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alpha$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9초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시.공간적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ize-structured Phytoplankton in the Asan Bay)

  • 현봉길;신용식;박철;양성렬;이영준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7-18
    • /
    • 2006
  • 아산만에서 크기별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인 변동과 크기 구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인자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3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매월 5개의 조사 정점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엽록소 $\alpha$ 농도에 대해서 크기가 큰 세포들(소형 식물플랑크톤, $>20\;{\mu}m$)은 크기가 작은 세포들(미소식물플랑크톤, $3\sim20{\mu}\;m;$ 초미세 식물플랑크톤, $<3{\mu}\;m$)보다 더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엽록소 a 농도가 높았던 2004년 2월부터 4월까지 크기가 큰 세포들은 전체 엽록소 $\alpha$ 대하여 80% 이상 점유율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이 감소했던 5월 소형식물플랑크톤에서 미소식물플랑크톤으로 크기 구조의 변동이 일어났으며, 초미세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겨울과 봄철동안 소형식물플랑크톤은 상류지역에서 높은 생체량 분포를 보였으며, 미소와 초미세 식물플랑크톤은 봄과 여름철 중류와 하류(정점 3, 5)에서 높은 생체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소형식물플랑크톤은 추운 계절 동안 수온과 영양염의 공급에 의해서 조절되어지는 반면에 미소와 초미세 식물플랑크톤은 따듯한 계절 동안 성층과 빛에 노출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안 시.공간적 수질환경 특성 비교 (Compared of Temporal and Spatial Sea Water Quality in the Southern Coasts of Korea)

  • 조은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1-151
    • /
    • 2009
  • Temperature, salinity, COD,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and Chlorophyll ${\alpha}$ obtain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the period of 2003 to 2005 were analyzed. Variability in temperature was not found between groups in southern coastal water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ampling sites (p<0.05). The average temperature in 2003 estimated at $18.33^{\circ}C$ that was annually increased by 2005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tatistics (p<0.05). Unlikely to temperature, salin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ampling sites, as well as monthly variations (p<0.05). Likewise to temperature, the value of salinity was annually increased. COD estimated at the average of $>1.7\;mg\;l^{-1}$ for three years, indicating optimal water quality. The fluctuations of nutrients were extremely shown in different sampling sites and monthly variations. Chlorophyll a recorded above $2.0{\mu}g\;l^{-1}$ which was associated with high primary phytoplankton, whereas it showed much fluctuations in temporal and spatial, In particular, Tongyong, Jaranman, Jinjuman, and Samcheonpo located in the southeast were the highest fluctuations in water quality than any other regions. The correlation between salinity/COD and nutrients/chlorophyll a was strongly negative or positive, which was possibly associated with much the introduction of run-off water as well as rainfall in summer.

Quenching Mechanisms and Kinetic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 King, Robert;Lee, Hyung-Ok;Min, David B.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526-532
    • /
    • 2009
  • Quenching mechanisms and kinetic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were studied. Lard at 0.03, 0.07, 0.11, and 0.3 M in methylene chloride containing $4.4{\times}10^{-6}\;M$ chlorophyll and 0, 0.1, 0.3, and 0.6 mM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were stored under light for 4 hr, respectively. Oxidation was determined by headspace oxygen and peroxide value. Tocopherols prevented the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p<0.05). Steady state kinetic study showed that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prevented the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by quenching singlet oxygen. Singlet oxygen quenching rate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by headspace oxygen depletion were 1.86, 2.39, 2.47, and $2.11{\times}10^7/M/sec$, respectively. The quenching rate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by peroxide value were 1.42, 1.11, 0.97, and $0.42{\times}10^7/M/sec$, respectively. The quenching rates of tocopherols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asurements of oxidation.

동해 SeaWiFS 클로로필-$\alpha$ 농도의 스펙클 오차 특성 (Characteristics of Speckle Errors of SeaWiFS Chlorophyll-$\alpha$ in the East Sea)

  • 채화정;박경애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7-343
    • /
    • 2009
  • 1997년 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인공위성 해색센서 SeaWiFS의 클로로필-$\alpha$ 농도가 가지는 오차 특성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였다. 동해의 클로로필-$\alpha$ 월별 분포에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농도값이 스펙클(speckle) 형태로 출현하였다. 스펙클들은 시공간적으로 연계성이 없이 산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주변 평균에 대해 $10mg/m^3$ 이상의 편차를 보였다. 스펙클들은 주로 겨울철에 나타났으며 구름 분포와 관련이 있었다. 10년간 월별 운량 분석 결과 겨울철 운량은 다른 계절과 달리 남동해상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운량이 클수록 스펙클의 농도가 크게 나타나는 통계적 특성을 보였다. 특히 스펙클이 나타나는 화소의 각 밴드별 정규화된 수출광량을 분석해 본 결과 짧은 파장 영역(443, 490, 510 nm)은 전체적으로 수출광량이 낮게 나타난 반면 550 nm 밴드는 정상 화소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짧은 파장 영역의 낮은 수출광량은 555 nm 밴드에 대한 비율로 구해지는 클로로필-$\alpha$ 농도값을 비정상적으로 증폭시켰으며 SeaWiFS 자료에 스펙클을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동해의 SeaWiFS 클로로필-$\alpha$ 농도자료가 지니는 스펙클 오차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오차 특성 분석을 통해 좀 더 신뢰도 있는 자료를 해양 응용 연구에 사용해야 함을 제시한다.

  • PDF

Giberellic acid와 Abscisic acid가 대맥종자(大麥種子) 및 초엽(?葉)에서 핵산합성(核酸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ibberellic and Abscisic Acids on The Synthesis of Ribonucleic Acid in Seeds and Coleoptiles of Barley)

  • 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2호
    • /
    • pp.84-102
    • /
    • 1978
  • 대맥(大麥)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 $10{\mu}M$ GA를 처리(處理)하여 배양(培養) 10시간(時間)에 배지(培地)에서 ABA의 농도(濃度)가 각각(各各) $0.1{\mu}M,\;5{\mu}M$$10{\mu}M$이 되도록 ABA 용액(溶液)을 첨가하여 ${\alpha}-amylase$ 생성(生成)의 소장(消長)을 그리고 $10{\mu}M$ GA와 $10{\mu}M$ ABA 혼합액(混合液) 처리(處理)하여 10시간(時間) 배양(培養) 후(後) 핵산(核酸)의 거동을 $10{\mu}M$ GA처리구(處理區)의 그것과 비교(比較)하였다. 대맥(大麥) 초엽(?葉)에 $10{\mu}M$ GA와 $10{\mu}M$ ABA를 처리(處理)하여 초엽의 생육(生育), chlorophyll, RNase의 활성(活性), 단백질(蛋白質) 및 총(繼) RNA 함량(含量)의 소장(消長)을 처리구(處理區)의 그들과 비교(比較)하였고 이들 hormone 처리(處理) 20시간(時間) 배양후(培養後) 핵산(核酸)의 거동 및 polysome과 menosome의 상대적(相對的)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몇 가지 결론(結論)을 얻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 처리(處理)에 의(依)한 총(總)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은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으며 ${\alpha}-amylase$의 분비(分泌)는 배양(培養) 18시간(時間)부터 활발(活潑)하였다. 2) $0.1{\mu}M$ ABA 첨가는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부분적(部分的)으로 저해(沮害)시켰으나 $5{\mu}M$$10{\mu}M$ ABA 첨가는 다같이 첨가 4시간(時間) 후(後)에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으며, 배양과정중(培養過程中) $5{\mu}M$ ABA 첨가는 GA의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다. 3) ABA는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alpha}-amylase$의 분비(分泌)에 별(別)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4)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GA 단독(單獨) 처리구(處理區)와 GA-ABA 처리구간(處理區間)에 핵산(核酸)의 분획(分劃)에서 별(別) 이(異)가 없었다. 5) 초엽에서 GA의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킨 반면(反面) ABA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감소(減少)시킴과 동시(同時)에 s-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켰는권(權) 이는 이들 hormone이 RNase의 활성(活性)에 상이(相異)한 영향(影響)을 준 것으로 보였다. 6) 초엽에서 ABA 처리(處理)는 RNA-DNA 획분(劃分)의 성분비(成分比)를 감소(減少)시켰다. 7)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RNase의 활성(活性)을 감소(減少)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의 활성(活性)을 증대(增大)시켰다. 8)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총(總) RNA에 큰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를 현저히 감소(減少)시켰다. 9) 초엽에 있어서 GA 처리(處理)는 초엽의 생장(生長) 및 chlorophyll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0)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단백질(蛋白質) 및 polysome의 형성(形成)을 촉진(促進)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1) ABA 처리(處理)는 polysome의 형성(形成)이 저해(沮害)되는 까닭은 ABA가 r-RNA의 합성(合成)을 저해(沮害)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Nutrient dynamics study of overlying water affected by peroxide-treated sediment

  • Haque, Niamul;Kwon, Sung-Hy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9호
    • /
    • pp.235-245
    • /
    • 2017
  • Background: Loading of excess nutrient via bioremediation of polluted sediment to overlying water could trigger anoxia and eutrophication in coastal area.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overlying water features such as dissolved oxygen (DO); pH;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chlorophyll-{\alpha}$ ($Chl-{\alpha}$); and nitrogen nutrients ammonia ($N-NH_4{^+}$), nitrate ($N-NO_3{^-}$), and nitrite ($N-NO_2^-$) when the sediment was not treated (control) and treated by calcium peroxide for 5 weeks. Methods: Th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measuring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long with the sediment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clud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for identifying the phylogenetic affili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due to the addition of calcium peroxide in sediment, the overlying water exposed the rise of dissolve oxygen, pH, and ORP than control. Among the nitrogen nutrients, ammonia inhibition was higher in calcium peroxide treatment than control but in case of nitrate inhibition, it was reversed than control. $Chlorophyll-{\alpha}$ was declined in treatment column water by 30% where it was 20% in control column water. Actibacter and Salegentibacter group were detectable in the calcium-peroxide-treated sediment; in contrary, no detectable community ware found in control sediment. Both phylogenetic groups are closely related to marine microflora.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alcium peroxide as an oxygen release material. Interaction with peroxide proved to be enhancing the formation of microbial community that are beneficial for biodegradation and spontaneity of nutrient attenuation into overlying water.

수경재배시 배양액 내 이온농도에 따른 두 종의 백리향 생육 및 정유 성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in Two Hydroponically Grown Species of Thymes at Different Nutrient Solution Strength)

  • 김예희;이문정;박권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9-84
    • /
    • 2000
  • Thymus속의 common thyme과 thyme의 담액수경 재배시 배양액의 이온농도를 달리하여 두 종의 생육과 품질을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이온농도는 1.2, 2.4, 4.8 그리고 $7.2mS.cm^{-1}$로 하였다. 두 종 모두 $0.5(EC=1.2\;mS.cm^{-1})$배와 1배의 낮은 이온농도 처리에서 생육이 좋았다. Common thyme과 lemon thyme의 생육은 배양액내 이온농도가 높아질수록 건물율은 증가했으나 초장, 근장과 생체중은 감소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lemon thyme에서 더 높았으나 비타민 C의 함량과 정유함량은 common thyme에서 더 높았다. 두 종간의 주요 정유 성분 차이를 보면, common thyme의 주성분은 thymo과 carvacrol이고, lemon thyme은 geranio과 ${\alpha}-citral$로 각각 정유 성분의 50~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각 주성분의 함량은 생육이 좋았던 0.5배에서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수경재배시 common thyme과 lemon thyme 모두 허브 배양액 0.5배액으로 재배시 우수한 품질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인체 편평상피세포암세포주에서 9-Hydroxypheophorbide-$\alpha$와 660nm Diode 레이저를 이용한 광역학치료의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9-Hydroxypheophorbide-$\alpha$ and 660nm Diode Laser on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 김한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
    • /
    • 2001
  • Objectives: New photosensitizer 9-hydroxypheophorbide-$\alpha$(9-HpbD-$\alpha$) was derived from chlorophyll in water with peak absorption at 660nm. 9-HpbD-$\alpha$ was tested with 660 nm diode laser for the anticancer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Human SNU 1041 cells were seeded into 96 well plate at a density of $$ cells/well for 24 hours. Cells were washed with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 of 9-HpbD-$\alpha$ ranging from $0{\mu}g/ml\;to\;3.75{\mu}g/ml$. Then, laser treatment was done with 660nm diode laser ($10mW/cm^2$) at various time setting (0, 30, 60, 90, 120 minutes) and with various time interval (0, 1, 4, 6, 18 hours). The treated cells were incubated 48 hours and MTT assay was done to measure the viability of cells. Results: The viability of cells was more than 90% after laser treatment in control group. The viability of cell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9-HpbD-$\alpha$ and laser treatment time in experimental groups. The viability of cell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interval time between addition of 9-HpbD-$\alpha$ and laser irradiation was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anticancer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9-HpbD-$\alpha$ and 660nm Diode laser on carcinoma cell line. 9-HpbD-$\alpha$ is considerd as one of new photo sensitizers in the field of photodynamic therapy.

  • PDF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시설의 잠재적 누출 판단을 위한 DGCI(Dark Green Color Index) 적용 가능성 평가 (Applicability of DGCI (Dark Green Color Index) to Assess Potential Impacts of CO2 Leakage from the Geological Storage Site)

  • 유신이;송윤진;오희주;김유진;유가영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1-356
    • /
    • 2016
  • The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which collects and stores carbon dioxide in a geological site, is a promising option to mitigate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is the possibility of carbon dioxide leakage from the soil in the steps of collecting, transporting, and storing.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this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leakage of carbon dioxide and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s. As plants are sensitive to the changes in carbon dioxide in the soil environment, we can utilize plant parameter to detect the carbon dioxide leakage. Currently, chlorophyll a content is a conventional index indicating the changes in plants, however, this method is labor intensive and it only utilizes a small portion of leaves. To overcome its limitations, a simple spectroscopic parameter, DGCI (dark green color index), was suggested as an easy and quick indicato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values of chlorophyll a contents with DGCI from the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high underground $CO_2$ on grape plants. Results suggest that DGCI had high correlation with chlorophyll a contents and it has high potential to be utilized as an easy indicator to monitor plants' responses to $CO_2$ treatment.

1대 잡종벼의 생리생화학적 특성 (Physio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ybrid Rice)

  • Tae, Hyun-Sook;Kim, Kil-Ung;Shin, Dong-Hyun;Wenxiong Lin;Moon, Huhn-Pa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08-618
    • /
    • 1995
  • 본 연구는 잡종강세를 나타내는 두 조합의 벼 일대 잡종 품종, Shanyou 63, Teyou 53과 inbred계인 밀양 23호 등을 공시하여 벼의 잡종강세 발현기작을 규명코자 실시되었으며, 수행 후 얻어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 단백질 분석을 통해, 잡종강세 발현의 유전적인 특성들이 부분적으로 모본으로 부터 유전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2. Hybrid계 벼는 inbred계보다 배아의 크기가 크고 $\alpha$-amylase 활성 및 chlorophyll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들은 분얼능력, 특히 수량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하부절간의 분얼수와도 관계가 있었으며, Shanyou 63의 경우 다른 inbred계에 비해 60~70%나 분얼력이 높았다. 3. 인위적으로 GA$_3$ 0.02 ppm을 처리한 후 $\alpha$-amylase활성 측정시, hybrid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밀양 23은 무처리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ybrid계 벼의 종자내에는 이미 충분한 GA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이 초기활력과 관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4. Cytochrome c oxidase의 활성은 inbred계 보다 hybrid rice에서 2.7~5.5배나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hybrid계 벼의 대사작용이 매우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