 기술 등 4가지 요소와 서비스의 콘텐츠 등을 모듈한 후 이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활용 가능한 기능카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기능카드 기법은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제 진행 중인 스마트도시사업에 적용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기능카드가 시민들이 스마트서비스의 기능과 콘텐츠를 조합하여 상세 기능 수준으로 스마트서비스를 구체화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능카드 기법은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계획에서 시민들이 지역 문제해결을 위한 의견을 구체화하여 지역특화 스마트서비스를 구상하는 공동창의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박람회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nxiety of Dementia Development in the Elderly Participation in Local Expo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송환;김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1-49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박람회에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지역박람회 참여자 중 65세 이상 노인 4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월수입, 경제적 상태 등 융합적 요인이 53.0%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발병 불안감소와 건강증진행위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행사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들이 지역사회 행사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거나 홍보 노력을 기울려야 할 것이며, 노인들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로 사회 관계망을 맺을 수 있고, 이를 통해 건강증진행위 향상과 치매발병 불안이 감소되어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변완충녹지 설계 고찰 - 한강수계 경안천변 매수토지 사례 연구 - (Design of Riparian Buffer Zone by Citizen's Participation for Ecosystem Service - Case Study of Purchased Land along Gyeongan-cheon in Han River Basin -)

  • 반권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0-184
    • /
    • 2022
  •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행위 빈도가 높은 수역과 육역의 중간지대에 구축되는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적 환경계획 과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경안천변 용인시 모현읍 갈담리 582-2 일원의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및 설계를 소통적 행위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과정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관 주도의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 거버넌스인 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 개선하였다. 두 번째,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기능 증진 측면의 설계 요소를 도입하고 선호하는 공간, 시설의 계획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물 서식처, 물순환 기반의 생태환경, 주민 생태체험·휴식공간 등의 균형있는 계획과 더불어 향후 이용 주체인 주민들이 조성 효과와 생태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체감하고 조성지의 운영, 관리에 참여,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설계 과정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주민참여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정착하여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작동되어 주민의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용인시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경관의식 조사 - 시민, 공무원, 개발사업자를 대상으로 - (Landscape Awareness Survey for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in Yong-in city - Focusing on Residents, Government Officials, and Developers-)

  • 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1-13
    • /
    • 2003
  • This study aims at conducting an awareness survey of three parties, namely, citizens, government officials, and developers for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and, based on the survey result, to suggest a direction to develop a landscape plan for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of Yong-in city in the futu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ase of Yong-in, the main drivers of forest landscape destruction were "residential complexes developed for apartment buildings" and "golf courses", the driver of river landscape damage was "the status of cleanliness of riverside and poor facilities", the driver of roadside landscape damage was "construction sites" that completely eliminate original natural landscape in both citizen and government official groups. When granting development-related approvals in the future, appropriate actions should be prepared such as developing a landscape management guideline or including a landscape plan in advance to assure plans and designs fully reflecting landscape. Second, citizens' commitment to participate in urban landscape creation and improvement was rated high at even willing to tolerate regulations including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In the future, landscape improvement programs allowing resident participation should be developed proactively. The roles of government officials include preparing various criteria at a city level and convincing and guiding citizens to initiate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together with citizens and developers through proactive efforts by government officials. Third, the role of developers would be to realize development projects conserving local environment and/or harmonizing with local natural environment before preparing a development plan or launching construction rather than offering various considerations after executing development projects.

에너지 자립을 위한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정책 방안 (Driving Projects of Urban Agriculture for the Energy Independence)

  • 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4-308
    • /
    • 2010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xisting studies and released papers to identify the "definition and scope of urban agriculture" which correspond to the circumstances of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urban agriculture was selected as one of the measures to pursue green growth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PCGG) and the discussions and deliberations among PCGG, government, academia, civic organizations, and experts. It also aims to present the ways of policy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e based on the mentioned identificati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definition of urban agriculture as 'all agricultural activities that incorporates multi-functional public benefits of agriculture performed with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a city. However, the scope of urban agriculture should exclude the agricultural sites, the methods, and the activities that are against the multi-functional public benefits of agriculture, which will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paces, methods, and purposes of planting food crops.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e,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the policy measures as following: (1) to analyze spaces for farming, and provide the spaces to the citizens; (2) to prepare legislation and institution that will allow citizens to use the farming spaces continuously; (3) to develop Korean-style urban agriculture model that fully reflects the features of Korean cities; (4) to develop a system where the urban citizens can easily learn and experience the urban agriculture; and, (5) to provide incentives that will attract active participation of urban citizens such as carbon mileage. (6) to analyze effect of urban agriculture to save energy and food self-sufficiency.

4대강 사업에서 시민의 신뢰 변화와 과학기술 시민자격의 전망 (Changes in citizens' trust about '4 Rivers Project' and the Prospect of the Scientific-Tecnnological Citizenship)

  • 정태석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69-107
    • /
    • 2015
  •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4대강 사업에 관한 시민의식의 변화, 특히 시민의 전문가 신뢰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전문지식 정치'의 변화 양상을 이해해보고자 했다. 조사결과로 정부와 찬성 측 전문가의 신뢰도가 하락한 반면에, 반대 측 전문가, 환경단체의 신뢰도는 유지되거나 약간 상승하였다. 이것은 4대강 사업이 전문지식을 둘러싼 정치적 대결의 장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정부의 4대강 사업 정책결정 과정은 그 타당성을 둘러싼 과학기술적 전문지식권력의 활용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문지식 정치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4대강 사업과 같이 전문가의 전문지식의 영향이 큰 과학기술적 생태적 쟁점과 관련하여, 시민들의 관심이 높고 또 이러한 사업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이 큰 것은 시민들의 권리의식이 높아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책결정 과정에의 참여 필요성에 대한 생각이나 실제적인 참여 의향이 적지 않은 것은 과학기술 시민자격, 특히 '시민자격-책무 덕성'의 발달에 기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기반의 가정 내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연구 (A Study on Embody e-Government at Home with Home Network Infrastructure)

  • 신영진
    • 정보화정책
    • /
    • 제17권2호
    • /
    • pp.45-67
    • /
    • 2010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기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기반을 바탕으로 수요자중심의 전자정부서비스를 재설계하고자 한다. 전자정부의 핵심과제로 전자정부 로드맵 31대 과제가 추진되었는데, 이를 홈네트워크기반과 연계하여 제공된다면, 공급자와 수요자입장에서 어떤 정책과제가 우선되어야 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정책설계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으로 홈네트워크기반에서 전자정부가 구현된다면, 행정업무의 효율성과 국민참여를 비롯한 대국민서비스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유비쿼터스정부를 구현함에 있어 홈네트워크기반을 강화하기 위해서 먼저, 정부는 홈네트워크기반을 활성화하는 법 제도를 정비하여야 하며, 관련 기술을 개발하도록 기업을 지원하고, 국민의 서비스 이용을 높이기 위한 안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기업은 다양한 컨텐츠의 홈네트워크기술을 개발하고, 국민이 전자정부서비스를 이용하기 쉽도록 홈네트워크시스템을 설계하여야 한다. 셋째, 국민은 홈네트워크기반의 전자정부서비스에 관한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하며, 정부와 기업이 제공하는 홈네트워크기기 및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 PDF

재해방지를 위한 환경보전 의식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Level on the Preservation of Environment for the Disaster Prevention)

  • 황의진;류지협;임익현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1-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변화되어 가는 현대사회 시민들의 의식수준을 조사하고 환경보존이 재해방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본 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첫째, 환경문제 의식수준은 높고 의식은 매스미디어에서 가장 많이 얻는다. 둘째, 시민들은 오늘의 광주시 환경상태를 생각하며 그 대책이 시급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셋째, 환경보전 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고 가장 시급한 문제는 수질 오염을 지향하고 있으며 환경파괴 없는 경제성장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시민들은 중소도시에서 살고 싶고 미래에 대한 견해는 비교적 높은 참여 의식을 갖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 이주에 대한 문제는 중소도시를 원하고 있어 문화생활을 누리면서도 공해가 없는 곳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환경문제는 앞으로 광주시에 증가할 것이라는 비관적 예상을 보여주고 있고 환경보전은 비교적 높은 참여의식을 보여 주고 있으나 실제로는 적극적이 아닌 것으로 평가 예측된다.

  • PDF

문화예술이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Cultural Arts on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index of Seoul citizens)

  • 배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89-96
    • /
    • 2018
  • 현대사회에서는 경제성장이 중시되던 과거에 비해 삶의 질 향상과 행복을 위한 노력이 중시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문화를 통한 국민행복실현을 이루고자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정된 설문조사나 문헌조사와는 달리 문화예술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수요(향유)와 공급 측면으로 나눈 후, 종속변수로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과 인구구조변화의 통제 하에 시간적 범위를 10년 이상 설정한 후 정량적으로 패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가 클수록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에 양(+)의 영향을 끼쳤으나 문화예술 공급은 유의미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화예술 향유에 기인한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급을 통한 서울시민의 행복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간을 보완하고 다양한 계층을 겨냥한 차별화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수요계층 뿐만 아니라 문화무관심집단 나아가서는 문화소외계층의 능동적 참여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