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genic acid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1초

오가피 추출액 첨가 약주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akju Added with Acanthopanacis cortex Extract)

  • 김인호;김성호;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21-527
    • /
    • 2008
  • 오가피 추출액을 첨가하여 약주를 제조하고 발효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오가피 추출물 첨가 발효주는 대조구와 전체적으로 비슷한 발효 특성을 보였다.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3일 만에 급격히 떨어졌고 발효 6일 이후로는 4.0 내외로 변화가 없었으며, 산도는 오가피 추출물 첨가구와 대조구 차이가 거의 없었다. 당도와 환원당은 모든 시험구에서 발효초기에 감소하다가 후기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발효주의 알코올 함량은 발효초기에는 대조구가 오가피 추출물 첨가구보다 높았으나 발효 6일째 이후로는 오가피 추출물 첨가구의 함량이 높았으며, 발효 종료일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산도, 환원당 및 알코올 함량이 발효 $0{\sim}3$일 사이에 급격히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담금 후 $0{\sim}3$일에 발효가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기산으로는 acetic acid, lactic acid, oxal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전체 유기산 함량은 ace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오가피의 지표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eleutheroside E와 chlorogenic acid는 2단 담금 후에는 두 유효성분의 함량 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발효 종료일에는 발효주 중의 eleutheroside E 함량은 $7.61{\pm}0.39{\mu}g/mL$이었고, chlorogenic acid 함량은 $3.63{\pm}0.18{\mu}g/mL$이었다. Fusel oil 함량은 두 시험구에서 n-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및 isoamyl alcohol 함량이 $0.08{\pm}0.001{\sim}0.86{\pm}0.03mg%$로 적은 양이 검출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오가피 추출물 첨가구는 전체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관능평점을 나타내었다.

병풍쌈 추출물의 Caffeoylquinic Acid 성분 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HPLC Analysis of Caffeoylquinic Acids in the Extract of Cacalia firma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 박희준;누그로호 아궁;이진하;김종대;김원배;이강노;최재수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5-369
    • /
    • 2009
  • Six caffeoylquinic acids of Cacalia firma (Komarov) Nakai (Compositae) leaves were identified using standard compounds by HPLC. Each content of those compounds in dried weight was determined as follows: 3,4-di-O-caffeoylquinic acid (1.44${\pm}$0.04 mg/g of dried weight), 3,5-di-O-caffeoyl-muce-quinic acid (2.47${\pm}$0.12 mg/g), 3,5-di-O-caffeoylquinic acid (3.74${\pm}$0.24 mg/g), 5-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 5.20${\pm}$0.09 mg/g), 3-caffeoylquinic acid (1.35${\pm}$0.01 mg/g) and 3-Op-coumaroylquinic acid (3.84${\pm}$0.25 mg/g). The total content of six caffeoylquinic acids in the plant material was calculated as 18.05${\pm}$0.69 mg/g while the percentage of the six compounds in the MeOH extract was calculated as 30.85${\pm}$1.18%. The $IC_{50}$ value of the MeOH extract scavenging peroxynitrite ($ONOO^-$) was shown as 3.22${\pm}$0.57 ${\mu}g$/ml.

단양쑥부쟁이에 함유된 Caffeoylquinic Acid의 HPLC 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HPLC Analysis on the Cafffeoylquinic Acids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ura and Peroxynitrite-scavenging Effect)

  • 임상철;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0-25
    • /
    • 2016
  • 단양쑥부쟁이의 caffeoylquinic acid 성분을 HPLC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4-DQ, 3,5-DQ, 4,5-DQ, 5-CQ, 3-CQ 5종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 식물의 caffeoylquinic acid 총 함량은 26.73 ± 0.26 ㎎/g으로 건물중의 2.673 ± 0.026%, MeOH 추출물 중 함량은 25.22 ± 0.25%에 달하였다. 그리고 peroxynitrite를 소거하는 IC50 값은 5.16 ± 0.15 ㎍/㎖로 나타났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L-penicillamine의 값은 0.89 ± 0.22 ㎍/㎖였다. 그러므로, 단양쑥부쟁이는 caffeoylquinic acid 함량에 따르는 peroxynitrite 소거효과에 기인하여 비만, 당뇨, 심혈관질환, 동맥경화 등에 유효할 것으로 예상된다.

녹차나무 뿌리와 씨의 영양 성분 분석 (Nutritional Component Analysis of Green Tea Tree's Root and Seed)

  • 차월석;조미자;정길록;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387-39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건조된 녹차 뿌리와 씨에 함유된 성분중에서 무기성분, 비타민, 총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총 폴리페놀 및 그 구성 성분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뿌리와 씨의 무기성분 중에서는 K의 함량이 각각 1,052 mg/100 g과 1,480 m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뿌리에서 P, Ca, Mg, Na, Fe, Mn, Zn, Cu의 순으로, 씨에서는 P, Na, Ca, Mg, Mn, Fe, Cu, Zn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뿌리에서 vitamin C의 함량은 5.72 m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씨에서는 6.05 mg/100 g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의 함량을 살펴 본 결과 녹차 뿌리보다 씨에 더욱 많은 종류의 vitamin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함량도 뿌리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총 아미노산은 뿌리에 1,651 mg/100 g, 씨에 4,335 mg/100 g 함유되어 있어 각국 시판 녹차에 비해 그 함량이 높았고, 녹차에서 존재하지 않는 아미노산인 phenylalanine도 16.00 mg/100 g와 139.00 mg/100 g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뿌리에서 녹차의 품질을 평가하는 theanine이 전체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48%를 차지하였고 쓴맛을 내는 arginine, valine 및 tryptophan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열매에서는 단맛과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 alanine, theanine, aspartic acid 및 serine 등의 함량이 많았다. 총 polyphenol은 뿌리에 237 mg/100 g으로 씨에서의 함량 81 mg/100 g보다 3배가량 높았다. Polyphenol 중 catechin의 함량은 뿌리에서 66 mg/100 g, 씨에서 1 mg/100 g으로 나타났고 caffeic acid는 뿌리에서 0.78 mg/100 g으로 나타났지만 씨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chlorogenic acid는 뿌리와 씨에서 각각 3.7 mg/100 g과 6.6 mg/100 g 검출되었다.

루이보스차(Asphalthus linearis)의 추출방법에 따른 페놀릭류 함량 변화연구 (Determination of Phenolic Contents in Rooibos (Asphalthus linearis) Tea Depending on the Steeping Temperature and Time)

  • 박신희;도영숙;김윤성;김난영;이진희;김종화;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9-395
    • /
    • 2017
  • 루이보스티에서 5종의 phenol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trans-ferulic acid)와 9종의 flavonoid (procyanidin b1, aspalathin, rutin, vitexin, hyperoside, isoquercitrin, luteolin, quercetin, chrysoeriol)를 UP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14종 페놀릭류를 동시 분석하기 위하여 기기조건과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확립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시중에 유통중인 루이보스티 30건을 채취하여 페놀릭류를 분석하였다. 루이보스티 1 g 혹은 1티백에 뜨거운 물 100 mL을 가하여 3분, 6분, 30분이 경과 후 그리고 차가운 물 ($25-30^{\circ}C$)에 30분 우려낸 루이보스티의 페놀릭류 함량을 구하였다. 루이보스티에서 전체 실험대상 페놀릭류 중 rutin과 aspalathin이 가장 많이 추출되어 나왔으며 각각 물질의 함량은 제품별로 달랐다. 페놀릭류 성분의 추출효율은 14종 페놀릭류의 총합 기준으로 뜨거운 물 30분 > 6분 > 3분 > 차가운 물 30분 순으로 높았다.

국내 재배 베리류의 화학 조성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 Function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 이용철;이집호;김성단;장민수;조인순;김시정;황금택;조한빈;김정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95-1303
    • /
    • 2015
  •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대표적인 베리류에 대한 화학 조성 및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일정 시기에 수확한 오디, 블랙라즈 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의 pH, 산도, 유리당, ${\gamma}-aminobutyric$acid(GABA), 무기질 함량, phenolic compound, 항산 화 활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베리류 4종의 pH는 3.3~5.2로 블루베리가 가장 낮았고 오디가 가장 높은 반면, 산도는 0.26~1.10%(w/w)로 오디가 가장 낮았고 블랙라즈 베리가 가장 높았다. 베리류에서 검출된 유리당인 fructose와 glucose는 같은 비율로 존재하였고, 그 총량은 4.80~12.93%(w/w)로 오디가 가장 높았으며 블랙라즈베리가 가장 낮았다. GABA는 오디에 69.3 mg/100 g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는 다른 베리류에 비해 3배 이상 많은 양이다. 베리류에 함유된 주요 무기질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었고, 총 무기질 함량은 92.9~256.0 mg/100 g으로 블랙라즈 베리에 유의적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P<0.05) 블루베리가 가장 낮았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8.2~547.2 mg/100 g과 5.0~94.6 g/100 g의 범위로 블랙라즈베리가 가장 높았고, 라즈베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Total anthocyanin은 19.8~385.6 mg/100 g의 범위로 블랙라즈베리가 가장 높았고, 라즈베리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Total PA(phenolic acids)는 블랙라즈베리와 라즈베리에 각각 14.0 mg/kg과 5.9 mg/kg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이는 오디에 함유된 50.4 mg/kg보다 낮았으며, 391.4 mg/kg으로 가장 높게 함유된 블루베리에는 PA의 대부분이 chlorogenic acid였다. 베리류 4종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및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분석하여 Trolox equivalent 값으로 나타낸 결과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와 total polyphenol, total anthocyanin, total flavonoid 함량 과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earson 상관계수 r${\geq}0.85$; P<0.01)를 나타내었고, 블랙라즈베리가 DPPH 및 ABTS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검정콩의 주요 항산화 원인물질 및 항산화 효과의 비교 (A Majo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 김선희;권태완;이영순;정명근;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3-77
    • /
    • 2005
  • 검정콩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 중 주요 항산화 원인물질을 구명학기 위하여 청자콩의 isoflavone, 토코페롤, phenolic acids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enistein이 43.86mg%, daidzein이 31.73mg% 함유되어 있었으며, 토코페롤 함량은 ${\alpha}$-토코페롤이 1.99mg%, ${\beta}$-토코페롤 0.47mg%, ${\gamma}$-토코페롤 10.68mg%, ${\dalta}$-토코페롤 3.95mg%이 함유되어 있었다. 11종류의 phenolic acids에서는 benzoic(126.70mg%)>p-coumaric(67.68)>salicylic(59.40)>gentisic(43.19)>ferulic(16.57)>syringic(15.04)>chlorogenic(8.00)>caffeic(4.53)>vanillic(2.82)>p-OH benzoic(2.47)>trans-cinnamic acid(1.00)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검정콩 종피에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아닌을 측정한 결과 delphinidin 3-glucoside가 1.42, cyanidin 3-glucoside 5.77 및 petunidin 3-glucoside가 0.30mg/g이었다. 검정콩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들 (안토시아닌, isoflavone, phenolic acids 및 토코페롤)을 검정콩에 들어있는 함량과 비례하도록 조제하여 TEAC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genistein, gentisic acid, ${\gamma}$-토코페롤,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종류의 항산화 물질들의 시너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서로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안토시아닌을 혼합할 때 시너지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 검정콩의 항산화 효과에 안토시아닌이 크게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화과 17종 식물 30% 에탄올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분석 및 Peroxynitrite 소거효과 (Phytochemical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30% Ethanolic Extracts from the Compositae Plants and Peroxynitrite-scavenging Effect)

  • 김명회;누그로호 아궁;임상철;문혜은;최재수;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9-154
    • /
    • 2011
  • Seventeen 30% EtOH extracts from the Compositae plants collected in Gangwon-do, Korea during autumn season were analyzed by HPLC using three standard caffeoylquinic acids (chlorogenic acid, 3,5-di-O-caffeoylquinic acid, 3,5-di-Omuco-quinic acid) and six flavonoids (rutin, isoquercitrin, astragalin, quercitrin, quercetin and kaempferol) to find the composi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also assayed to evaluate the peroxynitrite (ONOO$^-$) scavenging effect. The extracts with $IC_{50}$ values less than 2.0 ${\mu}g/ml$ were as follows: Aster tartaricus ($IC_{50}$, $1.26{\pm}0.10\;{\mu}g/ml$), A. maaki ($1.45{\pm}0.03\;{\mu}g/ml$), Solidago virga-aurea, ($1.45{\pm}0.03\;{\mu}g/ml$), Picris hierraciodes var. glabrescens ($1.45{\pm}0.04 \;{\mu}g/ml$), Lactuca triangulata ($1.50{\pm}0.09\;{\mu}g/ml$), Chrysanthemum zawadskii ssp. acutilobum, ($1.79{\pm}0.14\;{\mu}g/ml$). Particularly, the propor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measured in the extract of L. triangulata was highest as the value 54.51%.

Phenolic Compounds of Potato Peel Extract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on against Human Enteric Viruses

  • Silva-Beltran, Norma Patricia;Chaidez-Quiroz, Cristobal;Lopez-Cuevas, Osvaldo;Ruiz-Cruz, Saul;Lopez-Mata, Marco A.;Del-Toro-Sanchez, Carmen Lizette;Marquez-Rios, Enrique;Ornelas-Paz, Jose de Jesu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234-241
    • /
    • 2017
  • Potato peels (PP) contain several bioactive compounds. These compounds are known to provide human health benefits, including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In addition, these compounds could have effects on human enteric viruses that have not yet been reporte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properties in the acidified ethanol extract (AEE) and water extract of PP, and the antiviral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Av-05 and MS2 bacteriophages, which were used as human enteric viral surrogates. The AEE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Chlorogenic and caffeic acids were the major phenolic acids. In vitro analysis indicated that PP had a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 3 h incubation with AEE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was needed to reduce the PFU/ml (plaque-forming unit per unit volume) of Av-05 and MS2 by 2.8 and $3.9log_{10}$, respectively, in a dose-dependent manner. Our data suggest that PP has potential to be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against enteric viruses.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a robusta Leaf 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Yosboonruang, Atchariya;Ontawong, Atcharaporn;Thapmamang, Jadsada;Duangjai, Acharapor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1003-101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tochemical compound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a robusta leaf extract (R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lorogenic acid (CGA) is a major component of RLE.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RL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6.25, 12.5, 12.5, and 12.5 mg/ml, respectively. RLE effectively damages the bacterial cell membrane integrity, as indicated by the high amounts of proteins and nucleic acids released from the bacteria, and disrupts bacterial cell membrane potential and permeability, as revealed via fluorescence analysis. Cytotoxicity testing showed that RLE is slightly toxic toward HepG2 cells at high concentration but exhibited no toxicity toward Caco2 cell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RLE has excellent potential applicability as an antimicrobial in the food industry.